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대구법에 기초한 두 종류의 문학적 구조에 대해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공통적인 문학적 구조를 형성하는 한 가지 장치는
“블록 대구법” 또는
“패널 글쓰기”인데, 그것은 시의 개별 구절이 동의어적 대구법을 따른다. 여호수아서와 요나서 같은 성경의 책은 체계를 잡는 기법으로
“블록 대구법” 혹은
“패널 글쓰기”를사용하고 있음을발견할수 있다. 책의 첫 절반이 나머지 절반에서 반복되는 순서이다. 성경에서 또 다른 공통적인 문학적 체계화의 장치는 반전대구법(또는 헬라어의 X자 모양을 닮은 글자인 키에서 이름을 딴 카이애즘[chiasm],
“교차대구법”)이다. 이것은 시의 연속적인 두 행이 반의어적 대구법의 패턴을 따른다. 개별 절 중에서 교차대구법의 ABCB1A1의 패턴을 가진 예는
아모스 5:5에서 도시들에 대한
“거울 이미지” 언급에 명백하게 나타나 있다.
(1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