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그리스도 중심의 성소론
서문
— 1
성소의 예수를 바라보자!
— 1
머리말
— 1
차례
— 1
머리말
— 1
20세기의 그리스도인과 성소 연구
— 1
제 1 부 진영 가운데 계신 예수님과 함께 (죄의 환경으로부터의 자유)
— 13
죄의 환경으로부터의 자유
— 13
1. 조직화된 이스라엘의 진영 (나의 모든 계획들은 그리스도의 것임)
— 15
성소 계시를 위한 시내산의 극적인 배경
— 15
모세가 성소에 관하여 그리스도의 지시를 받음
— 15
모세가 성막을 세우도록 명령을 받음
— 15
성막은 이스라엘의 일상 생활의 중심이었음
— 15
죄의 환경으로부터 떠나 있음
— 15
열두 지파 성막 주위에 장막을 침
— 15
열두 지파는 나중에 이십사 분파로 조직됨
— 15
규빗의 길이
— 15
이스라엘의 조직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
— 15
진영의 핵심이 되는 성막
— 15
성막의 뜰
— 15
뜰 안으로 들어가는 오직 하나의 입구
— 15
장방형으로 계획된 성막
— 15
뜰에서 성막의 위치
— 15
성막의 구조
— 15
성막의 입구
— 15
성막의 지붕
— 15
성막의 성소와 지성소
— 15
성막은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15
쉐키나가 이스라엘이 장막을 칠 곳을 결정하였다
— 15
2. 성막을 위한 목적 (나의 모든 통찰력은 그리스도의 것임)
— 30
하나님께서 쉐키나를 계시하심
— 30
예수님은 생명에 이르는 참 길이심
— 30
성막은 그리스도에 대한 상징적인 계시임
— 30
참된 성막은 희생을 필요로 함
— 30
시간 속의 성소
— 30
하나님의 참 성전
— 30
에덴의 성소는 홍수 때까지 지상에 남아 있었음
— 30
아브라함은 희생 제도를 이해하였음
— 30
시내산 성소 이전의 예배의 중심
— 30
광야에 있던 성소를 위한 하나님의 목적
— 30
하나님의 명령들은 하나님께서 하실 수 있을 것들이었음
— 30
장인(匠人)들까지도 성령의 영감을 받음
— 30
구원의 일정표
— 30
성막은 이스라엘의 장막 중심에 세워졌음
— 30
가르치는 도구인 성소의 축소판 모형
— 30
법궤는 하나님의 보좌를 상징하였음
— 30
성소는 죄와 그 치유책을 계시함
— 30
성소 연구는 개인적인 명상으로 인도한다
— 30
성소에 계신 하나님의 임재는 그분의 본성에 대한 통찰력을 주었다
— 30
성소 연구는 성화를 돕는다
— 30
성소는 당신의 교회에 대한 하나님의 이상을 나타낸다
— 30
3. 연구 방법 (나의 모든 계몽된 빛은 그리스도의 것임)
— 45
상징들을 어떻게 해야 할까?
— 45
상징학의 연구를 위한 몇 가지 규칙들
— 45
성소를
“측량함”
— 45
이해되어지도록 고안된 성소
— 45
세부 사항들은 시각화되어야 한다
— 45
가브리엘은 선지자 다니엘에게 시간표를 제시한다
— 45
마지막 때의 성소 측량
— 45
윌리암 밀러의 계산
— 45
밀러주의자의 고뇌를 요한이 예기하였음
— 45
밀러주의자들은 하늘 성막을
“척량함”
— 45
밀러주의자들은 예언되었던 바를 경험하였다
— 45
오늘 그리스도인은 성막을
“척량”
해야 한다
— 45
성소에 대한 주제는 중요하다
— 45
구주는 대표적인 어린양이시다
— 45
성령의 인도함을 받는 상상력이 사용되어야 한다
— 45
성경의 사상들은 내면화되어야 한다
— 45
4. 하늘 성소 (나의 모든 실체는 그리스도의 것임)
— 55
하나님께서 하늘에서 통치하신다
— 55
하나님의 처소는 하늘 성소이다
— 55
“거룩하다”
는 히브리어의 의미
— 55
하늘 성소는 경배의 중심이다
— 55
하늘 성소는 하나님의 심판의 중심이다
— 55
하늘 성소의 표상인 지상 성소
— 55
그리스도께서 하늘 성소에서 봉사하신다
— 55
5. 절반(BEQ’A)의 기초 (나의 모든 몸값은 그리스도의 것임)
— 62
베카
를 위한 은은 선물이었다
— 62
다윗은
베카
를 징수하지 않고 이스라엘을 계수하였는가?
