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교리·신학 핸드북
서문 — 1
    표지 — 1
    발간사 — 7
    영어판 서문 — 8
    한국어판 서문 — 11
    약어표 — 16
     B. 밀러주의 운동 — 22
     C. 대실망 — 22
     2. 1860년대:조직 — 22
     G. 19세기의 종막 — 22
     H. 교회 재조직 — 22
     A. 교회의 성장 — 34
     1. 출판사업 — 34
     4. 계획적인 선교 — 34
     C. 교육 시스템 — 34
     D. 의료사업 — 34
     F. 교회 조직 — 34
     G. 신학의 발전 — 34
    III. 참고문헌 — 44
    I. 계시 — 48
     A. 정의 — 48
     B. 성경의 용어 — 48
     1. 구약 — 48
     2. 신약 — 48
    II. 일반 계시 — 52
     A. 서론과 정의 — 52
     1. 천연계 — 52
     2. 인간 존재 — 52
     3. 역사 — 52
    III. 특별 계시 — 55
     A. 서론과 정의 — 55
     1. 영감의 방식 — 59
     2. 영감의 대상 — 59
     D. 영감의 결과 — 59
     2. 성경의 권위 — 59
     3. 성경의 신뢰성 — 59
     D. 현대의 견해들 — 73
     A. 서론 — 80
     B. 계시 — 80
     C. 성경과 영감 — 80
    VIII. 참고문헌 — 84
     B. 해석의 필요 — 88
     1. 성경의 수위성 — 89
     2. 성경의 충분성 — 89
     B. 성경의 전체성 — 89
     C. 성경의 유비 — 89
     2. 성경의 일관성 — 89
     3. 성경의 명료성 — 89
     1. 성령의 역할 — 89
     A. 본문과 번역 — 98
     1. 본문 연구 — 98
     2. 번역과 역본 — 98
     b. 번역의 유형들 — 98
     B. 역사적 맥락 — 98
     3. 역사적 배경 — 98
     C. 문학적 분석 — 98
     1. 구절의 한계 — 98
     2. 문학 유형 — 98
     a. 산문 — 98
     b. 시가 — 98
     3. 문학적 구조 — 98
     D. 절별 분석 — 98
     1. 문법과 구문 — 98
     2. 단어 연구 — 98
     E. 신학적 분석 — 98
     a. 책별 연구 — 98
     b. 절별 주해 — 98
     c. 주제별 연구 — 98
     a. 예언 — 98
     b. 표상학 — 98
     c. 상징 — 98
     d. 비유들 — 98
     1. 초기 교부들 — 117
     D. 중세 해석학 — 117
     1. 역사적 발전 — 117
     A. 성경 해석 — 128
     1. 본문과 번역 — 128
     2. 역사적 문맥 — 128
     3. 문학적 분석 — 128
     4. 절별 분석 — 128
     5. 신학적 분석 — 128
     7. 시대적 적용 — 128
     1. 랍비들의 해석 — 128
     2. 중세 해석학 — 128
     4. 고등비평 — 128
    VI. 참고문헌 — 135
     A. 성경 — 138
     B. 일반 계시 — 138
     A. 하나님의 존재 — 140
     A. 영원성 — 141
     B. 불변성 — 141
     C. 사랑과 진노 — 141
     1. 하나님의 사랑 — 141
     2. 하나님의 진노 — 141
     D. 초월성 — 141
     B. 예정 — 146
     C. 창조 — 146
     D. 역사적 임재 — 146
     E. 섭리 — 146
     A. 구약의 증거 — 153
     B. 신약의 증거 — 153
     B. 야훼의 사자 — 154
     A. 아들 하나님 — 156
     1. 신성 — 156
     2. 아들 됨(Sonship) — 156
     B. 아버지 하나님 — 156
     3. 아들을 보내심 — 156
     5. 구원 사역 — 156
     C. 성령 하나님 — 156
     3. 성령의 신성 — 156
     4. 성령의 위격 — 156
     a. 계시—영감 — 156
     b. 조명 — 156
     c. 내주(內住) — 156
     d. 간구 — 156
     e. 성령의 은사 — 156
    IX. 역사적 개관 — 173
     1. 신플라톤주의 — 173
     B. 교부시대 — 173
     C. 중세 — 173
     D. 종교개혁 시대 — 173
