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교리·신학 핸드북
서문
— 1
표지
— 1
발간사
— 7
영어판 서문
— 8
한국어판 서문
— 11
약어표
— 16
제1장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인들은 누구인가?(낸시 J. 비마이스터, 김은배)
— 21
I. 선행된 사건들과 19세기의 재림신앙
— 22
A.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가 탄생하기 직전의 선구자들
— 22
B. 밀러주의 운동
— 22
C. 대실망
— 22
D. 초기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가르침
— 22
E. 초기 재림교회 지도자들
— 22
1. 조셉 베이츠(Joseph bates, 1792-1872년)
— 22
2. 제임스 스프링거 화잇(James Springer White, 1821-1881 년)
— 22
3. 엘렌 굴드(하몬) 화잇(1827-1915년)
— 22
F. 초기 재림교회 역사
— 22
1. 1850년대:출판사업
— 22
2. 1860년대:조직
— 22
3. 1870년대:교육과 선교
— 22
G. 19세기의 종막
— 22
H. 교회 재조직
— 22
I. 켈로그와의 갈등
— 22
II. 20세기의 제칠일 안식일예수재림교회
— 34
A. 교회의 성장
— 34
1. 출판사업
— 34
2. 라디오와 텔레비전
— 34
3. 선교 선박과 선교 비행기
— 34
4. 계획적인 선교
— 34
B. 평신도의 선교 참여
— 34
C. 교육 시스템
— 34
D. 의료사업
— 34
E. 복지와 개발 사업
— 34
F. 교회 조직
— 34
G. 신학의 발전
— 34
III. 참고문헌
— 44
제2장 계시와 영감(페터 M. 반 벰멜렌 저, 임봉경)
— 47
I. 계시
— 48
A. 정의
— 48
B. 성경의 용어
— 48
1. 구약
— 48
2. 신약
— 48
II. 일반 계시
— 52
A. 서론과 정의
— 52
B. 일반 계시의 양태(樣態)
— 52
1. 천연계
— 52
2. 인간 존재
— 52
3. 역사
— 52
C. 자연(Natural Theology)과 이방인의 구원
— 52
III. 특별 계시
— 55
A. 서론과 정의
— 55
B. 특별 계시의 특성
— 55
1. 선택으로서의 특별 계시
— 55
2. 구속으로서의 특별 계시
— 55
3. 순응으로서의 계시
— 55
IV. 성경의 영감
— 59
A. 서론:정의의 문제
— 59
B. 영감에 대한 성경의 견해
— 59
1. 영감:단어인가, 개념인가?
— 59
2. 성경의 인간적 면모
— 59
3. 하나님이 성경에 숨을 불어넣으심
— 59
C.영감의 방식과 대상 및 정도
— 59
1. 영감의 방식
— 59
2. 영감의 대상
— 59
3. 영감의 정도(범위)
— 59
D. 영감의 결과
— 59
1. 성경:하나님의 살아 있는 음성
— 59
2. 성경의 권위
— 59
3. 성경의 신뢰성
— 59
4. 성경의 명료성과 충분성
— 59
V. 실제적인 적용
— 72
VI. 역사적 개관
— 73
A. 초기교회와 중세교회
— 73
B.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 73
C. 이성과 계몽주의 시대
— 73
D. 현대의 견해들
— 73
E. 재림교회의 이해
— 73
VII. 엘렌 G. 화잇의 언급
— 80
A. 서론
— 80
B. 계시
— 80
C. 성경과 영감
— 80
VIII. 참고문헌
— 84
제3장 성경 해석(리처드 M. 데이빗슨, 박춘식 역)
— 87
I. 하나님의 말씀을 해석함
— 88
A. 계시—영감—조명
— 88
B. 해석의 필요
— 88
C. 해석학:정의와 범위
— 88
II. 성경해석의기본원칙들
— 89
A. 성경, 오직 성경
— 89
1. 성경의 수위성
— 89
2. 성경의 충분성
— 89
B. 성경의 전체성
— 89
1.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의 불가분적인 연합
— 89
2.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과 동등한 것이지, 하나님 말씀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다.
— 89
C. 성경의 유비
— 89
1.
“성경은 그 자체의 해석자이다”
— 89
2. 성경의 일관성
— 89
3. 성경의 명료성
— 89
D.
“영적인 것은 영적으로 분별됨”
— 89
1. 성령의 역할
— 89
2. 해석자의 영적 생활
— 89
III.성경을 위한 세부 지침
— 98
A. 본문과 번역
— 98
1. 본문 연구
— 98
a. 성경 본문의 보존
— 98
b. 본문 연구의 필요
— 98
2. 번역과 역본
— 98
a. 번역과 관련된 도전들
— 98
b. 번역의 유형들
— 98
B. 역사적 맥락
— 98
1. 신뢰할 만한 역사로서의 성경
— 98
2. 개론적인 문제들
— 98
3. 역사적 배경
— 98
4. 세속 역사에서 발견되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
— 98
5. 평행하는 성경 기사들에 존재하는 일치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점
— 98
a. 기자마다 갖고 있는 각기 다른 목적들을 인식하라
— 98
b. 각 기자가 전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다른 이야기와 결합시켜야 할 사건의 일부에 대해 언급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라
— 98
c. 역사적 사실성은 다른 보고들이 동일해야 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라
— 98
d. 역사를 기록하는 데 수용된 관습이 1세기에는 달랐다는 점을 인식하라
— 98
e. 복음서의 평행 구절 속에 기록된 예수의 유사한 기적과 말씀들은 다른 때 일어난 것일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하라
— 98
f. 성경에는 필사상의 사소한 실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라
— 98
g. 추가적인 정보를 얻게 될 때까지 불일치하게 보이는 어떤 것들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는 것이 때때로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라
— 98
C. 문학적 분석
— 98
1. 구절의 한계
— 98
2. 문학 유형
— 98
a. 산문
— 98
b. 시가
— 98
3. 문학적 구조
— 98
D. 절별 분석
— 98
1. 문법과 구문
— 98
2. 단어 연구
— 98
E. 신학적 분석
— 98
1. 신학적 연구의 방법들
— 98
a. 책별 연구
— 98
b. 절별 주해
— 98
c. 주제별 연구
— 98
d.
“대(大)중심 주제”
관점
— 98
e. 문학적 구조적 분석
— 98
2. 신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구절들
— 98
a. 성경에서 하나님의 전체적인 모습은 무엇인가? 특별히 갈보리에 나타난 것은 어떤 것인가?
— 98
b. 성경의 다른 곳에서 혹은 성경 밖의 자료에서 문제가 되는 구절에 타당한 부가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주는 것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 98
c. 하나님이 온 몸을 구원하기 위하여 감염된 부분을 잘라 버리는 신적 외과의사로 활동하고 계시는가?
— 98
d. 히브리 사상을 이해하는 것은 해석의 어려움을 해결하는가?
— 98
e. 기술되고 있는 상황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이상은 무엇인가?
— 98
f. 하나님의 행동은 그의 백성들이 그의 말씀을 듣도록 깨우기 위한 주의를 끄는 장치인가?
— 98
g. 아직 충분히 설명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어떤 점이 여전히 있지 않는가?
— 98
3. 성경 자체 너머를 가리키는 성경
— 98
a. 예언
— 98
b. 표상학
— 98
(1) 표상학은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다.
— 98
(2) 표상[예표]은 앞을 가리키거나 예고적으로 예시한다.
— 98
(3) 표상은 예표하지만, 명시적으로나 언어적으로 예표하지는 않는다.
— 98
(4) 표상학은 고조된 상응점들과 관련된다.
— 98
(5) 표상은 실체의 예표로 기능하도록 하나님이 지정하신 것이다.
— 98
c. 상징
— 98
d. 비유들
— 98
F. 각 시대를 위한 적용
— 98
1. 문화와 시대를 초월하는 성경
— 98
2. 기별의 영속성을 결정하기 위한 성경의 규제들
— 98
3. 성경의 개인적인 적용
— 98
IV. 성경 해석학의 역사
— 117
A. 성경 자체 내의(Inner-Biblical) 해석 방법
— 117
B. 초기 유대인들의 성경 해석학
— 117
1. AD 70년 이전의 서기관들의 주석 방식
— 117
2. 후기 랍비들의 해석
— 117
3. 비(非)서기관적인 전통들: 쿰란
— 117
4. 비서기관적인 전통들:알렉산드리아의 필론
— 117
C. 초기 그리스도교의 해석학
— 117
1. 초기 교부들
— 117
2.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해석학
— 117
3. 안디옥 학파의 해석학
— 117
D. 중세 해석학
— 117
E. 종교개혁 해석학과 역사적-문법적 방법
— 117
F. 계몽주의 해석학과 역사적-비평적 방법
— 117
1. 역사적 발전
— 117
2. 역사적 비평주의의 전제들
— 117
3. 역사적 비평주의의 발전적 과정
— 117
4. 기타 비평주의 연구 방법들
— 117
G. 두 가지 해석 방법 비교
— 117
H. 성경에 기초한 재림운동의 해석학
— 117
V. 엘렌 G. 화잇의 언급
— 128
A. 성경 해석
— 128
B. 성경 해석에 있어서의 성령의 역할
— 128
C. 성경 해석을 위한 세부 지침
— 128
1. 본문과 번역
— 128
2. 역사적 문맥
— 128
3. 문학적 분석
— 128
4. 절별 분석
— 128
5. 신학적 분석
— 128
6. 표상학, 상징, 비유
— 128
7. 시대적 적용
— 128
D. 성경 해석의 역사
— 128
1. 랍비들의 해석
— 128
2. 중세 해석학
— 128
3. 종교개혁자들의해석학
— 128
4. 고등비평
— 128
5. 밀러주의자들의 해석학
— 128
VI. 참고문헌
— 135
제4장 신론(페르난도 L. 카날레, 임봉경)
— 137
I. 하나님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자료
— 138
A. 성경
— 138
B. 일반 계시
— 138
II. 하나님의 본질
— 140
A. 하나님의 존재
— 140
B. 신비로서의 하나님
— 140
III. 하나님의 속성
— 141
A. 영원성
— 141
B. 불변성
— 141
C. 사랑과 진노
— 141
1. 하나님의 사랑
— 141
2. 하나님의 진노
— 141
D. 초월성
— 141
IV. 하나님의 활동
— 146
A. 예지(foreknowledge)
— 146
B. 예정
— 146
C. 창조
— 146
D. 역사적 임재
— 146
E. 섭리
— 146
1. 간접적인 섭리 활동
— 146
2. 직접적인 섭리 활동
— 146
V. 하나님의 단독성
— 153
A. 구약의 증거
— 153
B. 신약의 증거
— 153
VI. 구약에 나타난 신성(Godhead)
— 154
A. 충만의 복수와 신성
— 154
B. 야훼의 사자
— 154
C. 야훼에 대한 이중적 계시
— 154
VII. 신약에 나타난 신성(Godhead)
— 156
A. 아들 하나님
— 156
1. 신성
— 156
2. 아들 됨(Sonship)
— 156
3. 아버지로 말미암아 태어남
— 156
4. 아들의 종속됨의 본질
— 156
B. 아버지 하나님
— 156
1.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아버지 됨
— 156
2.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 156
3. 아들을 보내심
— 156
4. 아들에게 위임함
— 156
5. 구원 사역
— 156
6. 이위일체적인 공식
— 156
C. 성령 하나님
— 156
1. 그리스도의 선포
— 156
2. 오순절 성령 강림
— 156
a. 표상학적인 배경
— 156
b.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
— 156
c. 신약에 나타난 성령의 사역의 새로운 국면
— 156
d. 아버지와 아들에게서 나옴
— 156
3. 성령의 신성
— 156
4. 성령의 위격
— 156
5. 성령의 구원 사역
— 156
a. 계시—영감
— 156
b. 조명
— 156
c. 내주(內住)
— 156
d. 간구
— 156
e. 성령의 은사
— 156
6. 종말에 부어질 성령의 은사
— 156
D. 신약에 나타난 삼위일체
— 156
VIII. 하나님에 관한 교리가 끼친 영향
— 172
IX. 역사적 개관
— 173
A. 그리스도교 시대 이전의 철학적 개념들
— 173
1. 신플라톤주의
— 173
2.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173
B. 교부시대
— 173
1. 유스티노스 마르튀로스(100년경—165년경)
— 173
2. 이레나이우스(115년경—202년경)
— 173
3. 오리게네스(185년경-254년경)
— 173
4. 삼위일체에 관한 이단들
— 173
5. 니케아종교회의(325년)
— 173
6. 아우구스티누스(354-430년)
— 173
7. 아타나시우스 신조(430년경-500년)
— 173
C. 중세
— 173
D. 종교개혁 시대
— 173
1. 마르틴 루터(1483—1546년)
— 173
2. 장칼뱅(1509-1564년)
— 173
3. 재침례파
— 173
4.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1560—1609년)
— 173
E. 현대
— 173
1. 프리드리히 쉴라이어마허(1768—1834년)
— 173
2. 카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년)
— 173
3. 앨프레드 화이트헤드(Alfred Whitehead, 1861-1947년)
— 173
4.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1928년-2014년)
— 173
5. 하나님에 관한
“열린 견해”
— 173
F.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173
1. 시간 안에서의(한시적인) 종속론
— 173
2. 고전적인 삼위일체론을 거부함
— 173
3. 성경적 삼위일체를 확정함
— 173
4. 현대의 추세
— 173
X. 엘렌 G. 화잇의 언급
— 185
A. 하나님에 관한 사변적인 연구
— 185
B. 일반 계시
— 185
C. 하나님의 실재
— 185
1. 하나님의 존재
— 185
2. 신비로서의 하나님
— 185
D. 하나님의 속성
— 185
1. 하나님의 영원성
— 185
2. 하나님의 불변성
— 185
3. 하나님의 사랑과 진노
— 185
4. 초월성
— 185
E. 하나님의 활동
— 185
1. 예정
— 185
2. 창조
— 185
3. 섭리
— 185
F. 삼위일체
— 185
G. 영원한 하나님
— 185
H. 영원한 아들과 그의 사역
— 185
I. 영원한 성령과 그의 사역
— 185
XI. 참고문헌
— 192
제5장 그리스도의 위격과 사역(라울 데드랑, 송경호)
— 195
I. 말씀이 육신이 되심
— 196
A. 성육신
— 196
1. 그리스도의 선재(先在)
— 196
2. 그리스도의 성육신
— 196
3. 동정녀 탄생
— 196
B. 인성과 신성
— 196
1. 그리스도의 인성
— 196
a. 성경의 증거
— 196
b. 성경의 원칙에 따라 구현된 사람으로서의 삶
— 196
2. 무죄한 인성
— 196
3. 그리스도의 신성
— 196
a. 그리스도의 칭호들
— 196
(1) 메시아/그리스도
— 196
(2) 주로서의 그리스도
— 196
(3) 하나님의 아들
— 196
b. 하나님이신 예수
— 196
c. 예수의 신성에 대한 자각
— 196
4. 참된 신성과 참된 인성을 소유하신 한 분의 위격(位格)
— 196
II. 그리스도의 사역과 죽음
— 206
A.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오셔서 하신 일
— 206
1. 하나님의 약속들을 확증하심
— 206
2.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심
— 206
3.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나누어주심
— 206
4. 하나님의 종이 되심
— 206
5. 모본을 남기심
— 206
6. 연약한 자들과 병든 자들을 고치심
— 206
7. 죄가 참으로 죄 된 것임을 보여 주심
— 206
8. 충성된 대제사장이 되심
— 206
9. 자신의 죽음을 통해서 죄인들을 구원하심
— 206
B. 구약에 예언된 그리스도의 사역
— 206
1. 그리스도께서 염두에 두고 있던 사실
— 206
2. 신약의 기자들이 가졌던 확신
— 206
3. 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그리스도의 죽음
— 206
C. 속죄:그 배경을 이루는 요소들
— 206
1.
