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교리·신학 핸드북 제17장 영적 은사(조지 E. 라이스, 윤재성) XI.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에서 엘렌 화잇이 지닌 역할과 기능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기본교리 27이 전원 기립 찬성으로 가결되었다 이 가운데 기본 신조 16번은 영적 은사와 사역에 관한 것이고, 17번이 “예언의 은사”를 다룬 것이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728.5)
 “성령의 은사 중 하나는 예언의 은사이다. 이 은사는 남은 교회를 식별하는 특징 중 하나로서 엘렌 G. 화잇의 사역을 통해 드러났다. 주의 사자로서 그녀는 교회에 위로와 안내와 지시와 교정을 제공하는 진리에 대한 지속적이고 권위 있는 근원이다. 또한 그녀의 글들은 성경이 모든 가르침과 경험을 시험하는 표준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욜 2:28, 29; 행 2:14-21; 히1:1-3; 계 12:17; 19:10).”(SDA Yearbook 1981,7). (728.6)
 D. 자료와 문필 조력자
 1980년대에 사람들의 관심은 엘렌 화잇이 사용한 자료에 집중되었고, 폭넓은 논의가 뒤따랐다. 엘렌 화잇이 다른 저자들의 글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용한 사실이 그녀의 영감성을 조금도 감소시키지 않으며, 엘렌 G. 화잇 유산관리연구소에서도 화잇 여사의 이러한 행위를 덮으려고 시도하지 않았다. 1933년에 幻. C. 화잇(엘렌 화잇의 아들)과 D. E. 로빈슨(엘렌 화잇의 비서 중 한 사람)은 ‘엘렌 G. 화잇의 저술에 관한 간략한 진술’이라는 27쪽에 달하는 팸플릿을 준비했는데, 그것은 자료와 문필 조력자 문제를 공개적으로 다룬 것이었다. (728.7)
 1 .자료
 저자들은 엘렌 화잇이 처음에 자신이 받은 이상의 내용을 인간의 언어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때문에 괴로워했다는 것에 주목한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에게 지워진 책임을 완수하도록 필요한 은혜와 지도를 주실 것이라는 하나님의 보증을 받았다. (728.8)
 “그녀는 종교 서적이나 잡지를 읽음으로써 소중한 진리의 보석을 표현할 수 있는 납득이 될 만한 언어를 발견하곤 했으며, 이것들을 인식하고 때때로 그것들과 연관된 쓰레기같은 오류를 분별해낼 수 있는 도움을 하늘로부터 받곤 하였다”(화잇과 로빈슨, 1981년 6월 4일 AR를 위한 인쇄된 보충 자료) (728.9)
 엘렌 화잇은 1888년판 ‘각 시대의 대쟁투’ 서문에서 자료 사용에 관해 직접 언급하였다 “어떤 역사가가 주제의 총괄적 견해를 간단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사건들을 분류했거나 편의상 세부 내용을 요약했을 경우에는 그 역사가의 말들을 인용하였다. 그러나 그것을 인용한 것은 그 저자를 권위자로 소개하려는 목적이 아니고 다만 그가 주장하는 바가 주제를 설명하는 일을 쉽게 해주고 힘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떤 경우에는 그 역사가의 말에 아무런 특별한 권위를 부여하지 않았다.” (729.1)
 이 진술은 1911년판의 서문에도 한두 가지 사소한 문구 수정과함께 다시 전재(轉載)되었다. (729.2)
 성경 정경의 기자들도 글을 쓸 때에 영감 받은 글과 영감 받지 않은 글을 사용했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진 사실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누가는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에 관해 자신이 사용한 정보의 출처에 대하여 독자들에게 알려주었다. 그는 그러한 자료들이 꿈이나 이상에 의해 온 것이 아니라 말씀의 목격자와 일꾼 된 자들과 면담을 통해 얻은 것임을 분명히 했다(눅 1:1-4; 참조 IV. C. 4). (729.3)
 엘렌 화잇의 글에 반영된 그녀의 방대한 독서의 분량이 최근에 와서야 납득이 되었다. 이것을 알고 나서 어떤 이들은 그녀의 예언적 은사에 대해 의문을 갖기도 하지만, 그녀의 자료 사용이 ‘영감의 연구조사 모델’(참조 IV. C. 4)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사실상 엘렌 화잇의 자료 사용에 관한 논쟁은 영감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더 풍성하고 넓게 해 주었다. 이 주제에 관해 더 깊은 검증을 원하는 이들은 최근에 〈시대의 소망(The Desire of Ages)〉에 관한 문서 자료 연구에 주목하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일 것이다(참조 Veltman). (729.4)
