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주도 아시거니와 자식들은 연약하고 내게 있는 양 떼와 소가 새끼를 데리고 있은즉 하루만 지나치게 몰면 모든 떼가죽으리니 청하건대 내 주는 종보다 앞서 가소서 나는 앞에 가는 가축과 자식들의 걸음대로 천천히 인도하여 세일로 가서 내 주께 나아가리로다”(창 33:13, 14). (832.1)
 아가서에서 신부는 보호와 공급을 나타내는 “사과 나무” 그늘에 앉아 그 열매를 먹으며 쉴 수 있다고 말한다(아 2:3). “남편들아 아내 사랑하기를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사랑하시고 그 교회를 위하여 자신을 주심 같이 하라”는 바울의 진술은 이런 점에서 궁극적인 신의(信義)를 정의하고 있다. (832.2)
 d. 부모
 자녀 양육이 주로 어머니의 책임이긴 하지만, 성경은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를 강조한다. 바울이 아버지들에게 준 “오직 주의 교훈과 훈계로 양육하라”는 명령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아버지의 책임은 공급자/보호자의 역할 그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 (832.3)
 아들들은 특히 아버지의 사랑과 교제를 필요로 한다. 어머니들이 홀로 아들을 양육할 경우 아들들은비행으로 이어지는 공격적인 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 수감된 미성년자 중 70퍼센트는 아버지 없이 살았던 아이들이었다. E. 코우즈(E, Cose 61)는 아버지 없이 자란 아이들은 학교를 중도에 포기하거나 행동 장애나 정서적인 문제로 고통 받기 쉽다고 설명한다(Louv 54-56). 아버지가 없다는 것은 “우리 세대의 가장 시급한 사회적 문제”이다(Cose 61). (832.4)
 마찬가지로, 아버지의 관심을 받지 못한 딸들은 후에 여러 역기능적 태도 가운데 하나에 빠지게 된다.이런 딸들은 남자들에게 적대적인 감정을 갖거나 남자들을 두려워하거나 남성의 애정에 대해 지나친 불안감을 갖게 된다. (832.5)
 e. 연인이자 친구
 성경은 결혼 관계에서 연인이자 친구로서의 남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다. 구약에는 아내에 대한 남편의 사랑을 언급하는 부분이 많이 나온다. 이삭은 리브가를 “사랑했고” 그녀에게서 위로를 얻었다(창 24:67). 후에 이삭이 블레셋 왕에게 리브가가 자신의 누이라고 말한 후에, 아비멜렉은 이삭이 리브가를 “껴안고” 있는 것을 보고 둘 사이의 실제 관계를 알게 되었다(창 26:8). 엘가나는 아내를 지지하고 사랑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한나에게 “내가 열 아들보다 낫지 않느냐”라고 물었다(삼상 1:8). (832.6)
 아가서의 처녀는 자신의 연인에게서 기쁨을 발견한다. 그녀는 때에 어울리는 표현을 사용하여 그를 “어린 수사슴”(아 2:9)이라 부르며 “희고 붉으며” 그의 머리는 “순금” 같다고 말한다(아 5:10, 11). 또한 그녀는 그를 “백향목처럼 보기 좋은 레바논”에 비유하고 있다(15절). 그녀는 그의 구애에 대해 묘사한다(아 8:3). 그러면서 그녀는 “이는 내 사랑하는 자요 나의 친구로다”라고 단언한다(아 5:16). (832.7)
 마지막으로, 하나님께서는 그분과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묘사하면서 연인이자 친구의 역할을 설명하신다. 선지자 에스겔을 통해 말씀하셨던 이야기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과 언약했고 이스라엘은 그분의 것이 되었다고 단언하신다(겔 16:8). 그분께서는 의복, 보석, 양식을 주셨으며(10-19절), 아들들과 딸들을 낳았다(20절). 그녀가 한 눈을 팔자, 그분께서는 예전으로 돌아가 그분과 세웠던 언약을 기억할 것을 제안하며 구애하신다(60, 62절). 호세아와 고멜의 관계는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구애하기 위해 노력하는 연인과도 같은 하나님과 이스라엘과의 관계이다. (832.8)
 2. 아내이자 어머니