“Atonement(속죄)”
라는 영어 단어의 의미
— 206
2. 본래의 조화로운 관계
— 206
3. 격리된 이유
— 206
4. 속죄와 그리스도의 죽음
— 206
5. 하나님의 사역
— 206
D.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에 대한 신약의 가르침
— 206
1. 희생적인 죽음
— 206
2. 대속적 죽음
— 206
3. 속죄— 화목제물의 차원
— 206
4. 의롭다 하심[칭의]
— 206
5. 화목케 하심
— 206
E. 속죄 행위의 범위
— 206
III. 올림을 받으신 그리스도
— 223
A. 부활하신 그리스도
— 223
1. 기초적 사건
— 223
2. 빈 무덤
— 223
3. 육체적 부활
— 223
4. 그리스도의 부활의 중요성
— 223
1. 성경의 증거
— 223
2. 승천과 그리스도와의 관계
— 223
3. 승천과 신자들과의 관계
— 223
C. 대제사장으로서의 그리스도의 봉사
— 223
1. 성경의 증거
— 223
2. 각기 다른 두 종류의 봉사
— 223
3. 만물을 다스리고 충만케 하기 위해 승천하심
— 223
D. 그리스도의 재림
— 223
1. 성경의 증거
— 223
2. 재림의 방식
— 223
3. 하나님 나라의 승리
— 223
E. 하나님의 초청
— 223
IV. 역사적 개관
— 232
A. 초기교회
— 232
1. 두 본성의 실재성을 부인함
— 232
2. 두 본성의 완전성을 부정함
— 232
3. 니케아 공의회의 결론
— 232
4. 두 본성의 상호 관계
— 232
a. 압폴리나리스
— 232
b. 네스토리우스
— 232
c. 유튀케스
— 232
5. 칼케돈 공의회의 결론
— 232
B. 중세
— 232
1. 그리스도의 사역에 초점을 맞춤
— 232
a.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 232
b. 아벨라르
— 232
C. 종교개혁 시대
— 232
1. 콤무니카타오 이디오마툼(Communicatio ldiomatum)의 문제
— 232
2. 그리스도의 상태와 직분에 관해서
— 232
D. 현대
— 232
1. 획기적인 전환
— 232
2. 프리드리히 쉴라이어마허
— 232
3. 알브레히트 리췰
— 232
4. 케노시스주의(Kenoticism)
— 232
E. 현대의 접근 방법들
— 232
1. 카를 바르트의 삼위일체적인 그리스도론
— 232
2. 루돌프 불트만의 비신화화한 그리스도
— 232
3. D. M. 베일리의 역설적(逆說的) 그리스도론
— 232
4. 오스카르 쿨만
— 232
5. 과정(過程) 그리스도론
— 232
6.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 232
7. 해방 신학들
— 232
8. 〈성육하신 하나님의 신화〉
— 232
9. 예수 세미나
— 232
10. 로마가톨릭교회의 그리스도론
— 232
F. 최근의 동향
— 232
G.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232
V. 엘렌 G. 화잇의 언급
— 244
A. 말씀이 육신이 되심
— 244
B. 타락한 인성
— 244
C. 한 위격 안에 존재하는 두 가지 본성
— 244
D. 우리의 모본이신 그리스도
— 244
E. 희생의 죽음
— 244
F.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내심
— 244
G. 그리스도의 부활
— 244
H. 그리스도의 승천
— 244
I. 그리스도의 대제사장 직분
— 244
VI. 참고문헌
— 249
제6장 인간론(아에시오 E. 카이루스, 송경호)
— 251
I. 사람의 본래 상태
— 252
A. 성경의 기록
— 252
B. 인간 속에 있는 하나님의 형상
— 252
1. 창조물 가운데서 사람이 지니는 위상
— 252
a.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신 목적
— 252
b. 하나님의 자화상
— 252
c.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개념과 연관된 언급들
— 252
2. 하나님의 형상의 내용
— 252
3. 본래의 의
— 252
C. 본래 상태에서의 성(性)
— 252
1. 교제에 대한 인간의 필요
— 252
2. 여자의 창조
— 252
3. 결혼의 의미
— 252
D. 인류의 본래적인 통일성
— 252
E. 내면의 삶과 그것의 유기적 지지(支持)
— 252
1. 전인적 존재로서의 인간
— 252
2. 성경적 일원론
— 252
3. 성경이 말하는
“혼”
과
“영”
— 252
II. 사람의 현재 상태
— 262
A. 성경의 기록
— 262
B. 보편적 실체로서의 죄
— 262
1. 로마서 5:12
— 262
2. 잘못 이해되고 있는 구절
— 262
3. 불가항력적인 성향들
— 262
4. 성향을 극복함
— 262
5. 인간의 타락 및 그것이 사회에 끼치는 영향
— 262
C. 궁극적 원수인 죽음
— 262
1. 죄의 형벌로서의 죽음
— 262
2. 죽음에서 생명으로 원상 복귀함
— 262
3. 소멸하는 징벌의 의미
— 262
III. 사람의 미래 상태
— 270
1. 구원받은 자들의 임시 거처
— 270
2. 구원받은 자들의 영구적인 본향
— 270
3. 미래의 우리의 몸
— 270
IV. 성경적 인간론이 그리스도인의 삶에 끼치는 영향
— 273
V. 역사적 개관
— 274
A. 일원론과 이원론
— 274
B. 재림교회는 타고난 불멸을 배척함
— 274
C. 죄의 보편성
— 274
D. 재림교회의 사상
— 274
VI. 엘렌 G. 화잇의 언급
— 278
A. 피조물 가운데서 사람이 차지하는 위치
— 278
B.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됨
— 278
C. 여자의 창조
— 278
D. 결혼의 의미
— 278
E. 자유의지
— 278
F. 본래의 의
— 278
G. 타락
— 278
H. 조건적 불멸
— 278
I. 죄된 성향들
— 278
J. 오직 그리스도 안에만 생명이 있음
— 278
K.부활
— 278
L. 새 땅
— 278
VII. 참고문헌
— 283
부록 A 성경이 말하는 여자의 위상
— 284
부록 B 남편과 아내의 관계
— 284
제7장 죄론(존 M. 파울러, 임봉경)
— 287
I. 죄가 들어오기 전의 인간
— 288
A. 하나님의 형상
— 288
B.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계획
— 288
C. 죄와 하나님의 형상
— 288
II. 죄를 가리키는 성경의 용어들
— 292
A. 구약
— 292
1. 핫타아트
— 292
2. 아온
— 292
3. 페샤
— 292
4. 레샤
— 292
5. 요약
— 292
B. 신약
— 292
1. 하마르티아
— 292
2. 파라코에
— 292
3. 파라바시스
— 292
4. 파라프토마
— 292
5. 아노미아
— 292
6. 아디키아
— 292
7. 요약
— 292
III. 죄의 기원
— 294
A. 인간 창조 전의 천사의 범죄
— 294
B. 인간의 타락
— 294
1. 역사적 행위
— 294
2. 책임져야 할 행위
— 294
3. 영적 및 도덕적 행위
— 294
4. 유혹과 타락
— 294
IV. 죄의 성격과 본질
— 300
A. 하나님에 대한 반역으로서의 죄
— 300
B. 깨진 관계로서의 죄
— 300
C. 상태로서의 죄
— 300
D. 구체적인 종류의 악으로서의 죄
— 300
E. 하나님의 표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서의 죄
— 300
F. 불법으로서의 죄
— 300
G. 이기심과 교만으로서의 죄
— 300
H. 속박하는 세력으로서의 죄
— 300
I. 죄책과 호염으로서의 죄
— 300
J. 의무 태만으로서의 죄
— 300
K. 요약
— 300
V. 죄의 결과
— 309
A. 인간 존재에게 일어난 결과
— 309
1. 아담과 하와에게
— 309
2. 인류에게
— 309
3. 물리적 세계에
— 309
B. 하나님께 일어난 결과
— 309
VI. 죄의 범위와 제거
— 311
A. 죄의 광범위함
— 311
1. 죄의 우주적 영향
— 311
2. 죄의 보편성
— 311
B. 죄의 전수(傳授)
— 311
C. 죄에 대한 형벌인 사망
— 311
1. 하나님의 진노
— 311
2. 하나님의 공의
— 311
D. 죄의 근절
— 311
VII. 역사적 개관
— 315
A. 초기교회
— 315
B. 펠라기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
— 315
1. 펠라기우스
— 315
2. 아우구스티누스
— 315
C.중세
— 315
1. 안셀무스
— 315
2. 토마스 아퀴나스
— 315
D.종교개혁 시대
— 315
1. 마르틴 루터
— 315
2. 장 칼뱅
— 315
3. 울리히 츠빙글리
— 315
4. 재침례파 개혁자들
— 315
E. 종교개혁 이후 시대
— 315
1 .야코부스아르미니우스
— 315
2. 트렌트 종교회의
— 315
F.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 315
1. 연대 신학
— 315
2. 간접 전가
— 315
3. 존 웨슬리
— 315
4. 새 학파 신학
— 315
5. 실재론 학파
— 315
G. 20세기
— 315
1. 신정통주의
— 315
2. 사회복음
— 315
3. 해방신학
— 315
H. 재림교회의 이해
— 315
VIII. 그리스도인 삶을 위한 함의
— 323
A. 하나님의 본질
— 323
B. 인간의 본성과 존엄성
— 323
C. 하나님의 사랑의 위대함
— 323
D. 시험을 이기는 힘
— 323
E. 도덕적 책임
— 323
F. 삶의 의미와 목적
— 323
IX. 엘렌 G. 화잇의 언급
— 324
A. 죄짓기 전의 인간
— 324
B. 죄의 기원
— 324
C. 죄의 본질과 실체
— 324
D. 죄의 결과
— 324
E. 죄의 범위와 제거
— 324
F. 그리스도인 삶을 위한 교훈
— 324
X. 참고문헌
— 327
제8장 구원론(아이번 T. 블레이즌, 김동혜)