 2. 문필 조력자
 예레미야와 바울처럼(참조 IV. C. 5) 엘렌 화잇은 문필 조력자를 활용했다 초창기에는 그녀의 남편인 제임스 화잇이 그녀의 편지를 발송하거나 출판을 위해 원고 준비하는 일을 도왔다. 1881년 제임스 화잇의 사후에는 아들 W. C. 화잇이 이 역할을 맡았다. 그녀의 문서 출판이 최고조에 달했던 이 시기 동안에는 그녀를 조력하는 여러 명의 직원들이 있었다. 그들의 책임의 범위는 원고와 편지를 타이핑하는 것에서부터 문법과 철자의 교열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조력자들은 엘렌 화잇이 손으로 쓴 것을 타자하고 문법과 철자를 수정한 다음 그것을 정독하도록 다시 엘렌 화잇에게 돌려주었다. 이때 그녀가 첨삭을 하게 되면 그들은 그것을 다시 타이핑했다. 다시 타이핑된 것을 재차 읽은 다음에야 출판되거나 발송되었다 다음 문단에서 볼 수 있듯이 어떤 조력자도 자신의 생각이나 개념을 삽입하도록 허락되지 않았다. (729.5)
 엘렌 화잇이 가장 신뢰하는 조력자였던 메리언 데이비스(Marian Davis)는 책을 준비하는 일을 돕는 책임을 맡았다. 엘렌 화잇은 다른 조력자들의 일과 메리언 데이비스의 일을 비교하면서 이렇게 기록했다(MR 926). “당신은 나의 필사자들을 보았다. 그들은 나의 언어를 바꾸지 않는다 내가 쓴 그대로 남겨둔다. 메리언의 일은 완전히 다른 순서를 따른다 그녀는 나의 편집인이다. ∙∙∙그녀는 일을 이런 방식으로 한다. 그녀는 종이로 출판된 나의 기사를 취하여 공책에 붙인다. 그녀는 또한 내가 쓴 모든 편지를 복사하기도 한다. 책의 한 장을 준비함에 있어서 메리언은 내가 쓴 어떤 글의 핵심이 더 드러나게 하는 특별한 사항을 기억한다. 그녀는 이것을 조사하기 시작하고 만일 그것을 발견하면 그것이 그 장의 내용을 보다 명확히 할 것인지를 본 다음 그것을 추가한다.” (729.6)
 E. 생애의 사역의 열매
 1915년 작고하기까지 엘렌 화잇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글을 준비하기 위해 100,000 페이지 이상의 글을 썼다. 발행된 책 24권과 출판 준비가 완료된 2권의 책, 5,000회 이상의 정기 간행물 기사와 약 200개의 전도자와 팸플릿을 남겼다. 여기에 더하여, 6,000통 이상의 타자된 편지와 일반 원고를 포함한 35,000페이지 이상의 글을 썼으며, 손으로 쓴 2,000통의 편지, 문서, 일기, 저널 등은 이것들을 타자했을 경우 15,000 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 된다. 엘렌 화잇의 사후에 그녀의 주요 서적들은 100개 이상의 언어와 방언으로 번역되었으며, 이 중에〈정로의 계단(Steps to Christ)은 약 150개의 언어로 번역되었을 뿐 아니라 지금도 그녀의 여러 책들이 계속 번역되고 있다. (730.1)
 작성된 문서의 분량도 물론 인상적이지만, 그녀의 글이 사람들의 심령에 미치는 영적인 영향력은 더욱 중대하다 하겠다. 이 글들의 내용은, 당신의 귀한 아들을 선물로 주심으로 나타내신 하나님의 사랑, 대쟁투, 예수님의 재림을 위해 준비하라는 호소, 승리하는 삶을 살게 하는 하나님의 은혜의 능력, 그리고 독자들을 고취시키는 여러 성경의 주제들인데, 예수께서 재림하실 때에야 그 영향력을 온전히 헤아릴 수 있을것이다. (730.2)
 F. 엘렌 화잇의 글의 관리
 엘렌 화잇은 85세 되던 1912년에 자신의 글을 관리할 대비책을 마련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다섯 사람이 피신탁인으로 지명되었는데, 그의 아들 W. C. 화잇(W. C. White), 비서 중 한 사람인 클래런스 C. 크리슬러(Clarence C. Crisler), 퍼시픽 프레스 출판협회의 경영자인 찰스 H. 존스(Charles H. Jones), 대총회 회장 아써 G. 대니얼스(Arthur G. Daniells), 교회 소식 지인〈리뷰 앤드 헤럴드〉편집장인 F. M. 윌콕스(F.M. Wilcox)가 지명되었다. (730.3)
 그 유언에는 모든 저작권, 모든 언어로 된 장서표(藏書票), 일반 원고 파일, 그 파일들과 관련된 모든 색인을 그들에게 위탁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그녀는 피신탁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책임을 맡겼다.

   (1) 자신의 모든 간행된 서적과 미간행된 원고를 관리하는 일,

   (2) 그 서적과 원고를 활용하는 문제,

   (3) 새로운 번역본들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인쇄하는 일,

   (4) 파일로 있는 편지와 문서와 기사와 원고 등에서 편집물을 인쇄하는 일 등이었다. (7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