     3. 재침례파 — 173
     E. 현대 — 173
     4. 현대의 추세 — 173
     B. 일반 계시 — 185
     C. 하나님의 실재 — 185
     1. 하나님의 존재 — 185
     D. 하나님의 속성 — 185
     4. 초월성 — 185
     E. 하나님의 활동 — 185
     1. 예정 — 185
     2. 창조 — 185
     3. 섭리 — 185
     F. 삼위일체 — 185
     G. 영원한 하나님 — 185
    XI. 참고문헌 — 192
     A. 성육신 — 196
     3. 동정녀 탄생 — 196
     B. 인성과 신성 — 196
     a. 성경의 증거 — 196
     2. 무죄한 인성 — 196
     (3) 하나님의 아들 — 196
     5. 모본을 남기심 — 206
     3. 격리된 이유 — 206
     5. 하나님의 사역 — 206
     1. 희생적인 죽음 — 206
     2. 대속적 죽음 — 206
     5. 화목케 하심 — 206
     1. 기초적 사건 — 223
     2. 빈 무덤 — 223
     3. 육체적 부활 — 223
     1. 성경의 증거 — 223
     1. 성경의 증거 — 223
     1. 성경의 증거 — 223
     2. 재림의 방식 — 223
     E. 하나님의 초청 — 223
    IV. 역사적 개관 — 232
     A. 초기교회 — 232
     a. 압폴리나리스 — 232
     b. 네스토리우스 — 232
     c. 유튀케스 — 232
     B. 중세 — 232
     b. 아벨라르 — 232
     C. 종교개혁 시대 — 232
     D. 현대 — 232
     1. 획기적인 전환 — 232
     4. 오스카르 쿨만 — 232
     7. 해방 신학들 — 232
     9. 예수 세미나 — 232
     F. 최근의 동향 — 232
     B. 타락한 인성 — 244
     E. 희생의 죽음 — 244
    VI. 참고문헌 — 249
     A. 성경의 기록 — 252
     3. 본래의 의 — 252
     2. 여자의 창조 — 252
     3. 결혼의 의미 — 252
     2. 성경적 일원론 — 252
     A. 성경의 기록 — 262
     1. 로마서 5:12 — 262
     4. 성향을 극복함 — 262
    V. 역사적 개관 — 274
     C. 죄의 보편성 — 274
     C. 여자의 창조 — 278
     D. 결혼의 의미 — 278
     E. 자유의지 — 278
     F. 본래의 의 — 278
     G. 타락 — 278
     H. 조건적 불멸 — 278
     I. 죄된 성향들 — 278
     K.부활 — 278
     L. 새 땅 — 278
    VII. 참고문헌 — 283
     A. 하나님의 형상 — 288
     A. 구약 — 292
     1. 핫타아트 — 292
     2. 아온 — 292
     3. 페샤 — 292
     4. 레샤 — 292
     5. 요약 — 292
     B. 신약 — 292
     1. 하마르티아 — 292
     2. 파라코에 — 292
     3. 파라바시스 — 292
     4. 파라프토마 — 292
     5. 아노미아 — 292
     6. 아디키아 — 292
     7. 요약 — 292
    III. 죄의 기원 — 294
     B. 인간의 타락 — 294
     1. 역사적 행위 — 294
     4. 유혹과 타락 — 294
     C. 상태로서의 죄 — 300
     K. 요약 — 300
    V. 죄의 결과 — 309
     2. 인류에게 — 309
     3. 물리적 세계에 — 309
     A. 죄의 광범위함 — 311
     2. 죄의 보편성 — 311
     1. 하나님의 진노 — 311
     2. 하나님의 공의 — 311
     D. 죄의 근절 — 311
     A. 초기교회 — 315
     1. 펠라기우스 — 315
     C.중세 — 315
     1. 안셀무스 — 315
     D.종교개혁 시대 — 315
     1. 마르틴 루터 — 315
     2. 장 칼뱅 — 315
     1. 연대 신학 — 315
     2. 간접 전가 — 315
     3. 존 웨슬리 — 315
     4. 새 학파 신학 — 315
     5. 실재론 학파 — 315
     G. 20세기 — 315
     1. 신정통주의 — 315
     2. 사회복음 — 315
     3. 해방신학 — 315
     A. 하나님의 본질 — 323
     E. 도덕적 책임 — 323
     B. 죄의 기원 — 324