— 329
I. 성경의 용어와 기본 개념
— 330
A. 구원과 관련된 용어
— 330
B. 구원의 역사적인 성격
— 330
C. 하나님은 무엇으로부터 구원하시는가?
— 330
D. 하나님이 구원하시는 사람들
— 330
E.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인류의 필요
— 330
1. 현실과 죄의 결과
— 330
2. 죄의 본질
— 330
a. 행위로서의 죄
— 330
b. 마음의 부패로서의 죄
— 330
c. 속박하는 세력으로서의 죄
— 330
3. 죄로 인한 구원의 필요성
— 330
II. 구원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
— 334
A. 영원 전에 세운 하나님의 결정
— 334
B. 시간 속에 주어진 하나님의 언약들
— 334
1. 하나님의 언약의 본질과 봉일성
— 334
2. 아담 언약, 노아 언약, 영원한 언약
— 334
3. 아브라함 언약, 시내 언약, 다윗 언약
— 334
4. 새 언약
— 334
5. 옛 언약
— 334
III. 구원의 구성 요소
— 337
A. 하나님과의 새로운 관계
— 337
1. 칭의와 의
— 337
a. 용어
— 337
b. 칭의의 사법적 배경
— 337
c. 선례들
— 337
d. 하나님의 의
— 337
e. 칭의의 국면들
— 337
(1)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로서의 칭의
— 337
(2) 무죄 선고로서의 칭의
— 337
(3) 의롭다고 여기는 것으로서의 칭의
— 337
(4) 하나님의 용서로서의 칭의
— 337
(5) 종말적 삶과 새 창조로서의 칭의
— 337
(6)통치권의 교체로서의 칭의
— 337
(7) 공동체로서의 칭의
— 337
(8) 의의 실재로서의 칭의
— 337
f. 칭의의 근거
— 337
g. 칭의의 수용
— 337
2. 화목
— 337
a. 용어와 기본적인 의미
— 337
b. 칭의와의 관계
— 337
c. 객관적인 일로서의 화목
— 337
d. 화목의 목적들
— 337
3. 양자됨
— 337
a. 칭의와 성화의 관계
— 337
b. 성경 상의 용법
— 337
c. 로마의 입양과 그 신학적 의미
— 337
B. 하나님 앞에서의 새로운 확신
— 337
1. 최후의 구원에 대한 현재의 확신
— 337
2. 그의 아들이라는 하나님의 선물을 통한 현재의 영생
— 337
3. 믿음을 통한 확신과 행함에 따른 심판
— 337
a. 심판의 구절: 목적과 중요성
— 337
b. 심판에 대한 그리스도론적인 전제
— 337
c. 긴장을 해결함
— 337
d. 확신의 결과
— 337
C.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새로운 삶
— 337
1. 중생
— 337
a. 기본 개념
— 337
b. 성경의 용례
— 337
2. 회개와 회심
— 337
a. 회개에 사용된 용어
— 337
b. 회개의 의미와 내용
— 337
c. 회개를 위한 동기부여
— 337
3. 성화
— 337
a. 성화의 의미
— 337
(1) 새로운 관계와 신분으로서의 성화
— 337
(2) 선함에 있어서 도덕적 자라남으로서의 성화
— 337
b. 성화와 완전
— 337
(1) 용어
— 337
(2) 성화와 완전의 관계
— 337
(3) 사랑, 완전을 여는 열쇠
— 337
(4) 완전의 파루시아(임함)
— 337
IV. 구원론의 실천적 함의
— 361
V. 구원론의 역사
— 362
A. 속사도 교부들
— 362
B. 속사도 교부로부터 아우구스티누스까지
— 362
1. 이레나이우스
— 362
2. 테르툴리아누스
— 362
3. 오리게네스
— 362
4. 동방교회의 신학자들과 아타나시우스
— 362
5.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의 논쟁
— 362
C. 중세 스콜라주의
— 362
1. 안셀무스
— 362
2. 아벨라르
— 362
D. 종교개혁 사상과 가톨릭의 반동
— 362
1. 루터
— 362
2. 칼뱅
— 362
3. 트렌트 공의회
— 362
E. 아르미니우스주의와 감리교
— 362
1 .야코부스아르미니우스
— 362
2 . 존 웨슬리
— 362
VI.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 369
VII. 엘렌 G. 화잇의 언급
— 370
A. 하나님의 구원의 목적
— 370
1.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발견할 수 있음
— 370
2. 우리가 구원 받는 방법
— 370
3. 하나님은 우리의 구원을 위해 아무것도 아끼지 않으심
— 370
4. 악에 저항할 힘이 없는 죄인
— 370
5. 그리스도의 의:하늘을 위한 자격과 적합성
— 370
6. 의롭다고 여겨지는 죄인들
— 370
7. 용서 그 이상
— 370
B. 그리스도의 속죄하는 죽음
— 370
1. 속죄가 하나님 사랑의 원인이 아님
— 370
2. 우리가 마땅히 받아야 할 취급을 받으심
— 370
3. 용서를 위한 십자가의 필요성
— 370
4. 공의와 자비의 연합
— 370
5. 그리스도 안에서 벌 받은 죄
— 370
6. 은혜의 대기
— 370
C. 믿음의 역할
— 370
1. 믿음이란
— 370
2. 그리스도는 우리의 불신 때문에 수치를 당하심
— 370
3. 그리스도 안에서의 승리
— 370
4.
“나는 구원 받았다.”
라고 말하는 문제
— 370
D. 가장 약한 자들을 위한 희망
— 370
1. 부족함 때문에 낙심하지 말라
— 370
2. 자아가 아닌 그리스도 위에 마음이 머물러 있게 하라
— 370
3. 가장 약한 성도가 사탄보다 강함
— 370
4. 성령과 중생
— 370
5. 죄로부터의 완전한 회복
— 370
6. 위대한 변화
— 370
7. 회심의 시금석
— 370
E. 성화:평생의 사업
— 370
1. 하나님께 굴복하는 법
— 370
2. 순종, 믿음의 열매
— 370
3. 우리 자신의 충동을 실행하는 것으로의 순종
— 370
4. 그리스도 안에서의 영혼의 완전
— 370
5. 우리의 영역에서 거룩함
— 370
6. 하나님의 자녀들을 위한 이상
— 370
7. 온전한 굴복으로서의 완전
— 370
8. 그리스도께서 악한 성향과 욕망에 대한 승리를 주심
— 370
9. 습관적인 말과 행동을 통해 드러난 품성
— 370
10. 힘쓰는 자들을 위한 그리스도의 완전
— 370
11. 완전은 점진적임
— 370
12. 완전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결함을 봄
— 370
VIII. 참고문헌
— 376
제9장 죽음: 기원과 본질 및 최종적 근절(닐스-에릭 A. 앤드리어슨, 제해종)
— 379
I. 성경적 설명
— 380
A. 인간을 가리키는 용어와 정의들
— 380
1. 구약에서 죽음을 가리키는 단어들
— 380
2. 신약에서 죽음을 가리키는 단어들
— 380
3. 생명과 죽음의 본질
— 380
4. 전인론과 인간의 본질
— 380
5. 죽음과 삶의 기억
— 380
6. 부활을 기다림
— 380
B. 죽음:그 기원, 대행자들 그리고 영향
— 380
1. 죽음의 원인
— 380
2. 죽음의 대행자들
— 380
a. 사탄
— 380
b. 마귀(디아볼로스)
— 380
c. 귀신들
— 380
d. 뱀
— 380
e. 리워야단과 라합
— 380
f. 온역(데베르)과 역병(레셰프)
— 380
3. 죽음의 보편성
— 380
C. 죽은 자들의 상태
— 380
1. 매장과 무덤
— 380
2. 죽음의 영역
— 380
3. 죽은 자들의 상황
— 380
4. 잠으로서의 죽음
— 380
D. 접신과 강신술
— 380
E. 죽음을 다루는 독특한 신약 본문들
— 380
1. 누가복음 23:43
— 380
2. 고린도후서 5:1-10과 빌립보서 1:19-26
— 380
3. 데살로니가전서 4:14
— 380
4. 히브리서 12:23과 요한계시록 6:9
— 380
F. 부활과 죽음의 근절
— 380
1. 죽음의 권세
— 380
2. 삶의 끝으로서의 죽음
— 380
3. 파멸로서의 죽음
— 380
4. 형벌로서의 죽음
— 380
5. 둘째 사망
— 380
6. 부활의 소망
— 380
7. 죽음의 근절
— 380
G. 최후의 운명들
— 380
1. 하나님의 심판의 시기, 기간, 결과
— 380
2. 영생의 보증
— 380
II. 역사적개관
— 402
A. 역사의 여명기
— 402
B. 헬라, 로마 그리고 유대인의 개념들
— 402
C. 초기 및 중세 교회
— 402
D. 16세기 종교개혁과 그 후의 발전들
— 402
E.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입장
— 402
F. 현재의 동향
— 402
III. 엘렌 G. 화잇의 언급
— 410
A.중요성
— 410
1. 죽음의 기원
— 410
2. 죽음의 원인
— 410
3. 죽음의 본질
— 410
B. 영혼의 불멸에 대하여
— 410
C. 죽음의 패배
— 410
IV. 참고문헌
— 413
제10장 부활과 영광화(존 C. 브런트, 제해종)
— 415
I. 부활에 대한 성경적 관점
— 416
A. 신약
— 416
1. 요약
— 416
2. 개별 저자들
— 416
a. 바울
— 416
b. 공관복음과 사도행전
— 416
c. 요한의 글들
— 416
d. 기타 신약의 글들
— 416
B.구약
— 416
1. 미래 삶에 대한 일반적 관점들
— 416
2. 부활을 다루는 특정 본문들
— 416
a. 욥기 19:25-27
— 416
b. 이사야 26:19
— 416
c. 다니엘 12:2
— 416
II. 의인의 영광화
— 431
A. 예수의 영화롭게 된 상태
— 431
B. 신자의 영화롭게 된 상태
— 431
III. 부활 교리의 의의
— 433
A. 신학적 이해를 위한 의의
— 433
B. 실제적 경험을 위한 의의
— 433
IV. 역사적 개관
— 436
A. 고대 세계
— 436
B. 유대교
— 436
C. 초기교회
— 436
D. 중세
— 436
E. 종교개혁부터 계몽주의 시대까지
— 436
F. 현대
— 436
G.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입장
— 436
V. 엘렌 G. 화잇의 언급
— 442
A. 의인의 부활에 관하여
— 442
B. 악인의 부활에 관하여
— 442
C. 특별 부활에 관하여
— 442
VI. 참고문헌
— 445
제11장 성소(앙헬 마누엘 로드리게스, 손윤호)
— 447
I. 구약의 희생제도
— 448
A. 족장 시대의 희생제도
— 448
1. 희생제도의 기원
— 448
2. 희생제도의 일반적 특징들
— 448
3. 특정한 희생 제사들
— 448
a. 가인과 아벨의 제사
— 448
b. 노아의 제사
— 448
c. 아브라함의 제사(창 22장)
— 448
B. 이스라엘 자손의 희생제도
— 448
1. 이스라엘 자손의 성소
— 448
2. 제사장 직분
— 448
a. 백성 앞에 있는 하나님의 대표자
— 448
b. 하나님 앞에 있는 백성의 대표자
— 448
3. 제사와 제물
— 448
C. 구약 성소 제도의 기능
— 448
1. 이스라엘 성소의 신학적인 측면들
— 448
a. 만남의 장소
— 448
b. 하나님의 계시의 중심지
— 448
c. 예배의 중심지
— 448
d. 하늘 성소로 접근하는 장소
— 448
2. 성소, 언약 그리고 죄/부정의 본질
— 448
a. 언약과 거룩함
— 448
b. 죄와 언약
— 448
c. 부정(不淨)과 언약
— 448
d. 죄/부정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
— 448
3. 죄 문제의 해결
— 448
a. 매일의 봉사들
— 448
(1) 안수
— 448
(2) 짐승을 죽임
— 448
(3) 고기를 먹는 의식
— 448
(4) 피의 예식
— 448
(5) 모든 희생 제물의 속죄적 가치
— 448
(6) 매일 드리는 번제
— 448
(7) 전이와 오염
— 448
b. 연례적인 봉사: 속죄일
— 448
(1) 백성들의 최종적 정결
— 448
(2)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심판하심
— 448
(3) 하나님과 그분의 성소에 대한 옹호