— 62
모리아산의 구속
— 62
베카
는 구속받은 자를 대표한다.
— 62
베카
는 기념물이었다
— 62
베카
는 속전이었다
— 62
레위인들이 장자를 대신하였다
— 62
예수께서는 한 세겔로 두
베카
즉 이중 속전을 지불하셨다
— 62
제 2 부 성막 뜰에서 예수님과 함께 (죄책으로부터의 자유)
— 69
죄책으로부터의 자유
— 69
6. 세 입구 휘장 (나의 모든 길은 그리스도의 것임)
— 71
하나님 임재로 들어오라는 초청
— 71
예수님의 인성의 표상
— 71
휘장들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재료
— 71
하나님은 아름다움을 사랑하신다
— 71
성소에 나타난 미는 경배에 도움이 된다
— 71
성소는 나타내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 71
색깔의 역할
— 71
흰 색깔의 상징적인 의미
— 71
은(銀)의 의미
— 71
청색의 역할
— 71
홍색의 의미
— 71
봉사와 희생의 색, 자색
— 71
황금의 섬광
— 71
금실을 만드는 방법
— 71
녹색의 이중 가계(二重家系)
— 71
밤의 색
— 71
요점을 다시 말해 보자
— 71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 71
성막의 무늬 놓은 두꺼운 천
— 71
못에 매달린 휘장들
— 71
휘장에 뿌려진 피
— 71
해마다 새것으로 교체된 맨 안쪽의 휘장
— 71
요약해 보자
— 71
휘장들의 종말 시대적 의미
— 71
7. 번제단 (나의 모든 고난은 그리스도의 것임)
— 89
제단 뿔
— 89
제단을 두른 높은 단
— 89
제단의 경사로
— 89
고대의 제단들
— 89
시내산의 제단
— 89
고대의
“산당”
— 89
번제단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나무
— 89
제단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한 놋
— 89
제단의 뿔
— 89
제단 뿔에 붙들여 매인 제물
— 89
제단은 성소 뜰 의식들의 중심이었다
— 89
제단을 조명하는 이름들
— 89
제단에 사용된 기구들과 도구들
— 89
제단에서 나온 재
— 89
제단에 사용된 연료
— 89
제단 위의 불
— 89
다른 불을 제단에 결코 사용해서는 안 되었다
— 89
제단과 관련된 희생 봉사
— 89
십자가를 표상한 제단 위의 피
— 89
8. 물두멍과 그 받침 (나의 모든 더러움은 그리스도의 것임)
— 104
정결과 희생의 상징
— 104
물두멍과 그 받침
— 104
놋 거울로 만든 물두멍
— 104
거울은 하나님의 율법의 상징이다
— 104
침을 당한 반석에서 나온 깨끗한 물
— 104
물두멍의 이중(二重)봉사
— 104
하나님은 완전한 정결을 요구하신다
— 104
물과 피의 두 물줄기
— 104
새 언약의 물두멍 봉사
— 104
물두멍은 피와 물로써 성별되었다
— 104
그리스도인의 침례를 표상하는 물두멍
— 104
물두멍 정결은 계속해서 반복되어야 한다
— 104
물두멍에서 씻은 손발
— 104
제사장의 성별에 물두멍의 물이 필요되었다
— 104
장막절 동안의 물 의식들
— 104
물두멍의 물은 세족 예식을 예시(示)했다
— 104
물두멍과 유리바다
— 104
9. 죄를 씻는 샘 (나의 모든 삯은 그리스도의 것임)
— 114
흘려진 피
— 114
예수님의 피는 인류의 피이다
— 114
피는 웅변적이다
— 114
흘려지거나 쏟아진 피
— 114
뿌려지거나 적용된 피
— 114
승리를 거둔 피
— 114
여러 종류의 대리 희생 제물들
— 114
유효하게 하는 피가 봉사할 예수님의 권리를 굳게 해준다
— 114
인정된 피와 기쁨이 성소 봉사를 효력 있게 한다
— 114
피는 품성의 옷을 성별한다
— 114
무적의 피
— 114
그분의 피는 그리스도의 완전한 생애를 나타낸다
— 114
피로써 기록된 죄들이 피로써 정결해진다
— 114
피는 생명이다
— 114
정결케 하고 중보하는 피
— 114
10. 매일의 봉사 (나의 모든 필요는 그리스도의 것임)
— 124
중단 없는 성소의 활동
— 124
매일 봉사에 대한 두 부분
— 124
뜰에서 행해진 매일의 봉사
— 124
뜰에서의 다른 활동들
— 124
성소에서 행해진 봉사
— 124
매일의 봉사는 그리스도의 봉사를 예언했다