 가족의 행복을 위한 남편과 아버지의 역할의 중요성은 아내와 어머니의 고귀한 역할에 대한 성경의 묘사와 일치한다. 가정에서 이성적인 판단을 하는 수장이 있어야 한다면,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사람도 있어야 한다. 아내이자 어머니의 태도에 대해 잠언보다 더 자세하게 표현한 곳은 없다. “어진 여인은 그 지아비의 면류관이”다(12:4). “아내를 얻는 자는 복을 얻고 야훼께 은총을 받는 자니라”(18:22). “슬기로운 아내는 야훼께로서 말미암느니라”(19:14). “현명한 아내는 진주보다 더 귀하니라”(31:1). “오직 야훼를 경외하는 여자는 칭찬을 받을 것이라”(30절). (832.9)
 a. 출산자이자 양육자
 남편과 아버지의 역할이 아담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에서 더 자세히 나와 있는 것처럼(창 3:17), 아내와 어머니의 역할은 하와의 실수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네가 수고하고 자식을 낳을 것이며”(16절) 하나님께서 여자를 위해 분명하게 계획하신, 자식을 낳는 일은 어려운 일이 되었다. 여성이 아이를 출산하는 행위는 결과적으로 아이를 양육하는 데 유익을 주는 유대(細帶) 역할을 하게 되었다. 성경에는 인내와 사랑으로 자녀를 양육한 실례가 많이 나온다. 사무엘을 지도한 한나(삼상 1:21-28; 2:19, 20), 모세를 훈련시킨 요게벳(출 2:1-10), 소년 예수의 삶에서의 마리아의 역할(눅 2:40, 51, 52)이 그 예에 해당한다. (833.1)
 b. 주부
 현숙한 아내/어머니의 활동에 대한 르무엘 왕의 기사를 보면, 그녀는 집안을 경영하는 지도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런 강조점은 집안을 건강하게 유지시키려는 그녀의 주의와 노력에 나타난다. “밤이 새기 전에 일어나서 자기 집안 사람들에게 음식을 나누어 주며”(잠 31:15). 가사를 계획하기 위해 아침 일찍 일어나서 “여종들에게 일을 정하여 맡긴”다(15절). 투자를 위해 “밭을 살펴보고 사며 자기의 손으로 번 것을 가지고 포도원을 일”군다(16절). “베로 옷을 지어 팔며 띠를 만들어 상인들에게 맡”긴다(24절). 그녀는 가족의 의복을 위해 “손으로 솜뭉치를 들고 손가락으로 가락을 잡”는다(19절). 가정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자기를 위하여 아름다운 이불을 지으며 세마포와 자색 옷을 입으며”(22절), 가족을 위로하기 위해 “자기 집 사람들은 다 홍색 옷을 입었으므로 눈이 와도 그는 자기 집 사람들을 위하여 염려하지 아니하며”(21절), 가족의 사기를 북돋기 위해 “입을 열어 지혜를 베풀며 그의 혀로 인애의 법을 말”한다(26절). 또한 가족을 전반적으로 지휘하고 감독하기 위해 “자기의 집안일을 보살핀”다(27절). (833.2)
 대부분의 현대 가족들은 잠언 31장의 성경적 모본을 따르기가 쉽지 않다. 현대사회의 기술 발전으로산업 사회는 가사의 대변혁을 일으켰을 뿐 아니라 급진적인 물질주의는 사회에서 가정의 위치를 크게 평가 절하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옷을 짜거나 포도원을 일구려는” 소망이나 시간 혹은 그럴 필요가 없는 그리스도인 여성이라도 오늘날 사회에서 이러한 성경적 모델의 정신을 완수해야 한다는 도전을 받고 있다. (833.3)
 c. 동반자
 결혼관계에서 여성은 모든 면에서 동반자이다. 아내는 남편과 더불어 부드러운 친밀감과 우정의 기쁨, 자녀를 양육하고 가정을 지킬 책임을 공유한다. 또한 아내는 의사 결정 및 필요하면 가족의 물질적 필요를 공급하는 일을 공유한다. (833.4)
 가정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동반자 관계는 잠언 31:10-31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 현숙한 여인은 가사를 감독하고 모든 사람들의 필요가 충족되었는지를 살피며, 포도원을 일구고 상품을 팔아 돈을 벌기도 한다. 물론 모방하기는 어렵지만, 특히 현대 사회의 한 부모 가정에서 이러한 이상적인 여성이 필요하다. (8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