— 448
II. 신약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
— 461
A. 표상적 제도의 한계
— 461
B. 새 반차의 우월성
— 461
1. 더 나은 언약
— 461
2. 더 나은 성소
— 461
a. 히브리서의 하늘 성소
— 461
b. 요한계시록의 하늘 성소
— 461
3. 더 나은 제사장 직분
— 461
a.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과 아론 계통의 제사장직분
— 461
b.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과 멜기세덱
— 461
4. 더 나은 피/희생 제물
— 461
III. 그리스도의하늘 성소 봉사
— 464
A. 하늘 성소 봉사의 개시
— 464
1. 다니엘과 하늘 성소 봉사의 개시
— 464
2. 히브리서와 하늘 성소 봉사의 개시
— 464
3. 요한계시록과 하늘 성소 봉사의 개시
— 464
B.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매일의 봉사
— 464
1. 중보와 매일의 봉사
— 464
2. 그리스도의 중보의 구체적인 측면들
— 464
C. 그리스도의 심판 사역: 속죄일
— 464
1. 히브리서에 나타난 속죄일
— 464
2. 다니엘서에 나타난 속죄일
— 464
a. 다니엘 8:13, 14: 속죄일
— 464
(1) 다니엘 8:14에 나오는 니츠다크의 의미
— 464
(2) 2,300주야
— 464
b. 다니엘 7장: 심판
— 464
c. 다니엘서에 나타난 성소의 정결/옹호의 의미
— 464
3. 요한계시록의 속죄일
— 464
a. 조사심판
— 464
b. 심판의 시작
— 464
c. 조사심판의 결과
— 464
D.요약
— 464
IV. 그리스도의 희생과 제사장 직분이 그리스도인 경험에 주는 함의
— 475
V. 역사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
— 477
A. 초기교회
— 477
B. 중세와 종교개혁
— 477
C. 현대
— 477
D. 재림교회의 이해
— 477
VI. 엘렌 G. 화잇의 언급
— 481
A. 이스라엘 백성의 성소 봉사
— 481
B. 그리스도의 희생
— 481
C. 하늘 성소
— 481
D. 그리스도의 대제사장 사역
— 481
VII. 참고문헌
— 486
부록 A 히브리서의 타 하기아
— 487
A. 히브리서 8:1, 2
— 487
B. 히브리서 9:1-10
— 487
C. 히브리서 9:11, 12
— 487
D. 히브리서 9:24, 25
— 487
E. 히브리서 10:19, 20
— 487
부록 B 히브리서 6:19, 20
— 492
제12장 창조(윌리엄 H. 셰이저, 하계상)
— 495
I. 구약에 나타난 창조
— 496
A. 창세기 1장
— 496
1. 태초에
— 496
2. 하늘과 땅
— 496
3. 첫째 날:빛의 창조
— 496
4. 창조의 날들에 대한 시간 요소
— 496
5. 둘째 날:궁창의 분리
— 496
6. 셋째 날:뭍과 물의 분리
— 496
7. 넷째 날:천체들의 출현
— 496
8. 첫째 날부터 셋째 날과 넷째 날부터 여섯째 날 사이의 문학적 및 역사적 관련성
— 496
9. 다섯째 날:새들과 물고기의 창조
— 496
10. 여섯째 날:육상 동물들과 인간의 창조
— 496
12. 하나님의 형상
— 496
13. 사람과 동물의 음식
— 496
14. 제7일의 안식일 창조
— 496
B. 창세기 2장
— 496
1. 주제의 유사성
— 496
2. 하나님의 이름들의 사용
— 496
3. 문학적인 구조
— 496
4. 창설된 동산
— 496
5. 네 강들
— 496
6. 에덴에 대한 두 번째 묘사
— 496
7. 여자의 창조
— 496
C. 지혜 문학:욥기
— 496
D. 시편
— 496
1. 시편 104편
— 496
2. 시편 19편
— 496
3. 시편 8편
— 496
E. 선지서
— 496
1. 아모스
— 496
2. 이사야
— 496
a. 이사야 40:26-28
— 496
b. 이사야 65-66장:재창조
— 496
3. 예레미야
— 496
a. 예레미야 10:11-13:참하나님과 거짓 신들
— 496
b. 예레미야 27:5: 창조주 하나님과 바벨론의 발흥
— 496
c. 예레미야 51:15-16
— 496
d. 예레미야 32:17
— 496
F. 구약에 나타난 기타 창조 진술들
— 496
G. 창조의 연대
— 496
II. 신약에 나타난 창조
— 515
A. 시간 속의 유한한 전환점으로서의 창조 주간
— 515
B. 창조에 나타난 계시와 신앙
— 515
C. 창조주로서의 그리스도
— 515
D. 마지막 때의 기별에 나타난 창조
— 515
E. 궁극적인 재창조: 새 땅
— 515
III. 신학과 개인적인 경험
— 519
A. 우리는 그분의 피조물이다.
— 519
B. 우리의 창조주께 대한 예배
— 519
C. 청지기직
— 519
D. 역사적인 창조 행위
— 519
E. 유지자께 대한 예배
— 519
F. 천연계에 나타나 있는 하나님의 계시
— 519
G. 거절된 진화론
— 519
H. 선교와 메시지
— 519
IV. 역사적 개관
— 521
A. 고대 근동
— 521
1. 앗시리아의 견해: 에누마 엘리쉬
— 521
2. 고대 바벨론 역:아트라하시스
— 521
3. 수메르의 창세기
— 521
4. 고대 이집트의 창조 신화들
— 521
5. 그리스의 창조 신학
— 521
B. 구약과 신약의 중간기 유대 문학
— 521
C. 1세기의 유대 문헌들
— 521
D. 초기교회:오리게네스와 아우구스티누스
— 521
E. 중세:하나의 실례로서의 아퀴나스
— 521
F. 종교개혁:하나의 실례로서의 마르틴 루터
— 521
G. 합리주의 시대
— 521
1. 창세기에 대한 문학 비평과 창조 이야기
— 521
2. 창세기에 대한 과학 비평과 창조 이야기
— 521
a. 19세기
— 521
b. 20세기
— 521
H.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인들의 기여
— 521
V. 창조에 대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 교인들의 관점
— 529
VI. 엘렌 G. 화잇의 언급
— 531
A. 천연계와 천연계의 하나님
— 531
B. 과학과 성경
— 531
C. 이 세상의 시작에 대한 참된 역사
— 531
D. 하나님은 선재하는 물질에 의존하지 않으셨음
— 531
E. 지구 자체만큼 오래된 안식일
— 531
F. 참된 과학과 거짓 과학 그리고 계시
— 531
G. 홍수에 대한 1890년의 진술들
— 531
H. 홍수에 의한 변화들의 증거
— 531
I. 산들 및 산의 조성에 관하여
— 531
VII. 참고문헌
— 535
제13장 하나님의 율법(마리오 벨로소, 김동혜)
— 537
I. 성경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율법
— 538
A. 정의
— 538
1. 율법을 표현한 말들
— 538
2. 율법의 종류
— 538
a. 비보편적인 율법들
— 538
b. 보편적인 법들
— 538
B. 도덕법의 성격
— 538
1. 십계명
— 538
2. 율법, 하나님 성품의 표현
— 538
3. 기본적인 원칙으로서의 율법
— 538
C. 도덕법의 영적인 성격
— 538
D. 도덕법의 목적
— 538
1. 정의(定義)를 제공함
— 538
2 . 방향을 제공함
— 538
E. 도덕법과 최후의 심판
— 538
II. 하나님의 도덕법의 영속성
— 546
A. 시내산 이전의 하나님의 율법
— 546
1. 창세기의 십계명
— 546
2. 시내산 이전의 죄
— 546
3. 시내산 이전의 넷째 계명
— 546
B. 시내산에서의 십계명
— 546
1. 십계명의 독특성
— 546
2. 십계명의 중요성
— 546
3. 의식법
— 546
C. 예수님의 가르침 속의 십계명
— 546
1. 십계명의 동등성
— 546
2. 십계명의 영속성
— 546
3. 안식일 계명
— 546
D. 바울 서신에 나타난 율법
— 546
1. 바울의 안식일 준수
— 546
2. 율법에 관한 바울의 가르침
— 546
a. 율법의 목적
— 546
b. 갈라디아서의 율법과 자유
— 546
(1) 엑사이레오
— 546
(2) 엘류쎄리아
— 546
(3) 엑사고라조
— 546
(4) 스타우로오
— 546
c. 문제 구절
— 546
(1) 로마서 10:4
— 546
(2) 에베소서 2:14, 15
— 546
(3) 골로새서 2:13, 14
— 546
E. 요한의 글들에 나타난 율법
— 546
1. 요한복음의 율법
— 546
2. 요한 서신의 율법
— 546
3. 요한계시록의 율법
— 546
III. 율법과 구원
— 562
A. 율법과 언약
— 562
1. 옛 언약
— 562
2. 새 언약
— 562
3. 율법과 새 언약
— 562
B. 도덕법과 은혜
— 562
1. 율법의 부적절한 기능-율법주의
— 562
2. 참된 순종의 증인
— 562
C. 율법과 십자가
— 562
1. 의식 제도의 종결
— 562
2. 십자가:도덕법의 재확인
— 562
IV. 그리스도인 생활을 위한 실천적인 함의
— 568
V. 역사적 개관
— 569
A. 속사도 교부들과 변증론자들
— 569
B. 중세의 사조(思潮)
— 569
C. 종교개혁
— 569
D. 현대
— 569
VI. 엘렌 G. 화잇의 언급
— 572
A. 엘렌 G. 화잇의 글에 나타난 율법
— 572
B.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교리 안에서의 율법
— 572
VII. 참고문헌
— 575
제14장 안식일(케네쓰 A. 스트랜드, 임봉경)
— 577
I. 구약에 나타난 안식일
— 579
A. 오경
— 579
1 .개관
— 579
2. 오경에 나타난 안식일 관련 본문들
— 579
a. 창세기 2:1-3
— 579
b. 출애굽기 5:5
— 579
c. 출애굽기 16장
— 579
d. 출애굽기 20:8-11
— 579
e. 출애굽기 23:12
— 579
f. 출애굽기 31:13-17
— 579
g. 출애굽기 34:21
— 579
h. 출애굽기 35:2, 3
— 579
i. 레위기
— 579
j. 민수기
— 579
B. 역사서, 시편, 선지서
— 579
1. BC 11-10세기의 언급들
— 579
2. BC 9세기의 언급들
— 579
3. BC 8세기의언급들
— 579
a. 역사서
— 579
b. 선지자 아모스, 호세아, 이사야의 견책
— 579
c. 이사야에 나오는 긍정적인 언급들
— 579
4. BC 7세기 말에서 6세기까지의 언급
— 579
a. 예레미야
— 579
b. 에스겔
— 579
5. BC 5세기의 언급들: 느헤미야
— 579
II. 신약에 나타난 안식일
— 586
A. 복음서
— 586
1. 비논쟁적인 배경에 나타나는 안식일
— 586
a. 예수께서 회당 예배에 참석하심
— 586
b. 마태복음 24:20의 안식일 관련 권면
— 586
c. 예수께서 무덤에 계실 때 지키신 안식일
— 586
d. 최초기에 기록된 치유 기사
— 586
2. 논란에 휩싸인 안식일 사건들
— 586
a. 안식일에 이삭을 자른 일
— 586
b. 공관복음에 기록된 안식일 치유
— 586
c. 요한복음에 기록된 안식일 치유
— 586
3. 예수의 안식일 치유 사건이 지닌 의의
— 586
a. 안식일에 치유하신 이유
— 586
b. 예수의 사명 선포로서의 치유
— 586
B. 사도행전, 편지서, 요한계시록
— 586
1. 사도행전
— 586
2. 편지서
— 586
a. 골로새서 2:14-17
— 586
b. 히브리서 3:7-4:13
— 586
3. 요한계시록
— 586
C. 신약 증거의 요약
— 586
III. 성경적 안식일 신학
— 593
A. 안식일과 신론
— 593
1. 창조자로서의 하나님
— 593
2. 구속자로서의 하나님
— 593
3. 언약 제정자로서의 하나님
— 593
4. 죻은 은사의 시여자와 그분의 창조물의 유지자로서의 하나님
— 593
5. 최고로 공정하신 분으로서의 하나님
— 593
6. 완전한 분으로서의 하나님
— 593
7. 그리스도의 신성
— 593
B. 안식일과 인간론
— 593
1. 안식일과 인간의
“피조성”
— 593
2.