     D. 죄의 결과 — 324
    X. 참고문헌 — 327
     2. 죄의 본질 — 330
     a. 행위로서의 죄 — 330
     4. 새 언약 — 334
     5. 옛 언약 — 334
     1. 칭의와 의 — 337
     a. 용어 — 337
     c. 선례들 — 337
     d. 하나님의 의 — 337
     e. 칭의의 국면들 — 337
     f. 칭의의 근거 — 337
     g. 칭의의 수용 — 337
     2. 화목 — 337
     b. 칭의와의 관계 — 337
     d. 화목의 목적들 — 337
     3. 양자됨 — 337
     b. 성경 상의 용법 — 337
     c. 긴장을 해결함 — 337
     d. 확신의 결과 — 337
     1. 중생 — 337
     a. 기본 개념 — 337
     b. 성경의 용례 — 337
     2. 회개와 회심 — 337
     3. 성화 — 337
     a. 성화의 의미 — 337
     b. 성화와 완전 — 337
     (1) 용어 — 337
     A. 속사도 교부들 — 362
     1. 이레나이우스 — 362
     3. 오리게네스 — 362
     1. 안셀무스 — 362
     2. 아벨라르 — 362
     1. 루터 — 362
     2. 칼뱅 — 362
     3. 트렌트 공의회 — 362
     2 . 존 웨슬리 — 362
     7. 용서 그 이상 — 370
     6. 은혜의 대기 — 370
     C. 믿음의 역할 — 370
     1. 믿음이란 — 370
     4. 성령과 중생 — 370
     6. 위대한 변화 — 370
     7. 회심의 시금석 — 370
    VIII. 참고문헌 — 376
    I. 성경적 설명 — 380
     6. 부활을 기다림 — 380
     1. 죽음의 원인 — 380
     a. 사탄 — 380
     c. 귀신들 — 380
     d. 뱀 — 380
     3. 죽음의 보편성 — 380
     1. 매장과 무덤 — 380
     2. 죽음의 영역 — 380
     D. 접신과 강신술 — 380
     1. 누가복음 23:43 — 380
     1. 죽음의 권세 — 380
     5. 둘째 사망 — 380
     6. 부활의 소망 — 380
     7. 죽음의 근절 — 380
     G. 최후의 운명들 — 380
     2. 영생의 보증 — 380
    II. 역사적개관 — 402
     A. 역사의 여명기 — 402
     F. 현재의 동향 — 402
     A.중요성 — 410
     1. 죽음의 기원 — 410
     2. 죽음의 원인 — 410
     3. 죽음의 본질 — 410
     C. 죽음의 패배 — 410
    IV. 참고문헌 — 413
     A. 신약 — 416
     1. 요약 — 416
     2. 개별 저자들 — 416
     a. 바울 — 416
     c. 요한의 글들 — 416
     B.구약 — 416
     a. 욥기 19:25-27 — 416
     b. 이사야 26:19 — 416
     c. 다니엘 12:2 — 416
    IV. 역사적 개관 — 436
     A. 고대 세계 — 436
     B. 유대교 — 436
     C. 초기교회 — 436
     D. 중세 — 436
     F. 현대 — 436
    VI. 참고문헌 — 445
     b. 노아의 제사 — 448
     2. 제사장 직분 — 448
     3. 제사와 제물 — 448
     a. 만남의 장소 — 448
     c. 예배의 중심지 — 448
     a. 언약과 거룩함 — 448
     b. 죄와 언약 — 448
     3. 죄 문제의 해결 — 448
     a. 매일의 봉사들 — 448
     (1) 안수 — 448
     (2) 짐승을 죽임 — 448
     (4) 피의 예식 — 448
     (7) 전이와 오염 — 448
     1. 더 나은 언약 — 461
     2. 더 나은 성소 — 461
     (2) 2,300주야 — 464
     a. 조사심판 — 464
     b. 심판의 시작 — 464
     D.요약 — 464
     A. 초기교회 — 477
     C. 현대 — 477
     C. 하늘 성소 — 481
    VII. 참고문헌 — 486
     A. 히브리서 8:1, 2 — 487
     B. 히브리서 9:1-10 — 487
     A. 창세기 1장 — 496
     1. 태초에 — 496
     2. 하늘과 땅 — 496
     12. 하나님의 형상 — 496
     B. 창세기 2장 — 496
