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4년에 설립된 배틀크리크 대학교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첫 고등교육 기관이었다. 그 뒤를 이은 임마누엘 선교 대학교는 1901년에 시작하여 미시간 주 베리언 스프링스의 선교사 훈련 학교로 발전하였다. 그곳에서 진행되는 일과 공부를 병행하는 교과과정 때문에 1910년까지 학위가 수여되지 않았다. (39.7)
 재림교인들은 정부의 인가를 받는 일에 대해 경계심이 있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정부가 재림교회의 교육 기관들에서 재림교회의 고유성을 박탈시킬 것이라고 우려했기 때문이다. 박사학위는 불필요하거나 심지어는 위험하다고까지 생각되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캘리포니아의 퍼시픽 유니언 대학교(Pacific Union College)는 첫 박사학위 소지자를 1928년에 이르러서야 채용하였다. 이 대학은 정부의 인가를 받은 첫 재림교회 대학이 되었다. 미국의 다른 재림교회 대학들도 뒤이은 10년간 같은 길을 따라갔다. 미국 밖에 있는교육 기관들은 공적인가를 더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수여받았는데, 그것은 주로 정부의 인중이었다. (40.1)
 첫 대학원 과정(목회자들을 위한)이 1933년 여름 퍼시픽 유니언 대학교에 설립되었다. “고등성경학교”(The Advanced Bible School)는 세 여름 동안 운영 된 후 워싱턴 D.C.로 이전하여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신학대학원의 시초가 되었다. (40.2)
 북미의 재림교회 고등교육 기관 시스템의 본점은 앤드루스 대학교(미시간 주의 베리언 스프링스에 소재한)와 로마린다 대학교(캘리포니아의 로마린다에 소재한)인데, 전자는 교육과 인문교양 그리고 신학에, 후자는 건강 과학에 중점을 두고 있다. 1998년 15개의 재림교회 고등교육 기관이 북미에서 운영되었다. 총 입학생수는20,939명이었다. (40.3)
 1998년까지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고등교육은 북미 외의 지역에서 75개의 고등교육 기관을 운영하였다. 이들 중 적어도 20개의 기관들이 대학교의 지위를 획득했다. 박사학위 과정은 미국 3개, 아시아 4개, 중미 1개 그리고 남미 3개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다. (40.4)
 교육 스펙트럼의 반대쪽 끝에서 보면, 1998년 교회는 4,450개의 초등학교에서 723,473명의 학생과1,014개의 중등학교에서 208,486명의 학생을 지도하고 있다. 이들 중 많은 학생이 비재림교인 자녀이다. 이들은 재림교회의 교육에 대한 좋은 평판에 대해 듣고 재림교회 학교에 입학한다. (40.5)
 D. 의료사업
 1866년 배틀크리크 요양원의 전신인 “서부건강원”(Western Health Institute)의 설립을 기점으로 건강 사업은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인들 사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하나님을 창조주로 인정하고 인간을 성령의 전으로 여기는 사상이 이렇게 건강을 강조하는 신학적 배경을 이룬다(고전 6:19). 건강은 영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즉 건강한 신체는 영적인 성장을 촉진한다. 그러므로 건강의 관리와 더불어 건강 교육과 [질병의] 예방은 신앙의 일부로 여겨진다. 더욱이 재림교인들은 건강을 보살펴 줌으로 교회와 지역 사회에 봉사한다. (40.6)
 “요양원”(sanitatium)이라는 아이디어는 배틀크리크에서 엘렌 화잇과 J. H. 켈로그 박사의 감독 하에 시작되었다. 환자들은 그곳에서 장기간 머물면서 식사, 운동, 마사지 그리고 수치료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그들은 또한 기관 내에서 영적인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었다. 요양원 개념은 1897년 호주의 시드니로 그리고 1898년 덴마크의 스코즈부르크(Skodsborg) 요양원으로 옮겨갔다. 초기의 “의료 선교사들”은 성경책과 함께 열 수건 찜질 도구들도 함께 가지고 갔다. (40.7)
 진료소와 병원들이 비그리스도교 지역의 문을 여는 쐐기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선교가 전혀 허용되지 않는 힌두교 지역인 네팔에, “쉬어기념병원”(Scheer Memorial Hospital)이 1957년부터 정부의 완전한 인가를 받아 운영되고 있다. 교회 활동에 대한 제한 사항이 축소됨에 따라 재림교회 회중들이 네팔에서 활동하고 있다. (40.8)