— 124
모든 의식은 복음을 예증했다
— 124
긴 날이 마친다
— 124
제 3 부 성소에서 예수님과 함께 (죄의 세력으로부터의 해방)
— 133
죄의 세력으로부터의 해방
— 133
11. 일곱 가지의 등대 (나의 모든 빛은 그리스도외 것임)
— 137
일곱 가지 촛대는 금으로 만들어졌다
— 137
망치와 불로 골 지워졌다
— 137
브사렐의 한 달란트
— 137
일곱 개의 등불
— 137
하나님의 신비한 계획이 이루어졌다
— 137
살구는 부활의 상징이다
— 137
부활이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을 유효하게 했다
— 137
모든 사람은 빛을 전하는 데 도움이 된다
— 137
기름은 성령을 나타낸다
— 137
기름은 고통중에 태어난다
— 137
의의 심지
— 137
하늘의 불
— 137
봉사의 기구들
— 137
심지는 재가 될 때 그의 봉사를 그쳤다
— 137
촛대는 빛을 비출 수 없다
— 137
빛은 모든 거룩한 것들 위에 흐른다
— 137
빛을 꺼버림
— 137
빛을 내게 하는 데 쓰이는 보조 기구들
— 137
12. 진설병의 상 (나의 모든 자양분은 그리스도의 것임)
— 150
하나님의 언약의 식물이 성소에서 표상되었다
— 150
상은 그리스도의 보좌를 상징한다
— 150
상은 왕의 선택대로 어디든지 이동되었다
— 150
떡은 상 위에 진설되었다
— 150
떡은 땅에서 나는 곡식으로 만들어진다
— 150
으깨어진 밀
— 150
감람유가 첨가되었다
— 150
소금이 맛을 냈다
— 150
밀가루는 반죽되었다
— 150
떡은 먹혀야 한다
— 150
찔림받은 떡
— 150
진설병은 금요일 오후에 준비되었다
— 150
제사장들이 진설병을 먹었다
— 150
새 언약의 포도즙
— 150
주님의 식탁으로 초청받은 그리스도인들
— 150
요점을 되풀이해서 강조해 보자
— 150
13. 분향단 (나의 모든 호흡은 그리스도의 것임)
— 161
나무와 금이 중보의 단에 섞인다
— 161
뿔은 우리의 중보자의 능력을 나타낸다
— 161
기도의 금단은 가장 필요한 곳으로 이동된다
— 161
기도는 성도를 하늘과 접촉하게 한다
— 161
금단 위의 불은 계속해서 붙어 있게 해야 한다
— 161
십자가는 중보의 기초가 된다.
— 161
제사장들만이 금단에서 중보했다
— 161
불, 향로, 향
— 161
분향의 의미
— 161
향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재료들
— 161
요약해 보자
— 161
공이는 회반죽 중에 있는 재료들을 찧는다
— 161
향은 세속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었다
— 161
기도는 영혼의 호흡이다
— 161
성소에서 타오르는 향은 기도하라고 우리에게 호소한다
— 161
제 4 부 예수님과 함께 지성소에서 (죄의 존재로부터의 자유)
— 175
죄의 존재부터의 자유
— 175
14. 언약궤 (나의 모든 소망은 그리스도의 것임)
— 177
궤를 명명함
— 177
성소 의식의 핵심인 법궤
— 177
궤의 원어상 의미
— 177
중심이 같은 세 상자들로 구성된 지성소의 궤
— 177
하나님의 보좌의 상징인 궤
— 177
궤 안에 놓아 두었던 세 가지 물품
— 177
믿음의 눈으로만 볼 수 있었던 궤
— 177
속죄소
— 177
궤 위에 뿌려진 피
— 177
움직이는 구름과 불에 의하여 인도된 궤
— 177
덮어져 있는 모습만 볼 수 있었던 궤
— 177
요단강 도강 시의 궤
— 177
언약궤와 여리고 성벽
— 177
세겜에서의 궤
— 177
블레셋 사람들에게 빼앗긴 궤
— 177
블레셋 사람들을 패퇴시킨 궤
— 177
궤와 사울왕
— 177
궤와 웃사
— 177
성전으로 옮겨진 궤
— 177
궤 안에 있었던 십계명
— 177
하늘에 있는 궤
— 177
속죄소
— 177
15. 영광의 그룹들 (내가 겪는 모든 도전은 그리스도의 것임)
— 192
존재의 본질을 드러내는 그룹
— 192
존재의 기능을 나타내는 스랍
— 192
하나님께서 루스벨의 자리를 가브리엘로 대치하심
— 192
에덴동산의 문에 배치된 그룹들
— 192
이 땅에 모습을 나타낸 쉐키나
— 192
그룹들에 관한 이방 사람들의 사실 왜곡
— 192
화염검
— 192
성막을 건설하라고 명령을 받은 모세
— 192
