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문학적 분석
 성경을 제대로 해석하려면 역사적 배경 못지않게 성경의 문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 해야한다. 성경은 역사서일 뿐 아니라 문학적 작품이다. 성경학자들의 최근 연구는 성경의 문학적 특성과 관습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04.1)
 성경 자체는 그것의 문학적 질에 관한 다양한 외적, 내적 지표들과 해석학적 과제의 부분으로서 이것들을 인식하는 것의 증요성을 우리에게 제공한다. (104.2)
 1. 구절의 한계
 직접적인 문학적 문맥 안에서 주어진 구절을 해석 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중 하나는 구절의 한계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것은 구절이 부분을 이루고 있는 전체 생각의 단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그 다음에 연구자는 앞에 와야 할 것과 뒤에 와야 할 것을 결정할수 있고, 이 조각들이 영감 받은 문서의 흐름 속에 어떻게 맞아 들어가는지를 더욱 잘 이해할 수있다. (104.3)
 성경의 장과 절 구분은 성경 시대에 유래하지 않았다. 성경 기자들은 때때로 구절의 한계를 가리키는 표지들을 제공했다 앞의 성경에 대한 그들의 해석안에는 성경의 단위들의 분별에 대한 인식이 나타나있다. 창세기에서 예를 들면 “∙∙∙의 대략이 이러하니라”는 구절로 책이 확연하게 구분된다. 시편은 개인적인 시편들의 구분과 함께 부분을 구별하는 표시가 포함된 시편이 많다.

   (a) 후렴을 가진 연들(stanzas, 시 42:5, 11; 43:5)

   (b) 쎌라라는단어(시편에 기회, 시 46:3, 7, 11)

   (c) 답관체(acrostic, 시 119편, 히브리 알파벳의 다음 글자로 시작해서 다음 절들이 이어짐).

 신약 시대까지 오경(아마 선지서도)은 매 안식일에 회당에서 읽기 위해 작은 부분들로 나뉘어졌다(참조 행 1:Ί5, 27; 15:21). 예수는 이러한 토라의 구분법을 인식하고 “가시나무 떨기에 관한 글”이라고 언급했다(눅 20:37;참조 출 3:3-6). (104.4)
 성경 기자들의 명백한 언급을 따르고, 그들의 글을 자세하게 조사함으로 우리가 고찰하는 구절의 문학적이고논리적인 한계를확립할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예수의 말씀과 행동들에 대한 이야기는 부분이나 인용구로 자연스럽게 구분된다. 최근의 저작들은 성경의 어떤 책이나 부분을 “도표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것들은 자연스럽게 구분한 후 각 구절의 경계를 정하고 분석한다. (104.5)
 2. 문학 유형
 어떤 기록된 작품의 표본을 연구할 때 어떤 유형의 문학작품을 조사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것은 성경을 연구할 때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여기에는 시와 산문이라는 좀 더 일반적인 범주가 있고, 법적 문서, 서신, 찬미, 연가, 자서전 등의 구체적인 문학 유형(혹은 장르)이 있다. 다양한 문학 형태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특정한 기초적 관습들이 이런 각각의 문학 형태들 속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동일한 문학 장르의 상이한 예들을 비교하면 공통적 관습과 또 독특한 특징과 각각의 강조점이 드러난다. 따라서 사용되고 있는 문학 형식을 인식함으로 해석이 향상된다. (104.6)
 성경 기자들은 특정한 문학 유형이나 장르에 그들이 기록한 자료들을 자주 명백하게 일치시켰다. 성경에서 식별할수 있는 주요 문학유형은 다음을포함한다. “세대”/“족보”/“역사”/“설명”(히브리어 톨레도트, 창 2:4, 창세기에 14번 더 나옴), 임종 시의 축복들(창 49장; 신 33장), 율법들(법규, 규례와 법도; 출 21:1; 신 4:44, 45), 사법적 계약서(창 21:22-32; 26:26-31; 수 9:15; 왕상 5:6-12), 언약 체결과 갱신(예를 들어 출 24장; 신명기 전체; 참조 신 29:1, 14, 15; 수 24장), 수수께끼(삿 14:10-18), 왕의 칙령(스 6:3-12; 7:11-26), 편지(삼하 11:15; 왕상 21:8-10; 왕하 5:5, 6; 10:1-3), 시(표제에 지시된 다양한 유형의 시) 또는 노래(아 1:1), 기도(시 72:20; 단 9:4-19), 잠언(잠 1:1; 10:1; 25:1), 선지자의 신탁 혹은 “경고”(히브리어 맛사, 나 1:1; 합 1:1; 말 1:1), 환상(단 8:1, 2; 옵 1), 언약 소송(히브리어 리브, 사 3:13; 호 4:1; 마 6:1), 애가, 장송곡(히브리어 키나, 겔 27:32; 암 5:1; 애가), 복음(막 1:1), 비유(막 4:2), “비유”(헬라어 파로이미아;요 10:6; 16:25), 편지(롬 16:22; 고전 5:9; 벧후 3:1, 16), 묵시(아포칼륍시스, 계 1:1). (104.7)
 a. 산문
 위에 언급한 것처럼 성경 기자들에 의해 수많은 산문체의 유형이 명백하게 확인되고 표시되었다. 현대의 연구를 통해서 분석된 다른 것들로는 연설 혹은 설교(수 23, 24; 삼상 12; 왕상 2:1-9; 렘7장), 목록들(창 10장;수 15-19장;민 33장; 왕상 4:7-19), 제의적 규례들(레 1-7장)이 있다. 성경적 이야기 중에 특별히 중요한 것으로는 역사(여호수아-역대기, 사도행전), 보고서 혹은 기록(왕상 11:41; 14:19, 20), 자서전(에스라와 느헤미야), 꿈과 환상 이야기(창 37:5-10; 40:9-19; 41:1-7; 슥 1-6장), 예언자의 자서전(사 8:1-3; 렘 36;단 1-6장)과 같은 장르를 포함한다. (105.1)
 최근 연구는 복잡한 예술적 기교를 포함하는 문학적 유형으로서의 이야기들에 특별히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부분의 현대 비평적 연구들이 이야기들을 가공적인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사실적 역사로 이야기를 받아들이는 성경 연구자들은 영감을 받은 기자가 요점을 강조하기 위하여 이야기를 전개하는 법에 대해 자세하게 연구함으로 유익을 얻을 수 있다. 이야기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이야기의 기본적인 요소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내포된 저자(혹은 보이지 않는 연설자)와 내포된 독자, 전체적인 관점이나 전망, 사건들의 순서와 그것들의 상관관계(“스토리 타임”), 플롯, 등장인물과 그들의 성격, 배경 및 이야기를 설명할 때 사용된 암시적인 주석이나 수사학적 기교 등을포함한다. (105.2)
 b. 시가
 성경의 시가 부분(구약의 약 40퍼센트와 신약에 흩어진 부분들)은 현대의 많은 성경 번역본의 성경구절 안에 정리되어 있다. 성경의 시는 여기에서 간략하게 주목할 필요가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105.3)
 히브리 시의 주요 특징은 “대구법” 혹은 “사상 운문”(“소리 운문”과 대조됨)이다. 시의 대구법은 전통적으로 세 가지 종류로 나뉜다.