“공평하게 하는 분”
으로서의 안식일
— 593
3. 안식일과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가치
— 593
4. 안식일 그리고 친교와 사랑과 동정심
— 593
C. 안식일과 구원론
— 593
D. 안식일과 교회론
— 593
E. 안식일과 종말론
— 593
IV. 그리스도인들에게 안식일이 지닌 중요성
— 598
V. 역사에 나타난 안식일
— 599
A. 중간사 시대 및 초기 유대교
— 599
1. 중간사 시대
— 599
a. 엘레판티네 유대인들
— 599
b. 마카베오 방어전
— 599
c. 유딧서와 희년서
— 599
2. 랍비들의 전통
— 599
3. 엣세네파와 보이투스파
— 599
4. 필론과 요세푸스
— 599
B. 초기교회에 나타난 안식일과 일요일
— 599
1. 일요일 준수의 기원
— 599
2. AD 2-3세기의 안식일과 일요일
— 599
a. 최초기의 정보
— 599
b. 2세기의 교부들
— 599
c. 2세기의 외경 자료들
— 599
d. 3세기 교부들
— 599
3. AD 4-6세기의 안식일과 일요일
— 599
a. 4세기
— 599
b. 5세기
— 599
c. 6세기
— 599
d. 에티오피아에서의 안식일과 일요일
— 599
C. 중세와 종교개혁 시대의 안식일
— 599
1 .중세
— 599
2. 종교개혁 시대
— 599
a. 주요 개혁자들
— 599
b. 16세기의 안식일 준수자들
— 599
D. 청교도와 침례교도의 안식일
— 599
1. 청교도 일요일-안식일 준수자들
— 599
2. 영국에서의 토요일—안식일
— 599
3. 신세계에서의 토요일—안식일
— 599
E. 현대 유대인과 안식일
— 599
F.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의 역사와 실천에 있어서의 안식일
— 599
1. 재림교회 안식일 준수의 시작
— 599
a. 레이첼 오우크스와 T.M. 프레블
— 599
b. 조셉 베이츠
— 599
c.제임스 화잇과 엘렌 화잇
— 599
d.
“안식일 대회”
— 599
e. 안식일 시작 시간
— 599
f. 안식일과 예언/종말론
— 599
g. 안식일에 관한 초기의 출판물들
— 599
2. 재림교회의 안식일 준수 실천
— 599
VI. 엘렌 G. 화잇의 언급
— 614
A. 안식일의 기원과 의미
— 614
B. 인간에게 필요한 안식일
— 614
C. 안식일의 제정자 그리스도
— 614
D. 그리스도의 안식일 준수 원칙들
— 614
E. 안식일 준수와 거룩함
— 614
F. 역사를 통해 지켜진 안식일
— 614
G. 지구 역사의 마지막 위기 중의 안식일
— 614
H. 안식일 준비
— 614
I. 가정에서의 안식일
— 614
J. 안식일에 하는 여행
— 614
K. 안식일의 집회들
— 614
L. 추가적인 관심사
— 614
VII. 참고문헌
— 621
부록—7일로 구성된 주일과 율리우스—그레고리우스력
— 622
A.
“행성 주일”
— 622
B. 율리우스—그레고리우스력
— 622
제15장 교회론(라울 데드랑, 채영석)
— 625
I. 하나님의 계획 안에 있는 교회
— 626
A. 그리스도의 의도
— 626
1. 제자 모집과 훈련
— 626
2. 목자와 양무리
— 626
B.
“이 반석 위에”
— 626
II. 교회의 본질과 범위
— 628
A. 성경의 용어
— 628
B. 지역적인 교회와 세계적인 교회
— 628
C.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
— 628
1. 하나님의 통치로서의 나라
— 628
2. 교회의 역할
— 628
D. 신실한 이스라엘
— 628
1. 두 개의 주된 접근법
— 628
2. 언약 관계
— 628
3. 영적 이스라엘로서의 교회
— 628
E. 교회는 가시적인가, 비가시적인가?
— 628
1. 두 극단
— 628
2. 믿음과 회개가우선함
— 628
3. 유형의 가시적인 교회
— 628
III. 교회를 가리키는 성경의 이미지들
— 634
A. 몸으로서의 교회
— 634
B. 신부로서의 교회
— 634
C. 성전으로서의 교회
— 634
D.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
— 634
E. 몇 가지 임시들
— 634
IV. 교회의 사명
— 636
A.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 636
B. 신자들을 가르치라
— 636
C. 궁핍하고 고통당하는 자들에 대한 돌봄
— 636
D.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 636
E. 선교의 중심에 있는
‘말씀’
— 636
F. 성령의 사역
— 636
1.
“성령으로 충만함”
— 636
2. 성령의 은사
— 636
V. 교회의 정치
— 639
A.사도들의 사역
— 639
B. 지역적인 사역
— 639
C. 교회 정치와 신약
— 639
1. 이론들
— 639
2. 기본 원칙들
— 639
3. 은사와 기관
— 639
VI. 교회의 예식
— 642
A. 침례
— 642
1. 선례와 기원
— 642
2. 명령
— 642
3. 침례의 의미
— 642
4. 한 몸으로 연합하는 침례
— 642
5. 신자들의 침례
— 642
6. 침례와 성령
— 642
B. 성만찬
— 642
1. 성만찬의 의미
— 642
a. 뒤를 돌아봄
— 642
b. 임재하는 상기자
— 642
c. 앞으로를 바라봄
— 642
d. 상징적인 요소들
— 642
2. 세족예식
— 642
VII. 교회의 권위
— 647
A. 궁극적인 권위
— 647
B. 사도의 권위
— 647
C. 성경의 권위
— 647
D. 지역 교회에서의 권위
— 647
E. 세계 교회에서의 권위
— 647
VIII. 교회의 특성들
— 649
A. 믿음
— 649
B. 친교
— 649
C. 하나 됨
— 649
D. 거룩함
— 649
E.보편성
— 649
F.사도성
— 649
G. 충성스러운 남은 무리
— 649
IX. 미래에 대한 냉철한 전망
— 653
A. 다원주의적인 세계에서의 삶
— 653
B. 투쟁 교회, 개선 교희
— 653
X. 역사적 개관
— 654
A. 고대 교회
— 654
1. 초기 교부들의 기록
— 654
2. 감독교회로의 변화
— 654
3. 퀴프리아누스의 교회론
— 654
4.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s)와 도나투스파(Donatist)논쟁
— 654
5. 로마 감독의 지위
— 654
B. 중세
— 654
1. 서방:군주적인 감독 제도
— 654
2. 저항하는 목소리들
— 654
3. 동방:합의제적인 감독 제도
— 654
C. 종교개혁
— 654
1. 루터와 교회
— 654
2. 칼뱅과 교회
— 654
3. 급진적인 회복
— 654
4. 영국성공회와 교회
— 654
D. 18-19세기
— 654
1. 이성의 시대와 교회
— 654
2. 프리드리히쉴라이어마허
— 654
3. 알브레히트 리췰
— 654
4. 로마가톨릭의 교회론
— 654
E. 20세기
— 654
1. 개신교 자유주의
— 654
2. 카를 바르트(Karl Barth)의 교회론
— 654
3. 한스 큉의 교회론
— 654
F. 현재의 옆바람들
— 654
1. 에큐메니컬 운동
— 654
2. 로마가볼릭의 에큐메니컬 운동
— 654
3. 포스트모더니즘의 방향성
— 654
G.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654
XI. 엘렌 G. 화잇의 언급
— 664
A. 지상과 하늘의 교회
— 664
B. 그리스도와 교회의 밀접한 관계
— 664
C. 알곡 중에 가라지가 있다
— 664
D. 죄인을 구원하기 위해 하나님이 임명하신 대리자
— 664
E. 초기교회의 복음 질서
— 664
F.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몇 가지 조직 형태
— 664
G. 봉일된 행동의 필요성
— 664
H. 예루살렘 총회로부터 얻은 교훈
— 664
I. 지배하려는 정신을 경계하라
— 664
J. 하나님의 종말 교회
— 664
K. 개선교회
— 664
XII. 참고문헌
— 669
제16장 예식들: 침례, 세족, 주의 만찬(허버트 키슬러, 이삼용)
— 671
I. 침례
— 672
A. 침례에 관한 성경적 가르침
— 672
1. 용어
— 672
2. 요한의 침례
— 672
3. 예수의 침례
— 672
4. 선교 명령
— 672
5. 사도행전에 나타난 침례
— 672
6. 바울의 글에 나타난 침례
— 672
B. 침례의 실제적인 면들
— 672
1. 침례로 입교함
— 672
2. 침례의 방식
— 672
3. 침례받기에 적합한 나이
— 672
4. 재침례
— 672
5. 침례가 그리스도인 경험에 끼치는 영향
— 672
C. 결론
— 672
D. 역사적 개관
— 672
1. 침례의 선례들
— 672
2. 속사도 시대
— 672
3. 니케아 종교회의 이후의 교회
— 672
4. 중세
— 672
5. 종교개혁 시대
— 672
6. 현대
— 672
7. 재림교회의 입장
— 672
II. 세족예식
— 682
A. 신약의 근거
— 682
B. 세족의 의의
— 682
C. 세족예식이 그리스도인 경험에 끼치는 영향
— 682
D. 결론
— 682
E. 역사적 개관
— 682
1. 종교개혁 시대까지
— 682
2. 종교개혁 시대 이후
— 682
3. 재림교회의 이해
— 682
III. 주의 만찬
— 685
A. 신약이 말하는 주의 만찬
— 685
1. 공관복음이 말하는 주의 만찬
— 685
a. 형식: 떡과 잔
— 685
b. 의미:친교와 예언
— 685
2.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주의 만찬
— 685
B. 주의 만찬의 신학적 의미
— 685
C. 주의 만찬의 실제
— 685
1. 기념 횟수
— 685
2. 누가 참여할 수 있는가?
— 685
3. 누룩 없는 빵과 발효되지 않은 포도주
— 685
D. 결론
— 685
E. 역사적 개관
— 685
1. 초기
— 685
2. 중세
— 685
3. 종교개혁 시대
— 685
4. 현대
— 685
5. 재림교회의 입장
— 685
IV. 엘렌 G. 화잇의 언급
— 695
A. 침례
— 695
1. 예식들의 의미
— 695
2. 필요성
— 695
3. 개심의 계단
— 695
4. 회개가 요구됨
— 695
5. 그리스도는 모본이다.
— 695
6. 침례 서약
— 695
7. 침례 후보자의 준비
— 695
8. 부모들의 책임
— 695
B. 주의 만찬과 세족예식
— 695
1. 감사하는 마음으로 준수함
— 695
2. 유월절
— 695
3. 표상이 실체로 전환됨
— 695
4. 의미와 목적
— 695
5. 예식들의 집례
— 695
6. 빵과 포도즙
— 695
7. 어떤 사람들을 제외시키는 것이 금지됨
— 695
8. 예식들을 왜곡함
— 695
9. 세족예식의 목적
— 695
10. 유보해서는 안 되는 세족예식
— 695
V. 참고문헌
— 699
제17장 영적 은사(조지 E. 라이스, 윤재성)
— 701
I. 영적 은사에 관한 구약의 사례
— 702
A. 예언
— 702
1. 구두예언
— 702
2. 기록 예언
— 702
B. 이적과 치유
— 702
C. 지혜와 지식
— 702
II. 영적 은사에 관한 신약의 교리
— 704
A. 용어의 정의
— 704
B. 하나님이 주신 은사들
— 704
C. 은사를 확인하고 열거함
— 704
1. 은사를 확인함
— 704
2. 은사를 배열함
— 704
3. 각 은사의 특질
— 704
a. 지혜의 말(고전 12:8)
— 704
b. 지식의 말(고전 12:8)
— 704
c. 믿음(고전 12:9)
— 704
d. 병 고침(고전 12:9)
— 704
e. 능력 행함(고전 12:10)
— 704
f. 영들 분별함(고전 12:10)
— 704
g. 섬기는 일(롬 12:7)
— 704
h. 가르치는 일(롬 12:7)
— 704
i. 권위하는 일(롬 12:8)
— 704
j. 구제하는 일(롬 12:8)
— 704
k. 돌보는 일(롬 12:8)
— 704
l. 긍휼을 베푸는 일(롬 12:8)
— 704
4. 방언의 본질
— 704
D. 은사의 영속성
— 704
E. 은사의 목적
— 704
F. 은사의 조건
— 704
III. 모조품 은사
— 710
A. 예언
— 710
B. 이적
— 710
C. 방언
— 710
IV. 예언의 은사
— 712
A. 용어의 정의
— 712
B. 선지자적 소명
— 712
C. 기별을 받고 전달함
— 712
1. 이상
— 712
2. 꿈
— 712
3. 야훼의 말씀
— 712
4. 연구 모델
— 712
5. 기별을 전달함
— 712
6. 깨달음
— 712
V. 예언과 정경
— 715
A. 구두예언
— 715
1. 확증하는 기별
— 715
2. 성소에서 노래하는 자들
— 715
3. 선지자의 아들들
— 715
B. 기록예언
— 715
1. 정경 예언
— 715
2. 비정경 예언
— 715
VI. 신약의 예언
— 718
VII. 조건적 예언과 비조건적 예언
— 718
A. 비조건적 예언
— 718
B. 조건적 예언
— 718
VIII. 예언의 은사와 정경의 완결
— 719
A. 비정경 기록 예언과 정경의 완결
— 719
B. 정경 이후의 예언 은사의 기능
— 719
1. 성경을 높임
— 719
2. 성경을 해설하고 의미를 명확히 함
— 719
3. 성경을 적용함
— 719
4. 교회를 책망하고 경고함
— 719
5. 교리적 오류로부터 보호함
— 719
IX. 예언의 은사를 시험함
— 721
A.