하나님의 영광을 지키는 자이었던 그룹들
— 192
솔로몬의 거대한 두 목재 그룹들
— 192
네 생물
— 192
그룹들의 송아지 발바닥
— 192
그룹들의 여섯 날개
— 192
그룹마다 네 얼굴을 가졌음
— 192
네 얼굴들로 묘사된 예수님
— 192
루스벨이 하나님에 대하여 제기한 고소들
— 192
심판에 도움을 주는 그룹들
— 192
희랍어 원문에 관한 한 연구
— 192
궁극적인 그룹이 될 수 없었던 가브리엘
— 192
그들은 홍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
— 192
16. 여호와의 법들 (나의 모든 이상(理想)은 그리스도의 것임)
— 207
율법의 필요를 초월하는 온전한 사랑
— 207
혹성 지구에 발생한 첫번째 율법 위반 행위
— 207
I. 도덕법
— 207
사랑의 법에 관한 지식을 드러내신 하나님
— 207
하나님께서 추가로 주신 원칙들
— 207
II. 이스라엘의 국법
— 207
지방 백성들의 매일의 삶의 지침이 된 국법
— 207
III. 의식법
— 207
이중적인 법률 제도
— 207
의식법
— 207
IV. 자연 법칙
— 207
하나님의 법인 건강 법칙
— 207
과학이 레위기의 건강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여 줌
— 207
17. 사랑의 법칙 (나의 모든 애정은 그리스도의 것임)
— 217
하나님과의 사랑의 관계
— 217
사랑을 뜻하는 희랍어 세 단어
— 217
법이 정의하는 관계
— 217
관계 가운데에서만 존재하는 사랑
— 217
복음을 드러내는 법
— 217
법을 통하여 하나님과 교제하는 피조물
— 217
하나님의 품성의 사본인 십계명
— 217
I.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
— 217
II.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라”
— 217
III.
“너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 217
IV.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록히 지키라”
— 217
후반부 여섯 계명을 순종하는 것은 우리의 동료들을 사랑하는 것임
— 217
V.
“네 부모를 공경하라”
— 217
VI.
“살인하지 말지니라”
— 217
VII.
“간음하지 말지니라”
— 217
VIII.
“도적질하지 말라”
— 217
IX.
“거짓 증거하지 말지니라”
— 217
X.
“탐내지 말지니라”
— 217
인간이 맺을 수 있는 모든 관계를 다루는 십계명
— 217
18. 아론의 싹난 지팡이 (나의 새로운 삶은 모두 그리스도의 것임)
— 229
여러 불평 분자들의 단합
— 229
성소 봉사의 기초인 성품
— 229
애굽에서의 모세의 지팡이
— 229
다시 살아난 아론의 지팡이
— 229
“소생한”
살구나무 지팡이
— 229
삼단계 성장을 나타내는 아론의 소생한 지팡이
— 229
영생은 영원한 빛만이 주실 수 있음
— 229
사막에서 자라났던 지팡이
— 229
아론의 지팡이가 된 모세의 지팡이
— 229
하나님의 능력의 항구적인 기념물인 아론의 지팡이
— 229
바위를 친 지팡이
— 229
측정의 표준인 지팡이
— 229
지팡이와 생명나무
— 229
19. 감추어진 만나 (나의 모든 양식은 그리스도의 것임)
— 238
하늘에서 내려온 만나
— 238
이 땅에 내린 만나
— 238
이른 아침에 거두어야 했던 만나
— 238
예수의 상징인 만나
— 238
하나님의 백성의 진영에만 떨어진 만나
— 238
거두지 않은 만나는 오전에 사라져 버림
— 238
성령의 한 상징인 만나
— 238
안식일 준수 교훈을 가르치는 만나
— 238
인간의 성질을 변화시켜 주는 만나
— 238
20. 쉐키나 (나의 모든 영광은 그리스도의 것임)
— 247
탈무드에 기록된 쉐키나 관련 문구
— 247
쉐키나의 날개
— 247
예수에게서 보여진 쉐키나
— 247
쉐키나 장막
— 247
쉐키나가 상징한 예수
— 247
영광과 동의어인 쉐키나
— 247
하나님의 품성이나 영광을 드러내야 할 이스라엘
— 247
자아희생적 사랑에 드러난 쉐키나—영광
— 247
몹시 슬퍼하여 떠날 수 있는 쉐키나
— 247
오늘날에도 그 영광은 나타나는가?