 엘렌 화잇 자신도 로마린다 건강 시설의 매입에 참여하였다. “의료전도사대학교”(College of Medical Evangelists)가 의료 선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그 부지에 세워졌다. 간호학 과정이 먼저 시작되고 의과가 뒤를 이었다. 오늘날 이 기관은 로마린다 대학교로 불린다. 로마린다 대학병원은 소아 심장이식 수술에 대한 선구적 업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곳에 있는 양성자 가속기는 1991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했는데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이러한 장비의 첫 종류 중 하나이다. 이 병원의 심장 개봉 수술 팀은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수술을 집도하고 지역의 의료진을 훈련시켰다. (40.9)
 예방의학과 건강교육 또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의료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들이다. 공중보건학 학위가 로마린다 대학교에 의해 수여되는데, 캠퍼스 내뿐 아니라 원거리 교과 개설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예컨대, 건강에 관한 석사학위를 필리핀과 칠레에서도 받을 수 있다. 건강 전문가들과 목회자들은 건강을 유지하거나 개선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일에 적극적으로 활동한다. 재림교회의 금연, 체중 조절 그리고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은 이 세계적 교육 방침의 일부이다. (41.1)
 1998년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162개의 요양원과 총 19,700베드 규모의 병원 시설을 운영하였다. 이뿐 아니라 102개의 노인 요양원 또는 퇴직자 보호 센터, 361개의 진료소와 그에 딸린 약국 그리고 25개의 고아원과 어린이집이 있었다. 총75,586명의 직원들이 이 기관들에서 일하였다. (41.2)
 E. 복지와 개발 사업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의료 봉사와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은 복지 및 개발 사업이다. 이 원조는 지역 교회 차원에서 그리고 대총회 기획의 일부로 필요한 이들에게 제공된다. (41.3)
 1874년에 배틀크리크 교회의 여성들은 “도르가자선협회”(Dorcas and Benevolent Association)를 형성하였다. 이 명칭은 욥바에서 가난한 이들을 위하여 옷감을 만들던 그리스도인 여인을 기념한 것이었다(행 9:36-39). 배틀크리크의 여성들은 불우한 가정들을 위하여 옷을 만들고 음식을 제공하였으며, 고아들을 돌보고 아픈 자들을 위해 봉사했다. 이런 아이디어가 더 널리 전파되어 많은 도르가협회가 세계 각지에서 설립되었다. 도르가 협회의 첫 연맹이 1934년 시카고 지역의 교회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오늘날도 마찬가지이지만, 그들의 목적은 불우한 사람들을 그들의 신조나 사회적 지위나 인종에 관계없이 돕는 것이다. (41.4)
 여러 지역 교회가 지역사회 봉사센터를 운영하는데, 거기서 그들은 곤궁한 이들과 재난의 피해자들을 섬긴다. 그들이 원조하는 물자는 의류, 침구류, 음식, 가구 현금 등이다. 또한 이러한 봉사는 가정, 건강 그리고 대처 기술 등에 관한 성인교육 과정을 포함한다. 어떤 교회들이나 연맹들은 차량에 많은 옷과 음식을 실어 와 비상 상황을 위하여 대기시키기도 한다. (41.5)
 “재림교회 개발과구호 기관”(ADRA)은대총회 본부에 위치해 있으며, 지회와 합회에 대표자를 파견한다. ADRA는 지진 또는 홍수 같은 대규모 재난에서 피해를 입은 이들을 구호하는 활동을 한다. 이 기관은 또한 여러 개발 프로젝트에도 기여한다. 수자원 개발, 학교, 병원, 댐의 건축, 일차적 건강 서비스 개발, 원예 또는 수공등의 자립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ADRA의 주 수입원은 교회의 재정이 아니라 기부금과 정부이다. 주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밖에 있는 자들및 빈곤 한국가들을 위해 봉사한다. (41.6)
 F. 교회 조직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세계적 조직으로 운영된다. 지역 교회들은 자양 협회(conference) 또는 미자양 협회(mission) 단위로 조직된다. 상부 조직에 재정적으로 의존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렇게 불린다. 또한 자양 합회들과 미자양 합회들이 연합회를 이루는데, 연합회는 일반적으로 국가나 인종이나 언어의 경계선에 따라 조직된다. 연합회들은 지회를 구성하는데, 지회는 미국 메릴랜드 주 실버 스프링(Silver Spring)에 본부를 둔 재림교회 대총회의 지부(支部)의 기능을 담당한다. 12개의 지회들은 아프리카—인도양, 동아프리카, 유로—아프리카, 유로—아시아, 중미, 북미, 북아시아—태평양, 남미, 남아시아—태평양, 남태평양, 남아시아 그리고 트랜스—유럽 지회이다.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