“율법과 증거의 말씀”
— 721
B. 선지자는 그 열매로 알게 됨
— 721
C. 예언이 성취됨
— 721
D. 선지자는 그리스도를 고백함
— 721
E. 예언의 은사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들
— 721
1. 신체적 현상
— 721
2. 예언적 기별의 시의적절성
— 721
3. 기별자의 확실성과 담대함
— 721
4. 기별의 영적 속성을 고양시킴
— 721
5. 기별의 실용적 특성
— 721
X. 마지막 때에 나타나는 예언의 은사
— 724
A. 요엘의 증거
— 724
B. 예수님의 증거
— 724
C. 바울의 증거
— 724
D. 요한의 증거
— 724
XI.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에서 엘렌 화잇이 지닌 역할과 기능
— 726
A. 엘렌 G. 화잇
— 726
B. 엘렌 화잇의 자기 이해
— 726
C.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와 엘렌 화잇의 역할
— 726
D. 자료와 문필 조력자
— 726
1 .자료
— 726
2. 문필 조력자
— 726
E. 생애의 사역의 열매
— 726
F. 엘렌 화잇의 글의 관리
— 726
XII. 예언의 선물의 영향력
— 730
XIII. 역사적 개관
— 731
A. 몬타누스주의
— 731
1. 영적 은사에 대한 견해
— 731
2.
“새로운 예언”
에 대한 역사의 평가
— 731
3. 영적 은사에 대한 테르툴리아누스의 변증
— 731
4. 존 웨슬리와 몬타누스주의
— 731
B. 그리스도교의 일반적인 견해
— 731
1. 로마가톨릭교회
— 731
2. 프로테스탄트 교회
— 731
C. 성결 운동
— 731
1. 감리 감독교회(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 731
2. 오순절교회(Pentecostalism)
— 731
D. 현대 은사주의 운동
— 731
1. 순복음 사업가 국제연맹
— 731
2. 다비드 뒤 플레시
— 731
3. 주류 그리스도교계
— 731
E.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731
1. 감성주의
— 731
2. 방언
— 731
3. 기적
— 731
XIV. 엘렌 G. 화잇의 언급
— 738
A. 영적 은사들
— 738
B. 날마다 성령의 침례를 간구하라
— 738
C. 성경에 대한 엘렌 화잇의 견해
— 738
D. 자신의 사역에 대한 엘렌 화잇의 견해
— 738
E. 엘렌 화잇과 예언의 은사
— 738
F. 방언의 은사
— 738
G. 가짜 은사들
— 738
XV. 참고문헌
— 743
제18장 청지기직분(찰스 E. 브래드포드, 신양희)
— 745
I. 청지기직분에 관한 성경적 관점
— 747
A. 개념과 용어
— 747
1.
“집을 다스리는 자”
— 747
2. 청지기(오이코노모스)와 청지기 직분(오이코노미아)
— 747
B. 청지기직분의 기초가 되는 창조
— 747
1. 하나님의 은혜로운 행위
— 747
2. 하나님의 소유권
— 747
3. 하나님의 대표자인 아담과 하와
— 747
C. 하나님의 소유권을 상기시켜 주는 것들
— 747
1.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 747
2. 안식일
— 747
3. 십일조와 헌물
— 747
D. 청지기직분의 실례들
— 747
1. 구약
— 747
a. 아브라함
— 747
b. 요셉
— 747
c. 이스라엘
— 747
2. 신약
— 747
a. 하나님의 완전한 청지기로서의 예수님
— 747
b. 그리스도의 비유에 나타난 청지기직분
— 747
c. 사도교회에서의 청지기직분
— 747
E. 성경적 청지기직분:실제적 적용
— 747
1. 하나님의 은혜를 맡은 청지기직분
— 747
2. 생명을 맡은 청지기직분
— 747
3. 땅을 맡은 청지기직분
— 747
4. 재능과 능력을 맡은 청지기 직분
— 747
II. 역사적 개관
— 758
A. 유대교
— 758
B. 초기교회
— 758
C. 중세
— 758
D. 종교개혁
— 758
E. 북미 교회들의 시도
— 758
III. 재림 교회의 청지기 경험
— 761
A. 재정
— 761
1. 십일조
— 761
2. 헌금
— 761
3. 청지기 개발부
— 761
B. 지구
— 761
C. 하나님의 은혜
— 761
D. 삶과건강
— 761
E. 시간
— 761
F. 자녀:가장 큰보물
— 761
G. 재능과 능력
— 761
H. 시민권
— 761
IV. 엘렌 G. 화잇의 언급
— 767
A. 청지기직분의 개념에 관하여
— 767
B. 창조에 관하여
— 767
C. 재물에 관하여
— 767
D. 재능에 관하여
— 767
E. 선교에 관하여
— 767
F. 보물로 주신 자녀에 관하여
— 767
G. 시간에 관하여
— 767
V. 참고문헌
— 771
제19장 그리스도교 생활양식과 행동(미로슬라브 M. 키쉬, 김효준)
— 773
I. 그리스도교 윤리의 성경적 기초
— 775
A. 하나님의 창조 행위
— 775
1. 존재로서의 인간
— 775
2. 하나님의 형상(
Imago Dei
)
— 775
a. 하나님은 스스로 존재하신다
— 775
b. 하나님은 지성적인 존재이시다
— 775
c. 하나님은 자유로우시다
— 775
d. 하나님은 거룩하시다
— 775
e. 하나님은 영원하시다
— 775
f. 하나님은 인격체이시다
— 775
B. 하나님의 계시 행위
— 775
1. 성경의 본질
— 775
2.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 775
3. 성경과 그리스도교 생활양식
— 775
a. 일반 원칙
— 775
b. 규범 모델
— 775
c. 행동 지침
— 775
C. 하나님의 구속 행위
— 775
1. 회개와 용서를 위한 부르심
— 775
2. 제자 되라는 부르심
— 775
3. 믿고 순종하라는 부르심
— 775
4. 거룩하라는 부르심
— 775
a. 구별이라는 거룩함
— 775
b. 도덕적 순결이라는 거룩함
— 775
5. 사랑하고 순종하라는 부르심
— 775
II. 그리스도인으로 살라는 부르심
— 785
A. 영적인 영역의 기준
— 785
1. 그리스도교 세계관
— 785
a. 일반 원칙
— 785
b. 규범 모델
— 785
c. 행동 지침
— 785
2. 그리스도교의 경건
— 785
a. 일반 원칙
— 785
b. 규범 모델
— 785
c. 행동 지침
— 785
B. 신체적인 영역의 표준
— 785
1. 건강을 유지시키는 표준들
— 785
a. 일반 원칙
— 785
b. 규범 모델
— 785
c. 행동 지침
— 785
2. 건강 회복을 위한 표준들
— 785
a. 일반 원칙
— 785
b. 규범 모델
— 785
C. 사회적 영역의 표준
— 785
1. 그리스도인의 결혼과 가족
— 785
a. 그리스도인의 결혼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b. 그리스도인의 가족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2. 결혼과 가족에 관한 쟁점들
— 785
a. 예방적인 생활양식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b. 이혼
— 785
c. 재혼
— 785
d. 동거
— 785
3. 성행위와 관련된 쟁점들
— 785
a. 인간의 성행위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b. 그리스도인과 독신
— 785
c. 그리스도인과 동성애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4. 시민 생활
— 785
a. 직장 관계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b. 시민의 책무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c. 사회적 책무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5. 그리스도인의 청지기직분
— 785
a. 생명의 청지기직분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b. 자연의 청지기직분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c. 재물의 청지기직분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d. 시간의 청지기직분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D. 개인적 책임에 대한 표준
— 785
1. 복장의 표준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2. 복장 표준의 쟁점들
— 785
a. 장신구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재림교회의 논거
— 785
b. 유행
— 785
3. 휴양의 표준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4. 휴양에 관한 쟁점들
— 785
a. 독서
— 785
b. 라디오와 텔레비전
— 785
c. 극장
— 785
d. 춤
— 785
e. 음악
— 785
5. 그리스도인의 덕목
— 785
a. 성실성
— 785
b. 분별력
— 785
c. 용기
— 785
d. 용서
— 785
III. 엘렌 G. 화잇의 언급
— 816
A. 인간 생명의 도덕적 본질
— 816
B. 생활양식과 성경
— 816
C. 성관계에 대한 쟁점들
— 816
D. 시민 생활
— 816
E. 청지기 생활
— 816
F. 복장의 표준
— 816
G. 휴양의 기준
— 816
H. 그리스도인의 덕목
— 816
IV. 참고문헌
— 823
제20장 결혼과 가정(캘빈B.로크, 김해성)
— 825
I. 성경적 관점에서 본 결혼과 가족
— 826
A. 성경에 나타난 결혼의 개관
— 826
1. 결혼제도
— 826
3. 결혼식
— 826
4. 결혼의 상징성
— 826
B. 결혼을 하는 이유
— 826
1. 교제의 축복
— 826
2. 번성의 기능
— 826
3. 성적 욕구의 충족
— 826
4. 자녀의 사회화
— 826
5. 가족의 안식처
— 826
C. 결혼의 원칙
— 826
1. 연합의 원칙
— 826
2. 상호 의존의 원칙
— 826
3. 신자와 결혼하라는 원칙
— 826
4. 일부일처제의 원칙
— 826
5. 영속성의 원칙
— 826
6. 사생활의 원칙
— 826
7. 배타성의 원칙
— 826
D. 결혼과 가정에서의 역할들
— 826
1. 남편/아버지
— 826
a. 제사장
— 826
b. 부양자
— 826
c. 보호자
— 826
d. 부모
— 826
e. 연인이자 친구
— 826
2. 아내이자 어머니
— 826
a. 출산자이자 양육자
— 826
b. 주부
— 826
c. 동반자
— 826
3. 자녀
— 826
E. 결혼 관계
— 826
1. 배우자 관계
— 826
a. 상호간의 복종
— 826
b. 동등한 지위
— 826
2. 부모와 자녀의 관계
— 826
3. 형제자매의 관계
— 826
F. 가정의 영향
— 826
1. 가정과 개인
— 826
2. 가정과 사회
— 826
3. 가정과 교회
— 826
II. 성경의 가르침을 매일의 삶에 적용함
— 837
A. 이상적인 결혼
— 837
B. 결혼의 일탈(외도)
— 837
C. 이혼과 재혼
— 837
D. 가족 학대
— 837
E. 가족의 형태와 계획
— 837
1. 번성과 확장
— 837
a. 피임
— 837
b. 현대 의학 기술과 입양
— 837
2. 유언과 유산
— 837
F. 가족과 관련된 난제들
— 837
1. 낙태
— 837
2. 안락사
— 837
3. 유전자 복제
— 837
4. 비자연적인 임신
— 837
III. 역사적 관점에서 본 결혼과 가족
— 845
A. 유대교
— 845
B. 초기 그리스도교
— 845
C. 중세
— 845
D. 종교개혁
— 845
E. 재림교회의 이해
— 845
1. 안식일
— 845
2. 서적과 출판물
— 845
3. 교회의 조직들과 선언문들
— 845
IV. 엘렌 G. 화잇의 언급
— 850
A. 결혼의 신성성
— 850
B. 부부관계
— 850
C. 부부의 영향
— 850
D. 자녀 보호
— 850
E. 일반적인 조언
— 850
V. 참고문헌
— 853
제21장 건강과 치유(조지 W. 리드, 설대환)
— 855
I. 웰비잉(Well-being)의 기초인 창조
— 856
A. 창조의 기원
— 856
1.