— 247
제 5 부 내 제사장이신 예수님과 함께 (죄와의 교제 관계로부터의 해방)
— 257
성소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검토
— 257
개인적인 인도와 도움이 필요함
— 257
21. 제사장 직분에로 부르심 (나의 모든 반차는 그리스도의 것임)
— 260
하나님이 제사장들을 위하여 세우신 계획
— 260
모델 제사장 멜기세덱
— 260
레위인을 부르심
— 260
아론의 개심과 봉사에로 부르심
— 260
제사장 직분의 선행 조건
— 260
도피성들과 제사장들
— 260
제사장들의 보수
— 260
제사장의 의무
— 260
교육자이었던 제사장
— 260
대제사장
— 260
22. 아론의 위임식 (나의 모든 활력은 그리스도의 것임)
— 268
제사장 위임식에 필요한 소품
— 268
I. 제사장에 기름을 부음
— 268
여호와께서 취임식 시간을 정하심
— 268
그리스도께서 대제사장으로 취임하심
— 268
관유
— 268
성령을 상징한 향기름
— 268
향기들의 혼합물
— 268
성령의 기름
— 268
관유의 사용
— 268
성막에 기름을 부음
— 268
제사장에 기름 부음
— 268
제사장될 사람은 자아를 제거하여야함
— 268
철저히 씻어야 했던 제사장 후보자
— 268
23. 제사장의 의복 (나의 모든 의는 그리스도의 것임)
— 278
사용된 재료
— 278
품성의 상징인 옷
— 278
마음속에서 솟아나야만 하는 의
— 278
사랑의 띠
— 278
그리스도의 품성을 나타내는 제사장 의복
— 278
품성을 상징하는 네 벌의 흰 옷
— 278
대제사장의 복장에 추가된 다섯 가지 품목
— 278
청색 예복
— 278
순종의 결과인 행실
— 278
금으로 만들어진 추가 달려있는 금방울
— 278
봉사의 앞치마
— 278
돌 위에 새겨진 이름
— 278
24. 판결 흉패 (나의 모든 안전은 그리스도의 것임)
— 287
대제사장이 측정한 치수
— 287
대제사장의 가슴에 부착되었던 흉패
— 287
열 두 보석돌의 기초
— 287
품성 발달에 적합한 환경을 택하시는 하나님
— 287
우리로 명상에 잠기도록 하는 색깔들
— 287
귀중한 보석들이 형성되는 과정
— 287
깎여지고 연마되어야 하는 보석
— 287
보석의 기초석 위에서 개발되는 품성
— 287
반드시 빛을 내야 하는 보석
— 287
하나님께서 각 지파를 위하여 유일한 기초석을 선택하심
— 287
우림과 둠밈을 통한 인도와 심판
— 287
우림과 둠밈의 의미
— 287
신성한 문자이신 예수
— 287
다이아몬드라고 추정되는 우림과 둠밈
— 287
구름과 불로 자기 백성들을 인도하신 하나님
— 287
하나님께서 인도하신 실례들
— 287
금으로 두른 세마포 두건
— 287
왕관을 쓴 대제사장
— 287
대제사장 복장의 총체적인 의미
— 287
25. 보석의 기초들 (나의 모든 성장은 그리스도의 것임)
— 302
자신의 백성들이 거주할 곳을 정확하게 선택하시는 여호와
— 302
중요한 의미가 있는 열 둘이라고 하는 숫자
— 302
인류의 대표자들인 열 두 지파
— 302
야곱의 유전과 가족
— 302
보석들과 지파들의 신원 확인
— 302
1. 홍보석(Carnelian), 홍옥수(Sard)
— 302
II. 감람석(橄欖石, Peridot), 황옥(黃玉, Topaz)
— 302
III. 녹주옥(綠珠玉, Emerald), Smaragd
— 302
IV. 홍옥(紅玉, Ruby)
— 302
V. 남보석 혹은 청옥(靑玉, Sapphire)
— 302
VI. 홍마노(紅瑪瑙, Sardonyx)
— 302
VII. 호박(琥珀, Zircon)
— 302
VIII. 백마노(白瑪瑙, Agate)
— 302
IX. 자수정(紫水晶, Amethyst)
— 302
X. 녹보석(綠寶石)혹은 황옥(黃玉), Topaz
— 302
XI. 호마노(縞瑪瑙, Onyx)
— 302
XII. 녹벽옥(綠碧玉)혹은 벽옥(Green Jasper or Jasper)
— 302
26· 제사장의 기름부음 (나의 모든 힘은 그리스도의 것임)
— 330
제사장과 왕으로서 기름부음을 받은 예수
— 330
아론의 아들들을 성별함
— 330
이 향료들의 의미
— 330
죽음을 통한 헌신