   (a) 동의적 대구법:시에서 이어지는 두 줄이 유사한 사상을 반복한다(시 1:2, 5; 103:10)

   (b) 반의적 대구법:이어지는 시의 둘째 줄이 대조적인 사상을 제시한다(시 1:6; 37:21; 기타 많은 잠언)

   (c) 종합적 대구법:시의 둘째 줄이 완성, 확대 혹은 강화하는 것을 첫 줄에 더한다(시 2:6; 103:11).

 히브리 시의 이 기본적인 측면은 원어에서뿐 아니라 현대의 번역본에도 명백하게 드러나 있다. (105.4)
 히브리 시는 비록 그것이 헬라의 시처럼 엄격하게 정의된 것은 아니지만 박자(“측정된 줄들”)도 갖고 있다. 박자는 강세에 의해서 정의된다. 강세가 있는 히브리어의 각 단어는 한 박자이다. 박자의 형태 중 한가지 특별한 것은 키나“탄식”인데, 세 개의 강세가 있는 줄에 이어서 두 개의 강세가 있는 줄이 나온다(3:2). 기자가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는 고뇌의 탄원이 담긴 많은 “탄식” 시들은 이 “장단”의 박자를 갖고 있다. 탄식하는 사람이 한숨을 쉴 때 내는 “긴 숨 들이마시기와 짧은 숨 내쉬기”에 해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번역할 때는 시의 박자가 잘 드러나지 않지만, 장단의 박자는 때때로 길고 짧은 구절로 번역된다. (105.5)
 기타 많은 문학적 장치들과 문체적 요소들이 성경기자들에 의하여 활용되었는데, 이것은 특별히 성경의 시 부분에서 그러하다. 우리는 수미 상관법 또는 “봉투 구조”(inclusio, 같은 표현이 시작과 끝에 나타나는것), 답관체(acrostic, 알파벳 문자로 절이나 절들의 그룹을 시작하는 것: 시 9, 10, 25, 34, 37, 119, 145편), 직유법(‘-같이’ 혹은 ‘-처럼’을 사용한 비교: 호 7:11), 비유(한 사물이 다른 사물을 대표하는 것:시 23:1; 호 10:1; 요 10:7, 9, 11), 제유법(부분이 전체를 나타내는 것:사 52:1, 2), 의성어(묘사하는 사물이 내는 소리:렘 19:1, 10; 사 17:12, 13; 시 93:4), 유음법(모음 반복:사 5:7), 재담(언어유희:암 8:2, 3;미 1), 의인법(잠 8장) 등을 사용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모든 문학적 요소들은 기별의 틀을 짜고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105.6)
 이 특정한 각각의 문학적 유형은특별한특징을갖고 있고, 그것들은 전달된 기별을 해석하는 일에 때때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학 형식과 신학적 해석은 병행된다. 문학 유형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것은 의도된 신학적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 (1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