     1. 주제의 유사성 — 496
     3. 문학적인 구조 — 496
     4. 창설된 동산 — 496
     5. 네 강들 — 496
     7. 여자의 창조 — 496
     C. 지혜 문학:욥기 — 496
     D. 시편 — 496
     1. 시편 104편 — 496
     2. 시편 19편 — 496
     3. 시편 8편 — 496
     E. 선지서 — 496
     1. 아모스 — 496
     2. 이사야 — 496
     a. 이사야 40:26-28 — 496
     3. 예레미야 — 496
     d. 예레미야 32:17 — 496
     G. 창조의 연대 — 496
     C. 청지기직 — 519
     G. 거절된 진화론 — 519
     H. 선교와 메시지 — 519
    IV. 역사적 개관 — 521
     A. 고대 근동 — 521
     G. 합리주의 시대 — 521
     a. 19세기 — 521
     b. 20세기 — 521
     B. 과학과 성경 — 531
    VII. 참고문헌 — 535
     A. 정의 — 538
     2. 율법의 종류 — 538
     b. 보편적인 법들 — 538
     B. 도덕법의 성격 — 538
     1. 십계명 — 538
     D. 도덕법의 목적 — 538
     2 . 방향을 제공함 — 538
     3. 의식법 — 546
     3. 안식일 계명 — 546
     a. 율법의 목적 — 546
     (1) 엑사이레오 — 546
     (2) 엘류쎄리아 — 546
     (3) 엑사고라조 — 546
     (4) 스타우로오 — 546
     c. 문제 구절 — 546
     (1) 로마서 10:4 — 546
     A. 율법과 언약 — 562
     1. 옛 언약 — 562
     2. 새 언약 — 562
     3. 율법과 새 언약 — 562
     B. 도덕법과 은혜 — 562
     C. 율법과 십자가 — 562
    V. 역사적 개관 — 569
     C. 종교개혁 — 569
     D. 현대 — 569
    VII. 참고문헌 — 575
     A. 오경 — 579
     1 .개관 — 579
     a. 창세기 2:1-3 — 579
     b. 출애굽기 5:5 — 579
     c. 출애굽기 16장 — 579
     d. 출애굽기 20:8-11 — 579
     e. 출애굽기 23:12 — 579
     g. 출애굽기 34:21 — 579
     h. 출애굽기 35:2, 3 — 579
     i. 레위기 — 579
     j. 민수기 — 579
     a. 역사서 — 579
     a. 예레미야 — 579
     b. 에스겔 — 579
     A. 복음서 — 586
     1. 사도행전 — 586
     2. 편지서 — 586
     a. 골로새서 2:14-17 — 586
     3. 요한계시록 — 586
     A. 안식일과 신론 — 593
     1. 중간사 시대 — 599
     2. 랍비들의 전통 — 599
     a. 최초기의 정보 — 599
     b. 2세기의 교부들 — 599
     d. 3세기 교부들 — 599
     a. 4세기 — 599
     b. 5세기 — 599
     c. 6세기 — 599
     1 .중세 — 599
     2. 종교개혁 시대 — 599
     a. 주요 개혁자들 — 599
     b. 조셉 베이츠 — 599
     H. 안식일 준비 — 614
    VII. 참고문헌 — 621
     A. “행성 주일” — 622
     2. 목자와 양무리 — 626
     A. 성경의 용어 — 628
     2. 교회의 역할 — 628
     2. 언약 관계 — 628
     1. 두 극단 — 628
     E. 몇 가지 임시들 — 634
    IV. 교회의 사명 — 636
     F. 성령의 사역 — 636
     2. 성령의 은사 — 636
    V. 교회의 정치 — 639
     A.사도들의 사역 — 639
     B. 지역적인 사역 — 639
     1. 이론들 — 639
     2. 기본 원칙들 — 639
     3. 은사와 기관 — 639
    VI. 교회의 예식 — 642
     A. 침례 — 642
     1. 선례와 기원 — 642
     2. 명령 — 642
     3. 침례의 의미 — 642
     5. 신자들의 침례 — 642
     6. 침례와 성령 — 642
     B. 성만찬 — 642
     1. 성만찬의 의미 — 642
     a. 뒤를 돌아봄 — 642
     2. 세족예식 — 642
     A. 궁극적인 권위 — 647
     B. 사도의 권위 — 647