— 330
피로 위임한 제사장 직분
— 330
피로써 하늘 성소를 봉헌
— 330
“왕같은 제사장들”
이 필요로 하는 거룩하게 구별하는 피
— 330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
— 330
“제단의 음식”
— 330
제사장의 손이 채워졌음
— 330
7일간 행한 성별 의식
— 330
제사장의 축도
— 330
쉐키나가 나타남
— 330
27. 열 두 지파 봉헌식 (나의 모든 목적은 그리스도의 것임)
— 341
제사장이 하늘 성전에서 행하는 기능
— 341
사후 약방문격이 아닌 구원의 경륜
— 341
제사장과 대제사장의 기능들
— 341
제 6 부 예수님과 함께 같바리에서 (죄의 속박으로부터의 자유)
— 351
그리스도의 희생을 분명하게 밝혀 주는 제물들의 미묘한 차이점들
— 351
죄인의 할 일을 보여 주는 예식
— 351
희생 제사의 많은 면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물들
— 351
궁극적인 제사장인 그리스도
— 351
이러저러한 면으로 그리스도를 묘사하는 모든 희생 제사
— 351
정결케 하는 요소들
— 351
피
— 351
물
— 351
불
— 351
중요한 상징들인 피와 물과 불
— 351
28. 온전한 번제 (나의 모든 존재는 그리스도의 것임)
— 359
여섯 종류의 제물
— 359
제물의 특성은 예수의 특성들임
— 359
본래드렸던 희생이었던 번제
— 359
성령께서 제사에서 행하는 역할
— 359
번제를 드린 이유
— 359
제사에서 죄인이 담당하는 부분
— 359
번제로 드린 제사장의 것과 새들
— 359
제물의 가죽
— 359
희생의 일부분을 씻음
— 359
뿌려야만 하는 피
— 359
소금이 모든 제물에 첨가되야 함
— 359
하나님께 바쳐야 하였던 제물의 모든 부분
— 359
제단에서 사용된 불
— 359
희생의 연기
— 359
이삭을 제물로 드림
— 359
29. 소제와 전제 (나의 모든 소유는 그리스도의 것임)
— 372
떡이 만들어지는
“혹독한”
과정
— 372
감람나무 열매를 짓이겨 기름을 짜냄
— 372
모든 소제에 필요되었던 소금과 유향
— 372
소제에 금하여진 누룩
— 372
소제를 준비하는 방법들
— 372
떡을 만드는 데 있어서의 불의 역할
— 372
“가장 거룩한”
소제
— 372
모든 소제의 근간인 피 - 희생
— 372
수단의 헌신을 알리는 소제
— 372
전제
— 372
전제이었던 포도즙
— 372
결코 마시지 않았던 전제물
— 372
발효되지 않은 전제물
— 372
전제의 의미
— 372
생명을 바치는 것을 뜻한 전제
— 372
하나님의 전제
— 372
30. 화목제 (나의 모든 기쁨은 그리스도의 것임)
— 382
언약의 식사인 화목제
— 382
모든 기쁨의 근거인 살육된 희생 제물
— 382
정결한 동물은 어떤 것이든지 드릴 수 있음
— 382
제단에서 태운 여호와의 몫
— 382
제물드리는 자로부터 자신의 몫을 받는 제사장
— 382
소제와 전제를 요구하는 화목제
— 382
하나님이 보시기에
“정결하”
여야 했던 참가자들
— 382
찬양을 표현한 화목제
— 382
감사를 표현한 화목제
— 382
역사상 화목제를 드렸던 경우
— 382
서약과 연관된 화목제
— 382
언약을 비준한 화목제
— 382
우리의 화목제인 그리스도
— 382
31. 속죄제 (나의 모든 죄는 그리스도의 것임)
— 391
하나님께서 시내산에서 이스라엘을 교육시킴
— 391
죄와 속죄제를 표현하는 한 용어
— 391
자기 자신의 제물을 가져온 참회자
— 391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속죄제
— 391
그리스도를 대표하였던 제사장
— 391
피는 용서받은 죄를 기록함
— 391
죄된 행위의 기록들에 의하여 오염된 성소
— 391
이 짐승들의 몸들
— 391
속죄제물의 먹는 부분
— 391
휘장에 뿌려진 피
— 391
그리스도의 피를 상장하는 희생의 피
— 391
두 종류의 속죄제
— 391
외국인
“족장들”
— 391
“평민”
은 히브리인이 아니었음
— 391
고의로 지은 죄
— 391
고의적인 죄가 될 수 있었던 범죄