“심히 좋았더라”
— 856
2. 하나님의 형상(이마고 데이)
— 856
3. 세부적인 준비들
— 856
B. 죄의 영향
— 856
C. 건강의 본질:성경적 기초
— 856
1. 성경의 용어
— 856
2. 건강의 성경적 개념
— 856
D. 샬롬
— 856
E. 전체성
— 856
F. 질병의 원인 관계
— 856
1. 질병의 발생
— 856
2. 질병의 원인으로서의 하나님
— 856
3. 질병의 원인으로서의 개인적인 죄
— 856
4. 마법과 질병
— 856
G. 복습
— 856
II. 성경에 나타난 치유
— 865
A. 치유와 관련된 성경의 용어들
— 865
B. 치유자 하나님
— 865
1. 질병과 치유의 시편들
— 865
2. 창조와 치유
— 865
3. 천연계에 나타난 치유
— 865
C. 성경에 나타난 치유의 종류
— 865
D. 예수의 치유 사역
— 865
1. 예수의 치유에 관한 기록
— 865
2. 치유의 종류와 방법
— 865
3. 치유의 목적
— 865
4. 치유와 믿음
— 865
5. 안식일 치유
— 865
6. 회복으로서의 치유
— 865
E. 바울 편지서에 나타난 치유
— 865
1. 독특한 특징들
— 865
2. 치유의 은사들
— 865
3. 치유되지 않은 세 경우
— 865
F. 사도교회에 나타난 치유
— 865
G. 야고보서에 나타난 기도와 치유
— 865
H. 치유에 대한 성경의 관점
— 865
III. 건강과 거룩함
— 879
A. 도덕적 요인
— 879
1. 레위기 법
— 879
2. 몸 성전
— 879
B. 성경의 음식
— 879
C. 건강과 순종
— 879
IV. 질병의 예방과 회복
— 883
A. 하나님과 자연법칙
— 883
B. 매일의 삶 속에서의 건강과 치유
— 883
V. 그리스도교 역사에 나타난 질병과 치유: 역사적 개관
— 885
VI. 엘렌 G. 화잇의 언급
— 887
A. 서론
— 887
B. 세상 속에서 활동하시는 하나님
— 887
C. 하나님의 법으로서의 자연법칙
— 887
D. 현세적 삶의 목적
— 887
E. 건강한 삶과 도덕적 결단
— 887
F. 모든 치유는 하나님으로부터 온다
— 887
G. 마음과 몸
— 887
H. 그리스도인 의사
— 887
I. 믿음, 치유 그리고 기도
— 887
J. 치료제의 사용과 믿음
— 887
K. 건강 개혁의 중요성
— 887
VII. 참고문헌
— 890
제22장 성경의 묵시문학(윌리엄 H. 존슨, 유동기)
— 893
I. 성경 묵시문학의 정의와 그 특성들
— 894
A. 정의
— 894
B. 특성
— 894
1. 계시적인 문학
— 894
2. 계시의 상황과 방식
— 894
3. 천상의 존재들
— 894
4. 위기 또는 국가적 비극의 시기
— 894
5. 현저한 대조
— 894
6. 생생한 이미저리
— 894
7. 역사의 종말
— 894
C. 고전적 예언과의 관계
— 894
D. 성경적 형태의 묵시문학
— 894
II. 성경 묵시문헌의 해석
— 900
A. 전제
— 900
B. 묵시문헌과 비묵시문헌의 예언
— 900
1. 비묵시적 예측들
— 900
a. 언약의 문맥에서 비롯된 이스라엘에 대한 예측
— 900
b. 단기적 예측
— 900
c. 장기적 예측
— 900
d. 그리스도의 초림에 대한 예측
— 900
e. 결론
— 900
2. 다니엘과 요한계시록의 예측들
— 900
a. 다니엘
— 900
b. 요한계시록
— 900
c. 결론
— 900
C. 역사주의
— 900
D. 1일—1년 원칙
— 900
E. 상징성
— 900
F. 반복(Recapitulation)
— 900
III. 성경 묵시문학의 신학적 의의
— 909
A. 하나님이 역사를 주관하심
— 909
B. 일상생활에 대해 시사하는 점
— 909
IV. 역사적 개관
— 912
A. 초기교회 시대
— 912
1. 역사주의
— 912
2. 새로운 방향들
— 912
B. 중세
— 912
C. 종교개혁
— 912
1. 개혁자들의 역사주의
— 912
2. 반대 해석들
— 912
3. 17-18세기
— 912
D. 근—현대
— 912
1. 예언에 대한 관심의 부흥
— 912
2. 묵시문학에 대한 역사적— 비평적 연구
— 912
3. 묵시문학에 대한 오늘날의 접근법들
— 912
a. 영적인 접근 또는 풍유적인 접근
— 912
b. 문자적 해석들
— 912
E.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의 해석
— 912
V. 엘렌 G. 화잇의 언급
— 921
A. 다니엘과 요한계시록을 연구하라고 촉구함
— 921
B. 성경 묵시문학의 해석
— 921
C. 포괄적인 진술
— 921
D. 하나님이 역사를 주관하심
— 921
VI. 참고문헌
— 924
제23장 하나님의 심판(게르하르트 F. 하젤, 김일목)
— 927
I. 심판의 용어
— 928
A. 구약에 나타난 심판 용어
— 928
1. 히브리어 어근
špṭ
그 파생어들
— 928
2. 히브리어 어근 딘(dîn)과 그 파생어들
— 928
3. 히브리어 어근 리브(
rîb
)와 그 파생어들
— 928
B. 신약에 나타난 심판 용어
— 928
1. 크리노(
krinõ
) 단어 그룹
— 928
2. 명사 크리시스(
krisis
)
— 928
3. 명사 크리마(
krima
)
— 928
4. 명사 크리테스(
kritēs
)
— 928
II. 역사속에서 전개되는 하나님의 심판
— 932
A. 창세기에 나오는 하나님의 심판과 은혜
— 932
1. 죄, 타락, 하나님의 심판 그리고 은혜
— 932
2. 가인에 대한 죄, 하나님의 심판 그리고 은혜
— 932
3. 세상에 대한 죄, 하나님의 심판 그리고 은혜
— 932
4. 소돔과 고모라의 죄, 하나님의 심판 그리고 은혜
— 932
B. 여러 민족들과 이스라엘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과 은혜
— 932
1. 가나안 사람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과 은혜
— 932
2. 민족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과 은혜
— 932
3. 고대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과 은혜
— 932
C. 재판장으로서의 하나님의 지위
— 932
D. 행위에 따른 하나님의 심판
— 932
E. 보응적인 심판과 인간 행위의 자연적인 결과
— 932
III. 역사의 끝에 있을 하나님의 심판:최후의 심판
— 943
A. 전 세계적인 최후의 심판의 요약
— 943
1. 구약 선지서에 나오는 전 세계적인 최후의 심판
— 943
2. 예수님의 가르침에 나타나는 전 세계적인 최후의 심판
— 943
3. 사도들의 가르침에 나타난 전 세계적인 최후의 심판
— 943
4. 세상 끝에 있을 전 세계적인 최후의 심판
— 943
B. 전 세계적인 최후의 심판에 대한 세부적 표현들
— 943
1. 재림 전 조사심판
— 943
a. 재림 전 조사심판의 시기
— 943
(1)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시기
— 943
(2) 다니엘에 나타난 심판의 시기
— 943
(3) 지상 성소 봉사의 표상에 나타난 시기
— 943
b. 재림 전 조사심판의 재판장
— 943
c. 재림 전 조사심판의 대상자들
— 943
d. 재림 전 조사심판의 장소
— 943
e. 재림 전 조사심판의 목적
— 943
f. 요약
— 943
2. 재림 후 천년기 심판
— 943
a. 재림 후 천년기 심판의 시기
— 943
b. 재림 후 천년기 심판의 재판장
— 943
c. 재림 후 천년기 심판의 대상자들
— 943
d. 재림 후 천년기 심판의 목적
— 943
3. 천년기 이후의 집행심판
— 943
a. 천년기 이후 집행심판의 시기
— 943
b. 천년기 이후 집행심판의 재판장
— 943
c. 천년기 이후 집행심판의 대상자들
— 943
d. 천년기 이후 집행심판의 목적
— 943
IV. 심판과 그리스도인의 삶
— 962
V. 역사적 개관
— 963
A. 하나님의 심판:초기교회에서 계몽주의 시대까지
— 963
B. 하나님의 심판:계몽주의 시대로부터 현재까지
— 963
1. 자유주의 신학의 경향
— 963
a. 하나님의 사랑과 하나님의 심판
— 963
b. 보편구원론과 하나님의 심판
— 963
2. 복음주의 신학의 경향
— 963
C. 재림교회의 이해
— 963
VI. 엘렌 G. 화잇의 언급
— 968
A. 재림 전 조사심판
— 968
B. 재림 후 천년기 심판
— 968
C. 천년기 후 집행 심판
— 968
VII. 참고문헌
— 970
제24장 남은 무리와 세 천사의 기별(한스 K. 라론델, 유동기)
— 973
I. 구약에 나타난 남은자 개념
— 974
A. 이스라엘의 역할
— 974
B. 이스라엘의 남은 자
— 974
1. 역사적 남은 자
— 974
2. 신실한 남은 자
— 974
3. 종말론적 남은 자
— 974
II. 신약의남은 자개념:새 이스라엘
— 980
III. 예언에 나타난 교회의 배도
— 984
A. 바울이 말한 적그리스도가 출현하는 역사적 시기
— 984
B. 바울이 말한 적그리스도의 종교적 본성
— 984
IV. 마지막 때의 남은무리
— 986
A. 구약의 예고와 신약의 성취
— 986
B. 다니엘의 마지막 때
— 986
V. 세 천사의 기별: 마지막 때를 위한 하나님의 기별
— 989
A. 마지막 때에 관한 요한계시록 10장의 극적인 배경
— 989
B. 첫째 천사의 기별(계 14:6, 7)
— 989
C. 둘째 천사의 기별(계 14:8)
— 989
D. 셋째 천사의 기별(계 14:9-11)
— 989
E. 범세계적 오순절의 약속(계 18:1-8)
— 989
VI. 역사적 개관
— 997
A. 발도파와 종교개혁 이전 인물들
— 997
B. 루터, 칼뱅, 츠빙글리
— 997
C. 재침례파
— 997
D. 청교도
— 997
E. 독일 경건주의 운동
— 997
F. 감리교 운동
— 997
G. 밀러파의 재림 소망의 부흥
— 997
H. 재림신자들의 이해
— 997
1. 첫째 천사의 기별
— 997
2. 둘째 천사의 기별
— 997
3. 셋째 천사의 기별
— 997
VII.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와 남은 교회
— 1005
VIII. 엘렌 G. 화잇의 언급
— 1007
IX. 참고문헌
— 1009
제25장 예수의 재림(리샤르 P. 레만, 윤재성)
— 1011
I. 성경에나타난 재림
— 1012
A. 구약의 용어
— 1012
1. 야훼의날
— 1012
a. 역사적 사건
— 1012
b. 절정의 사건
— 1012
c. 심판의 날
— 1012
2. 남은 자의 선택
— 1012
3. 왕국의 수립
— 1012
4. 낙원으로 돌아감
— 1012
5. 묵시 신앙
— 1012
B. 신약의 용어
— 1012
1. 파루시아(오심,강림)
— 1012
2. 에피파네이아(나타나심, 현현)
— 1012
3. 아포칼륍시스(드러내심, 계시)
— 1012
C. 소망의 중심
— 1012
1. 소망
— 1012
2. 마라나 싸
— 1012
3. 감사
— 1012
4. 인자(人子)
— 1012
D. 하나님의 왕국
— 1012
1. 초월적인 왕국
— 1012
2. 신비한 왕국
— 1012
3. 영적인 왕국
— 1012
4. 미래의 왕국
— 1012
E. 재림의 형태
— 1012
1. 문자적으로 친히 오심
— 1012
2. 볼수있고들을수있게오심
— 1012
3. 영광과 승리로 오심
— 1012
4. 대격변이 일어남
— 1012
5. 갑작스럽게 오심
— 1012
F. 재림의 징조들
— 1012
1. 난해한 본문들
— 1012
a. 마 10:23
— 1012
b. 마 16:28
— 1012
c. 마 24:34
— 1012
2. 천연계의 징조들
— 1012
a. 리스본 지진
— 1012
b. 해가 어두워짐
— 1012
c. 별들이 떨어짐
— 1012
d. 기근
— 1012
e. 기타 자연재난들
— 1012
3. 도덕계의 징조들
— 1012
4. 종교계의 징조들
— 1012
5. 거짓 징조들
— 1012
6. 잘못 해석된 징조
— 1012
G. 예수의 재림의 이유들
— 1012
1. 택하신 자들을 모으기 위해
— 1012
2. 죽은 자들을 부활시키기 위해
— 1012
3. 모든 성도의 변형과 영접을 위해
— 1012
4. 악의 세력과 악인들을 멸하기 위해
— 1012
5. 하나님을 옹호하기 위해
— 1012
6. 지구를 회복하기 위해
— 1012
7. 하나님과의 교통을 재수립하기 위해
— 1012
II. 재림의 교리가 함축하는 의미들
— 1029
A. 신자의 일상의 삶에 끼치는 영향
— 1029
1. 소망
— 1029
2. 사랑
— 1029
3. 겸손
— 1029
4. 거룩함
— 1029
B. 전도의 동기
— 1029
1. 성령의 시대
— 1029
2. 은혜의 시기
— 1029
3. 긴박한 시대
— 1029
4. 영적 은사의 시대
— 1029
C. 그분의 재림을 위한 영적 준비
— 1029
D. 외견상의 지체
— 1029
E. 결론
— 1029
III. 역사적 개관
— 1035
A. 사도 시대
— 1035
B. 니케아 공의회 이전 시대
— 1035
C. 니케아 공의회 이후부터 종교개혁 시대까지
— 1035
D. 종교개혁 시대
— 1035
E. 종교개혁에서 19세기까지
— 1035
F. 현대
— 1035
G.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1035
IV. 엘렌 G. 화잇의 언급
— 1040
A. 성경에 기록된 재림
— 1040
1. 소망의 중심
— 1040
2. 하나님의 왕국
— 1040
3. 그분이 오시는 모습
— 1040
4. 재림의 징조들
— 1040
5. 예수 재림의 이유들
— 1040
B. 재림의 교리에 내포된 것들
— 1040
1. 신자의 일상에 끼치는 영향
— 1040
2. 전도를 위한 동기
— 1040
3. 그분의 재림을 위한 영적 준비
— 1040
4. 재림이 지체되는 듯이 보일 때
— 1040
C. 역사적 개관
— 1040
1. 사도시대
— 1040
2. 니케아 공의회 이후부터 종교개혁까지
— 1040
3. 종교개혁 시기
— 1040
4. 종교개혁으로부터 19세기까지
— 1040
V. 참고문헌
— 1046
제26장 천년기(에릭 클로드 웹스터, 도현석)
— 1049
I. 성경 주해
— 1050
A. 해석 원칙
— 1050
B. 요한계시록 20장의 배경
— 1050
C. 요한계시록 20장의 천년기
— 1050
1. 천년기 시작 때에 있을 사건들
— 1050
a. 첫째 부활
— 1050
b. 사탄의 결박
— 1050
c. 지구의 황폐
— 1050
2. 천년기 동안에 있을 사건들
— 1050
a. 장소
— 1050
b. 심판하는 사람들
— 1050
c. 심판
— 1050
d. 땅의 상태
— 1050
3. 천년기 끝에 있을 사건들
— 1050
a. 거룩한 성이 내려옴
— 1050
b. 둘째 부활
— 1050
c. 사탄이 옥에서 놓임
— 1050
d.