     C. 성경의 권위 — 647
     A. 믿음 — 649
     B. 친교 — 649
     C. 하나 됨 — 649
     D. 거룩함 — 649
     E.보편성 — 649
     F.사도성 — 649
    X. 역사적 개관 — 654
     A. 고대 교회 — 654
     B. 중세 — 654
     C. 종교개혁 — 654
     1. 루터와 교회 — 654
     2. 칼뱅과 교회 — 654
     3. 급진적인 회복 — 654
     D. 18-19세기 — 654
     E. 20세기 — 654
     K. 개선교회 — 664
    XII. 참고문헌 — 669
    I. 침례 — 672
     1. 용어 — 672
     2. 요한의 침례 — 672
     3. 예수의 침례 — 672
     4. 선교 명령 — 672
     1. 침례로 입교함 — 672
     2. 침례의 방식 — 672
     4. 재침례 — 672
     C. 결론 — 672
     D. 역사적 개관 — 672
     1. 침례의 선례들 — 672
     2. 속사도 시대 — 672
     4. 중세 — 672
     5. 종교개혁 시대 — 672
     6. 현대 — 672
    II. 세족예식 — 682
     A. 신약의 근거 — 682
     B. 세족의 의의 — 682
     D. 결론 — 682
     E. 역사적 개관 — 682
    III. 주의 만찬 — 685
     a. 형식: 떡과 잔 — 685
     1. 기념 횟수 — 685
     D. 결론 — 685
     E. 역사적 개관 — 685
     1. 초기 — 685
     2. 중세 — 685
     3. 종교개혁 시대 — 685
     4. 현대 — 685
     A. 침례 — 695
     1. 예식들의 의미 — 695
     2. 필요성 — 695
     3. 개심의 계단 — 695
     4. 회개가 요구됨 — 695
     6. 침례 서약 — 695
     8. 부모들의 책임 — 695
     2. 유월절 — 695
     4. 의미와 목적 — 695
     5. 예식들의 집례 — 695
     6. 빵과 포도즙 — 695
    V. 참고문헌 — 699
     A. 예언 — 702
     1. 구두예언 — 702
     2. 기록 예언 — 702
     B. 이적과 치유 — 702
     C. 지혜와 지식 — 702
     A. 용어의 정의 — 704
     1. 은사를 확인함 — 704
     2. 은사를 배열함 — 704
     3. 각 은사의 특질 — 704
     c. 믿음(고전 12:9) — 704
     4. 방언의 본질 — 704
     D. 은사의 영속성 — 704
     E. 은사의 목적 — 704
     F. 은사의 조건 — 704
     A. 예언 — 710
     B. 이적 — 710
     C. 방언 — 710
    IV. 예언의 은사 — 712
     A. 용어의 정의 — 712
     B. 선지자적 소명 — 712
     1. 이상 — 712
     2. 꿈 — 712
     3. 야훼의 말씀 — 712
     4. 연구 모델 — 712
     5. 기별을 전달함 — 712
     6. 깨달음 — 712
    V. 예언과 정경 — 715
     A. 구두예언 — 715
     1. 확증하는 기별 — 715
     B. 기록예언 — 715
     1. 정경 예언 — 715
     2. 비정경 예언 — 715
    VI. 신약의 예언 — 718
     A. 비조건적 예언 — 718
     B. 조건적 예언 — 718
     1. 성경을 높임 — 719
     3. 성경을 적용함 — 719
     C. 예언이 성취됨 — 721
     1. 신체적 현상 — 721
     A. 요엘의 증거 — 724
     B. 예수님의 증거 — 724
     C. 바울의 증거 — 724
     D. 요한의 증거 — 724
     A. 엘렌 G. 화잇 — 726
     1 .자료 — 726
     2. 문필 조력자 — 726
     A. 몬타누스주의 — 731
     C. 성결 운동 — 731
     1. 감성주의 — 731
     2. 방언 — 731
     3. 기적 — 731
     A. 영적 은사들 — 738
     F. 방언의 은사 — 738
     G. 가짜 은사들 — 738
    XV. 참고문헌 — 743
     A. 개념과 용어 — 747
     2. 안식일 — 747
     3. 십일조와 헌물 — 747
     1. 구약 — 747
     a. 아브라함 — 747
     b. 요셉 — 747
     c. 이스라엘 — 747