— 391
적절한 배상이 필요됨
— 391
오늘날 짓는 범과
— 391
속건제를 바쳐야만 하는 그리스도인
— 391
오직 용서받은 죄만이 성소에 기록되어 있음
— 391
제 7 부 삶의 순환 속의 그리스도 (죄의 결과(assignations)로부터의 자유)
— 405
월례 휴일
— 405
연례 축제 싸이클
— 405
이스라엘의 순례 절기의 성격
— 405
안식년들
— 405
32. 월삭과 나팔들 (나의 모든 시간은 그리스도의 것임)
— 411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시간을 주관하고자 하심
— 411
월삭은 창조주께 경의를 표하기 위해 지켜짐
— 411
제사장들이 절기를 선포함
— 411
나팔절 - 특별한 월삭
— 411
모든 절기들이 원작에 의존함
— 411
경배를 통한 경축
— 411
여인들을 위한 축제
— 411
축제들은 즐거운 추억이 됨
— 411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이 월삭에 있었음
— 411
이 월삭은 마지막 때를 내다봄
— 411
이 절기는 심판을 위해 준비함
— 411
내세에서도 경축될 월삭
— 411
33. 유월절과 무교절 (나의 모든 보호는 그리스도의 것임)
— 420
여호와께서 유월절 양을 잡도록 명하심
— 420
첫 유월절
— 420
유월절은 다음달에 경축될 수도 있었음
— 420
유월절 양은 니산월 10일에 선택됨
— 420
그리스도께서는 10일에 정죄당하심
— 420
예수를 정죄한 것이 이스라엘의 운명을 결정함
— 420
“저녁들 사이에”
잡음
— 420
모든 누룩이 이스라엘 가정에서 제거됨
— 420
바리새인들의 누룩
— 420
사두개인들의 누룩
— 420
헤롯의 누룩
— 420
유월절 양을 나흘 동안 공중에게 보임
— 420
누룩 없는 떡만 먹을 수 있었음
— 420
피를 뿌림
— 420
뼈를 부러뜨리지 말아야 했음
— 420
발효되지 않은 포도주가 필요했음
— 420
쓴 나물을 먹음
— 420
팔레스틴에서는 유월절을
“휴식”
상태에서 먹음
— 420
보리 단을 흔듦
— 420
요제는 제3일에 드림
— 420
역사적으로 중요했던 유월절들
— 420
성만찬이 유월절을 대신함
— 420
34. 오순절 (나의 모든 선물은 그리스도의 것임)
— 433
홍해는 침례탕이었음
— 433
3대 순례 절기들은 추수 축제들이었음
— 433
순례 절기들은 서로 가까이 연결됨
— 433
추수하기 위해서는 씨를 뿌려야 함
— 433
그리스도의 생애가 구속의 일정표를 따름
— 433
부활과 관련된 오순절
— 433
오순절은 그리스도의 하늘 봉사에 의거함
— 433
구약의 교회는 오순절에 교육받음
— 433
오순절 경축일임
— 433
엘리야의 영감(spirit)의 두 배
— 433
희생에 기초한 오순절
— 433
오순절은 기쁨으로 기다려야 함
— 433
오순절 전에 침례가 있었음
— 433
오순절은 중보자를 필요로 함
— 433
신약 시대의 성령의 부어 주심은 부분적이었음
— 433
마지막 시대의 성령의 부어 주심에 제한이 없음
— 433
오순절의 축복을 위해서는 연합이 필요함
— 433
오순절
— 433
하나님의 올법은 성령의 오순절 직임의 일부임
— 433
오순절로 교회가 능력을 갖게 됨
— 433
35. 장막절 축제 (나의 모든 쉼은 그리스도의 것임)
— 444
초막들을 성막 주변에 만듦
— 444
기쁜 추억의 시간
— 444
이 순례 축제의 시기가 중요했음
— 444
이 절기의 역사적 관련
— 444
율법을 낭독함
— 444
많은 희생을 드린 것이 이 절기의 특징이었음
— 444
모든 희생들은 갈바리에 흡수됨
— 444
물 예식
— 444
그리스도는 생수이심
— 444
은혜의 강에서 기쁨이 솟아오름
— 444
빛의 축제
— 444
온 세상에 비추기 위한 빛
— 444
부활의 빛
— 444
장막절은 영원한 성(city)을 가리킴
— 444
우리 아버지 집에서의 장막절
— 444
36. 안식년과 희년 (나의 모든 해방은 그리스도의 것임)
— 453
안식년
— 453
안식년의 규정
— 453
여호와께서 모든 것의 주인이심
— 453
이스라엘이 농업으로 하나님의 선하심을 증거함
— 453
