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비평적 방법 |
역사적—성경적 방법 |
|
A. 정의: 세속 역사학의 원칙들과 방식들에 기초하여 성경 자료의 진실성을 확증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려는 시도. |
A. 정의: 오직 성경 안에서 발생하는 방법론적 고려사항 들을 사용하여 성경 자료의 의미를 이해하려는 시도. |
|
B. 목적: 성경의정확한 의미에도달하기.이것은 그 동시대인들에 의해 이해된 인간 저자의 의도이다. |
B. 목적: 성경의 정확한 의미에 도달하기. 이것은 인간 저자나 그의 동시대인들이 충분히 알았든 알지 못했든 하나님이 교통하기를 원하시는 것이다(벧전 1:10-12). |
|
C. 기본적인 전제 |
C. 기본적인 전제 |
|
1. 세속적 기준: 세속적 역사학의 원칙과 방법이 성경 자료의 진실성을 평가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기 위한 외부적 기준과 적절한 방법을 구성한다. |
1. 솔라 스크립투라: 성경의 권위와 통일성은 내용과 해석의 방식과 관련하여 성경이 최종적 기준이 된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사 8:20). |
|
2. 비평의 원칙(방법론적 회의): 자율적인 인간 조사자가 성경 본문의 특정한 선언들로부터 떨어져서 질문하고 평가할 수 있다. |
2. 성경은 궁극적인 권위이고 비평주의를 받아들일 수 없다. 성경 자료는 액면가 그대로 받아들이고 진실성, 적당성, 타당성, 이해성을 결정하는 외부적 기준에 굴복하지 않는다(사 66:2). |
|
3. 유비의 원칙: 현재의 경험은 이미 발생한 성경적 사건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다. 왜냐하면 모든 사건은 원칙상 동일하기 때문이다. |
3. 강요적인 유비의 원칙을 유보함: 이것은 성경 안에 기록된 그대로의 그리고 성경을 형성하는 과정 안에서 이루어진 하나님의 독특한 활동을 허용하기 위함이다(벧후 1:19~21). |
|
4. 상관성의 원칙(혹은 인과관계): 원인과 결과의 닫힌 체계는 역사속에 하나님의 초자연적인 개입의 여지가 전혀 없게 한다. |
4. 상관성의 원칙(혹은 자연적인 인과관계)을 유보함: 이것은 성경에 기록된 대로 역사속에 신적 개입을 허용하기 위함이다(히 1:1, 2). |
|
5. 성경의 불일치성: 그 생산에 수많은 인간 저자나 편집 자가 개입되어 있기 때문에 통일된 성경적 교훈에 도달하기 위해서 성경은 성경과 비교될 수가 없다. |
5. 성경의 통일성: 많은 인간 기자들이 한분의 신적 저자에 의하여 관리를 받았으므로 성경 교리에 도달하기 위해서 성경을 성경과 비교할 수 있다(눅 24:27; 고전 2:13). |
|
6. “시간에 조건화됨” 혹은 “문화적으로 조건화된” 성경의 성격: 역사적 정황이 성경을 산출하는 일과 관련된다. |
6. 성경의 무시간적 성격: 하나님이 구체적인 문화에 대해 선지자를 통해 말씀하지만, 기별은 무시간적 진리로 문화적 배경을 초월한다(요 10:35). |
|
7.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을 포함하고 있고 하나님의 말씀과 동일하지 않다. 성경의 인간적 및 신적 요소들은 구별되고 분리되어야 한다. |
7.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과 동일하다. 성경의 신적이고 인간적인 요소들은 구별되고 분리될 수 없다(딤후 3:16, 17). |
|
D. 기본적인 해석학적 방법들 |
D. 기본적인 해석학적 방법들 |
|
1. 문학(자료) 비평: 본문의 현재 형태로 이끈 문학적 발전의 과정을 가설적으로 재구성하고 이해하려는 시도. 성경은 그것을 산출한 공동체의 삶의 자리의 산물이라는 전제에 기초한다. |
1. 문학적 분석: 그 정경적 형태 안에서 성경 자료의 문학적 특징들을 조사함, 있는 그대로 제시된 성경 부분의 통일성을 수용하고, 성경 자료의 기원 및 본질과 관련된 특정한 성경의 진술들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 |
|
2. 양식 비평: 다양한 문학 양식들 뒤에 있는 문서화 전의(구두) 발전을 가설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 성경은 관습적인 민속 문학처럼 구전의 전(前)역사를 갖고 있으며 민속 전통의 발전을 통제하는 법들에 따라 형성된 전통들로부터 일어났다. |
2. 양식 분석: 성경의 정경적 형태 안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문학 유형들을 기술하고 분류하려는 시도, 성경적 자료에 제시된 각 형태를 위한 삶의 자리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임. |
|
3. 편집 비평: 자신의 신학적 관심에 따라서 자신의 삶의 정황 속에서 타당한 것을 말하기 위해서 편집자들이 선택하고, 수정하고, 변형하고 혹은 전통적 자료에 덧붙인 것의 기초를 결정한 삶의 자리, 사회적, 신학적 동기들을 발견하려는 시도, 각각의 편집자는 그의 자료와 다른 편집자들과는 다른(때로는 상충되기도 하는) 자기의 자료와 다른 편집자들과는 다른 독특한 신학과 삶의 자리를 갖고 있다. |
3. 성경 책들의 신학적 분석: (기자의 사고방식과 이해의 역량에 따른) 각 성경 기자의 특별한 신학적 강조점에 대한 연구, 전체 성경의 더 넓은 맥락에서 보며, 성경이 스스로의 해석자가 되고 여러 가지 신학적 강조가 다른 것 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허용함. |
|
4. 전승사: 구전으로 세대들에게 전수되어 최종적으로 기록된 형태가 되기까지 각 단계 별로 기록 전의 전승의 역사를 추적하려는 시도, 이것은 각 세대가 해석적으로 자료를 재구성했다는 주장 위에 기초되어 있음. |
4. 통시적(주제적) 분석: 다양한 주제의 발전을 정경적 형태의 성경을 통해서 연대기적으로 추적하는 시도; 하나님이 후기 세대들을 위하여 계시를(점진적으로) 더하시나, 그것은 이전의 모든 계시와 전적으로 조화가 된다는 성경적 입장에 기초함. |
|
5. 정경 비평: 성경의 정경을 현재 형태와 내용으로 결정한 회당과 초기교회의 삶의 자리(사회학적 및 신학적 세력들)를 재구성하려는 시도. 인간 세력들이 정경화 과정을 설명한다고 추정함. |
5. 정경 역사: 성경의 정경화 과정을 조사함, 정경성의 범주는 하나님의 감동하심을 받은 성경 자료 내에 고유한 것이라고 추정함, 또한 성령께서 유대인과 그리스도교인 공동체가 이 정경적인 책들, 곧 성경 기자들의 증거를 보존한 책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인도하셨다고 추정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