     2. 신약 — 747
    II. 역사적 개관 — 758
     A. 유대교 — 758
     B. 초기교회 — 758
     C. 중세 — 758
     D. 종교개혁 — 758
     A. 재정 — 761
     1. 십일조 — 761
     2. 헌금 — 761
     3. 청지기 개발부 — 761
     B. 지구 — 761
     C. 하나님의 은혜 — 761
     D. 삶과건강 — 761
     E. 시간 — 761
     G. 재능과 능력 — 761
     H. 시민권 — 761
     B. 창조에 관하여 — 767
     C. 재물에 관하여 — 767
     D. 재능에 관하여 — 767
     E. 선교에 관하여 — 767
     G. 시간에 관하여 — 767
    V. 참고문헌 — 771
     1. 성경의 본질 — 775
     a. 일반 원칙 — 775
     b. 규범 모델 — 775
     c. 행동 지침 — 775
     a. 일반 원칙 — 785
     b. 규범 모델 — 785
     c. 행동 지침 — 785
     a. 일반 원칙 — 785
     b. 규범 모델 — 785
     c. 행동 지침 — 785
     a. 일반 원칙 — 785
     b. 규범 모델 — 785
     c. 행동 지침 — 785
     a. 일반 원칙 — 785
     b. 규범 모델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b. 이혼 — 785
     c. 재혼 — 785
     d. 동거 — 785
     a. 인간의 성행위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4. 시민 생활 — 785
     a. 직장 관계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b. 시민의 책무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c. 사회적 책무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1. 복장의 표준 — 785
     (1) 일반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a. 장신구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b. 유행 — 785
     3. 휴양의 표준 — 785
     (1) 일반 원칙 — 785
     (2) 규범 모델 — 785
     (3) 행동 지침 — 785
     a. 독서 — 785
     c. 극장 — 785
     d. 춤 — 785
     e. 음악 — 785
     a. 성실성 — 785
     b. 분별력 — 785
     c. 용기 — 785
     d. 용서 — 785
     D. 시민 생활 — 816
     E. 청지기 생활 — 816
     F. 복장의 표준 — 816
     G. 휴양의 기준 — 816
    IV. 참고문헌 — 823
     1. 결혼제도 — 826
     3. 결혼식 — 826
     4. 결혼의 상징성 — 826
     1. 교제의 축복 — 826
     2. 번성의 기능 — 826
     4. 자녀의 사회화 — 826
     5. 가족의 안식처 — 826
     C. 결혼의 원칙 — 826
     1. 연합의 원칙 — 826
     5. 영속성의 원칙 — 826
     6. 사생활의 원칙 — 826
     7. 배타성의 원칙 — 826
     1. 남편/아버지 — 826
     a. 제사장 — 826
     b. 부양자 — 826
     c. 보호자 — 826
     d. 부모 — 826
     e. 연인이자 친구 — 826
     b. 주부 — 826
     c. 동반자 — 826
     3. 자녀 — 826
     E. 결혼 관계 — 826
     1. 배우자 관계 — 826
     a. 상호간의 복종 — 826
     b. 동등한 지위 — 826
     F. 가정의 영향 — 826
     1. 가정과 개인 — 826
     2. 가정과 사회 — 826
     3. 가정과 교회 — 826
     A. 이상적인 결혼 — 837
     C. 이혼과 재혼 — 837
     D. 가족 학대 — 837
     1. 번성과 확장 — 837
     a. 피임 — 837
     2. 유언과 유산 — 837
     1. 낙태 — 837
     2. 안락사 — 837
     3. 유전자 복제 — 837
     A. 유대교 — 845
     C. 중세 — 845
     D. 종교개혁 — 845