“크고 흰 보좌”
의 심판
— 1050
e. 악인의 멸망
— 1050
II. 천년기의 신학적 의의
— 1057
A. 죄의 성질을 드러내는 실물교훈
— 1057
B. 하나님의 성품의 확인
— 1057
C. 보초 임무 교대
— 1057
D. 친교의 기간
— 1057
III. 역사적 개관
— 1058
A. 용어의 정의
— 1058
1. 천년 왕국론(Millenarianism, Millennialism)
— 1058
2. 무천년설(Amillennialism)
— 1058
a. 세대주의적 천년 전 재림설
— 1058
b. 성경적인 천년 전 재림설
— 1058
4. 천년 후 재림설(Postmillennialism)
— 1058
B. 역사에 나타난 천년기 교리
— 1058
1. 유대 묵시문헌의 뿌리
— 1058
2. 초기교회
— 1058
3. 아우구스티누스
— 1058
4. 플로리스의 요아힘과 종교개혁
— 1058
5. 천년 후 재림설의 부상
— 1058
6. 무천년설 재고
— 1058
7. 천년 전 재림설의 재부상
— 1058
8. 재림교회의 이해
— 1058
IV. 엘렌 G. 화잇의 언급
— 1065
A. 천년기
— 1065
B. 1,000년
— 1065
1. 천년기전
— 1065
2. 천년기 동안
— 1065
3. 천년기 후
— 1065
V. 참고문헌
— 1069
제27장 새 땅과 영원한 왕국(남대극, 송창호)
— 1071
I. 성경의 “하늘”
— 1072
II. 구속 받은 자들의 거처(居處)
— 1073
A. 구약에 나타난 구속 받은 자들의 거처
— 1073
1. 새로운 왕국
— 1073
2. 메시아의 왕국
— 1073
3. 수도 예루살렘
— 1073
4. 예배하는 왕국
— 1073
5. 거룩한 왕국
— 1073
6. 즐거운 왕국
— 1073
7. 평화스러운 왕국
— 1073
8. 결실하는 왕국
— 1073
9. 영원한 왕국
— 1073
B. 신약에 나타난 구속 받은 자들의 거처
— 1073
1. 복음서
— 1073
2. 편지서
— 1073
3. 요한계시록
— 1073
a. 천년기
— 1073
b. 새 땅에 들어갈 자격
— 1073
c. 새 땅에 대한 묘사
— 1073
d. 새 땅에서 행해지는 활동
— 1073
III. 새 땅과 영원한 왕국에 관한 교리의 중요성
— 1082
A. 창조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의 성취
— 1082
B. 하나님의 언약과 약속의 성취
— 1082
C. 그리스도의 기별과 사역의 완성
— 1082
D. 그리스도인의 삶에 끼치는 영적 영향
— 1082
IV. 역사적 개관
— 1085
A. 고대 세계
— 1085
B. 유대교
— 1085
C. 이슬람교
— 1085
D.동양종교
— 1085
E. 초기 그리스도교
— 1085
F. 로마가톨릭교
— 1085
G. 개신교
— 1085
H. 재림교회의 이해
— 1085
V. 엘렌 G. 화잇의 언급
— 1089
A. 하늘의 처소一실재하는 장소
— 1089
B. 구속 받은 자들의 특권
— 1089
C. 밤이 없고 피곤치 않음
— 1089
D. 학교로서의 하늘
— 1089
E. 우주의 보화가 개방됨
— 1089
F. 장차 올 세상에서 받을 고등교육
— 1089
G. 조화로운 사희생활과 끊임없는 지식의 증가
— 1089
H. 동산과 들판에서의 삶
— 1089
I. 결혼과 출생이 없음
— 1089
J. 장차 올 세계에서의 여행
— 1089
K. 성실한 노력에 대한 보상
— 1089
L. 행복하고 연합된 가족
— 1089
Μ. 성도들의 광명한 본향
— 1089
N. 계명 준수자들을 위한 하나님의 도성
— 1089
O. 순종한 자들의 영원한 처소
— 1089
VI. 참고문헌
— 1094
제28장 대쟁투(프랭크 B. 홀브루크, 김은배)
— 1097
I. 예견된 대쟁투
— 1098
A. 신성의 비밀
— 1098
1. 은혜가 계획을 태동시킴
— 1098
2.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
— 1098
3. 구원의 대책들을 수용함
— 1098
4. 품성의 회복
— 1098
5. 영원한 상급
— 1098
B. 도전자
— 1098
II. 대쟁투의 기원
— 1100
A. 하나님과 그분의 창조물
— 1100
B. 하늘의 법칙들
— 1100
C. 대쟁투의 이슈
— 1100
1. 루시퍼
— 1100
2. 이슈들
— 1100
a. 하나님의 율법
— 1100
b. 하나님의 품성
— 1100
c. 창조물의 자주성
— 1100
d.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
— 1100
3. 누구의 권위가 최상인가?
— 1100
4. 루시퍼가 하늘에서 추방됨
— 1100
a. 누가복음 10:18
— 1100
b. 요한계시록 12:7-9
— 1100
c. 베드로후서 2:4; 유다서 6
— 1100
5. 인류의 타락
— 1100
D. 대쟁투의 새로운 국면
— 1100
E. 하늘의 목표들
— 1100
III. 지상에서 일어나는 대쟁투-구약
— 1110
A. 하나님이 주도하심
— 1110
1. 약속
— 1110
2. 제사 의식들
— 1110
3. 예언적인 그림들
— 1110
4. 구속의 진리들을 보존하고 발전시킴
— 1110
B. 사탄의 반격
— 1110
1. 노아홍수 이전 세상의 죄악상
— 1110
2. 이교와 우상숭배의 발전
— 1110
3. 참종교를 타락시킴
— 1110
4. 사탄의 참소들
— 1110
a. 욥 1:6-12; 2:1-8
— 1110
b. 스가랴 3:1-10
— 1110
5. 사탄의
“거의”
이룬 성공
— 1110
IV. 지상에서 일어나는 대쟁투-신약
— 1113
A. 지배적인 섭리
— 1113
1. 성경의 중심이 확장됨
— 1113
2. 분산(디아스포라, 요 7:35)
— 1113
3. 유대인 선교
— 1113
B. 그리스도의 초림
— 1113
1. 그리스도의 승리가 예언됨
— 1113
2. 유혹에 대한 그리스도의 승리
— 1113
3. 악마들에 대한 그리스도의 매일의 승리
— 1113
4.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이룬 여러 승리
— 1113
a. 사탄에 대한 심판이 확정됨
— 1113
b. 구속의 계획이 확증됨
— 1113
c. 인간의 죄를 위한 속죄가 이루어짐
— 1113
d. 도덕법과 하나님의 품성이 옹호됨
— 1113
C. 교회에 대한 사탄의 공격
— 1113
1. 교리들을 타락시킴
— 1113
2. 교회를 핍박함
— 1113
D. 축소판 대쟁투
— 1113
V. 대쟁투가 완결됨
— 1120
A. 마지막 투쟁
— 1120
1. 표범 같은 짐승(계 13:1-10)
— 1120
2. 두 뿔 달린 짐승(계 13:11-17)
— 1120
B. 심판 시간의 초청
— 1120
1. 세 천사의 기별(계 14:6-13)
— 1120
2. 마지막 심판(계 14:7)
— 1120
C. 중심 이슈들
— 1120
1. 순종:십계명
— 1120
2. 경배:하나님인가, 사탄인가?
— 1120
D. 사탄의 패배와 멸망
— 1120
1. 사탄이 옥에 갇힘
— 1120
2. 천년기
— 1120
3. 마지막 심판:집행하는 단계
— 1120
VI. 몇 가지 신학적 함의
— 1125
A. 도덕적 조화가 확립됨
— 1125
B. 세계관
— 1125
C. 인간의 고난
— 1125
D. 하나님의 품성
— 1125
E. 신자의 준비를 위함
— 1125
VII. 역사적 개관
— 1126
A. 니케아 이전과 이후의 교부들
— 1126
1. 오리게네스(185-254년)
— 1126
2. 힙포의 아우구스티누스(354-430년)
— 1126
B. 종교개혁과 그 후 시대
— 1126
1. 장칼뱅(1509-1564년)
— 1126
2. 존 밀턴(1608-1674년)
— 1126
C. 현대
— 1126
D. 재림교회의 이해
— 1126
a. 요약
— 1126
VIII. 엘렌 G. 화잇의 언급
— 1133
A. 이해하라는 호소
— 1133
B. 대쟁투가 예견됨
— 1133
C. 대쟁투의 기원
— 1133
1. 도덕법: 하나님 정부의 기초
— 1133
2. 루시퍼가 대쟁투의 시초에 즉시 파멸되지 않은 이유
— 1133
3. 인류의 타락:사탄의 타락과의 유사점
— 1133
D. 지상에서의 대쟁투-구약
— 1133
1. 사탄이 지구의 주권을 찬탈함
— 1133
2. 도덕법에 대한 순종:형통함의 이유
— 1133
3. 사탄이 이스라엘의 순종을 전복시킴
— 1133
E. 지상에서의 대쟁투-신약
— 1133
1. 하나님의 진정한 품성을 인류에게 보여 주어야 할 필요성
— 1133
2. 사탄의 진정한 품성이 십자가에서도 드러남
— 1133
3. 십자가: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가 나타남
— 1133
4. 축소판 대쟁투
— 1133
F. 대쟁투가 완결됨
— 1133
1. 하나님의 율법을 놓고 벌어지는 마지막 투쟁의 성격
— 1133
2. 안식일:충성의 시금석
— 1133
G. 몇 가지 신학적 함의
— 1133
1. 하나님의 품성의 옹호
— 1133
2. 반역:온 우주를 위한 교훈
— 1133
3. 피조물이 검증됨:영원한 충성
— 1133
4. 하나님의 공의
— 1133
IX. 참고문헌
— 1138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