     1. 안식일 — 845
     2. 서적과 출판물 — 845
     A. 결혼의 신성성 — 850
     B. 부부관계 — 850
     C. 부부의 영향 — 850
     D. 자녀 보호 — 850
     E. 일반적인 조언 — 850
    V. 참고문헌 — 853
     A. 창조의 기원 — 856
     B. 죄의 영향 — 856
     1. 성경의 용어 — 856
     D. 샬롬 — 856
     E. 전체성 — 856
     1. 질병의 발생 — 856
     4. 마법과 질병 — 856
     G. 복습 — 856
     B. 치유자 하나님 — 865
     2. 창조와 치유 — 865
     3. 치유의 목적 — 865
     4. 치유와 믿음 — 865
     5. 안식일 치유 — 865
     1. 독특한 특징들 — 865
     2. 치유의 은사들 — 865
     A. 도덕적 요인 — 879
     1. 레위기 법 — 879
     2. 몸 성전 — 879
     B. 성경의 음식 — 879
     C. 건강과 순종 — 879
     A. 서론 — 887
     G. 마음과 몸 — 887
    VII. 참고문헌 — 890
     A. 정의 — 894
     B. 특성 — 894
     1. 계시적인 문학 — 894
     3. 천상의 존재들 — 894
     5. 현저한 대조 — 894
     7. 역사의 종말 — 894
     A. 전제 — 900
     b. 단기적 예측 — 900
     c. 장기적 예측 — 900
     e. 결론 — 900
     a. 다니엘 — 900
     b. 요한계시록 — 900
     c. 결론 — 900
     C. 역사주의 — 900
     D. 1일—1년 원칙 — 900
     E. 상징성 — 900
    IV. 역사적 개관 — 912
     A. 초기교회 시대 — 912
     1. 역사주의 — 912
     2. 새로운 방향들 — 912
     B. 중세 — 912
     C. 종교개혁 — 912
     2. 반대 해석들 — 912
     3. 17-18세기 — 912
     D. 근—현대 — 912
     b. 문자적 해석들 — 912
     C. 포괄적인 진술 — 921
    VI. 참고문헌 — 924
    I. 심판의 용어 — 928
     f. 요약 — 943
    V. 역사적 개관 — 963
    VII. 참고문헌 — 970
     1. 역사적 남은 자 — 974
     2. 신실한 남은 자 — 974
    VI. 역사적 개관 — 997
     C. 재침례파 — 997
     D. 청교도 — 997
     F. 감리교 운동 — 997
    IX. 참고문헌 — 1009
     A. 구약의 용어 — 1012
     1. 야훼의날 — 1012
     a. 역사적 사건 — 1012
     b. 절정의 사건 — 1012
     c. 심판의 날 — 1012
     2. 남은 자의 선택 — 1012
     3. 왕국의 수립 — 1012
     4. 낙원으로 돌아감 — 1012
     5. 묵시 신앙 — 1012
     B. 신약의 용어 — 1012
     C. 소망의 중심 — 1012
     1. 소망 — 1012
     2. 마라나 싸 — 1012
     3. 감사 — 1012
     4. 인자(人子) — 1012
     D. 하나님의 왕국 — 1012
     1. 초월적인 왕국 — 1012
     2. 신비한 왕국 — 1012
     3. 영적인 왕국 — 1012
     4. 미래의 왕국 — 1012
     E. 재림의 형태 — 1012
     4. 대격변이 일어남 — 1012
     5. 갑작스럽게 오심 — 1012
     F. 재림의 징조들 — 1012
     1. 난해한 본문들 — 1012
     a. 마 10:23 — 1012
     b. 마 16:28 — 1012
     c. 마 24:34 — 1012
     2. 천연계의 징조들 — 1012
     a. 리스본 지진 — 1012
     b. 해가 어두워짐 — 1012
     c. 별들이 떨어짐 — 1012
     d. 기근 — 1012
     e. 기타 자연재난들 — 1012
     3. 도덕계의 징조들 — 1012
     4. 종교계의 징조들 — 1012
     5. 거짓 징조들 — 1012
     1. 소망 — 1029
     2. 사랑 — 1029
     3. 겸손 — 1029
     4. 거룩함 — 1029
     B. 전도의 동기 — 1029
     1. 성령의 시대 — 1029
     2. 은혜의 시기 — 1029
     3. 긴박한 시대 — 1029
     D. 외견상의 지체 — 1029
     E. 결론 — 1029
    III. 역사적 개관 — 1035
     A. 사도 시대 — 1035
     D. 종교개혁 시대 — 1035
     F. 현대 — 1035
     1. 소망의 중심 — 1040
     2. 하나님의 왕국 — 1040
     4. 재림의 징조들 — 1040
     C. 역사적 개관 — 1040
     1. 사도시대 — 1040
     3. 종교개혁 시기 — 1040
    V. 참고문헌 — 1046
    I. 성경 주해 — 1050
     A. 해석 원칙 — 1050
     a. 첫째 부활 — 1050
     b. 사탄의 결박 — 1050
     c. 지구의 황폐 — 1050
     a. 장소 — 1050
     b. 심판하는 사람들 — 1050
     c. 심판 — 1050
     d. 땅의 상태 — 1050
     b. 둘째 부활 — 1050
     e. 악인의 멸망 — 1050
     C. 보초 임무 교대 — 1057
     D. 친교의 기간 — 1057
    III. 역사적 개관 — 1058
     A. 용어의 정의 — 1058
     2. 초기교회 — 1058
     3. 아우구스티누스 — 1058
     6. 무천년설 재고 — 1058
     8. 재림교회의 이해 — 1058
     A. 천년기 — 1065
     B. 1,000년 — 1065
     1. 천년기전 — 1065
     2. 천년기 동안 — 1065
     3. 천년기 후 — 1065
    V. 참고문헌 — 1069
     1. 새로운 왕국 — 1073
     2. 메시아의 왕국 — 1073
     3. 수도 예루살렘 — 1073
     4. 예배하는 왕국 — 1073
     5. 거룩한 왕국 — 1073
     6. 즐거운 왕국 — 1073
     7. 평화스러운 왕국 — 1073
     8. 결실하는 왕국 — 1073
     9. 영원한 왕국 — 1073
     1. 복음서 — 1073
     2. 편지서 — 1073
     3. 요한계시록 — 1073
     a. 천년기 — 1073
    IV. 역사적 개관 — 1085
     A. 고대 세계 — 1085
     B. 유대교 — 1085
     C. 이슬람교 — 1085
     D.동양종교 — 1085
     E. 초기 그리스도교 — 1085
     F. 로마가톨릭교 — 1085
     G. 개신교 — 1085
     H. 재림교회의 이해 — 1085
     D. 학교로서의 하늘 — 1089
    VI. 참고문헌 — 1094
    I. 예견된 대쟁투 — 1098
     A. 신성의 비밀 — 1098
     4. 품성의 회복 — 1098
     5. 영원한 상급 — 1098
     B. 도전자 — 1098
     B. 하늘의 법칙들 — 1100
     C. 대쟁투의 이슈 — 1100
     1. 루시퍼 — 1100
     2. 이슈들 — 1100
     a. 하나님의 율법 — 1100
     b. 하나님의 품성 — 1100
     c. 창조물의 자주성 — 1100
     a. 누가복음 10:18 — 1100
     b. 요한계시록 12:7-9 — 1100
     5. 인류의 타락 — 1100
     E. 하늘의 목표들 — 1100
     1. 약속 — 1110
     2. 제사 의식들 — 1110
     3. 예언적인 그림들 — 1110
     B. 사탄의 반격 — 1110
     4. 사탄의 참소들 — 1110
     a. 욥 1:6-12; 2:1-8 — 1110
     b. 스가랴 3:1-10 — 1110
     A. 지배적인 섭리 — 1113
     3. 유대인 선교 — 1113
     B. 그리스도의 초림 — 1113
     2. 교회를 핍박함 — 1113
     D. 축소판 대쟁투 — 1113
     A. 마지막 투쟁 — 1120
     C. 중심 이슈들 — 1120
     1. 순종:십계명 — 1120
     2. 천년기 — 1120
     B. 세계관 — 1125
     C. 인간의 고난 — 1125
     D. 하나님의 품성 — 1125
    VII. 역사적 개관 — 1126
     C. 현대 — 1126
     D. 재림교회의 이해 — 1126
     a. 요약 — 1126
     A. 이해하라는 호소 — 1133
     B. 대쟁투가 예견됨 — 1133
     C. 대쟁투의 기원 — 1133
     4. 축소판 대쟁투 — 1133
     F. 대쟁투가 완결됨 — 1133
     4. 하나님의 공의 — 1133
    IX. 참고문헌 — 1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