주님께서는 결코 불가능을 요구하지 않으심
— 453
하나님은 사람을 편에하지 않으심
— 453
규정들은 가르치기 위한 방책이었음
— 453
종의 귀를 뚫음
— 453
사색의 시간
— 453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분의 청지기들임
— 453
하나님의 백성들이 번영을 통해 중거함
— 453
희년
— 453
희년의 서곡
— 453
희년의 시기
— 453
희년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
— 453
예수께서는 해방과 구속을 전하심
— 453
마지막 희년
— 453
제 8부 거룩한 삶에 예수님과 함께 (모든 충만함 안의 자유)
— 465
죄의 허물
— 465
죄의 부정함
— 465
접촉으로 인한 죄의 오염
— 465
하나님께서 이 세 가지 부류의 오염을 제거할 해독제를 마련하셨음
— 465
37. 참새 두 마리 (나의 모든 치료는 그리스도의 것임)
— 468
문둥병
— 468
문둥병은 상징으로 사용됨
— 468
문둥병은 때때로 하나님께서 걸리게 하셨음
— 468
문둥병은 인간의 본성을 묘사함
— 468
몸에 생긴 문둥병
— 468
의복에 생긴 문둥병
— 468
집에 생긴 문둥병
— 468
문둥병은 정결케 될 수 있음
— 468
정결 예식에서의 제사장의 역할
— 468
참새 두 마리는 독특한 학생임
— 468
백향목 가지
— 468
붉은 실
— 468
우슬초 한 묶음
— 468
질그릇
— 468
감람유와 네 가지 제물
— 468
생수(living water)
— 468
끔찍한 삶
— 468
핏물에서의 침례
— 468
많은 피뿌림
— 468
피로 기름부음
— 468
기름부음
— 468
38. 붉은 암송아지 (나의 모든 첩촉은 그리스도의 것임)
— 480
첫번째 붉은 암송아지가 죽임을 당함
— 480
암송아지는 반드시 붉어야 함
— 480
암송아지는 완전하여야 함
— 480
암송아지는 반드시 풀어 놓아야 하고 멍에를 메지 않아야 함
— 480
소는 이스라엘 진영의 밖에서 죽임을 당하였음
— 480
대속은 충분하고 완전함
— 480
희생은 하늘에 기록됨
— 480
재가 준비됨
— 480
붉은 암송아지 의식의 의미는 아직도 적용됨
— 480
접촉에 의한 오염
— 480
나쁜 감화의 힘
— 480
성령께서 영혼을 정결케 하기 위해 일하시는 방법
— 480
“정결”
한 사람은 누구나 하늘의 치료제를 적용할 수 있다
— 480
어떻게 붉은 암송아지의 재가 적용되었는가?
— 480
붉은 암송아지는 그리스도의 예표임
— 480
어떻게 이 의식이 영적 이스라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가?
— 480
39. 두 염소 (나의 모든 속죄는 그리스도의 것임)
— 491
매일 봉사의 목적
— 491
나팔이 이스라엘에게 예비하라고 외친다
— 491
대속죄일은 마지막 날 사건들의 표상이었음
— 491
대제사장은
“그 날”
을 위해 자신을 준비시켰음
— 491
대속죄일의 의식
— 491
대제사장 자신을 위한 의식
— 491
대제사장의 탈의(衣)는 그리스도의 케노시스(Kenosis)를 가리킨다
— 491
대제사장의 개인적인 제물들
— 491
수송아지는 그리스도를 상징하였음
— 491
대제사장의 두번째 지성소 입장
— 491
그리스도께서 하늘 지성소에 들어가심
— 491
그리스도는 승인된 대제사장이 되심
— 491
대속죄일은 갈바리에서 거행되지 않았음
— 491
그리스도의 승천은 그분의 봉사를 위해 기초를 놓은 것임
— 491
염소의 피를 사용함
— 491
성소 정결이 이루어짐
— 491
그리스도의 피는 우리의 고백된 죄들을 완전히 덮어준다
— 491
대속죄일의 의미
— 491
메시야의 봉사에 대한 행동화된 비유들
— 491
백성들은 정결케 되었다고 선언된다
— 491
아사셀을 위한 염소
— 491
여호와의 심판은 변함없이 조사적성격이 있다
— 491
“무저갱”
으로 추방됨
— 491
인치는 일은 심판의 한 부분임
— 491
대속죄일 기간 중의 백성의 자세
— 491
광야의 아사셀
— 491
아사셀을 위한 염소는 어떤 속죄도 이루어 않음
— 491
악인들이
“끊쳐짐”
— 491
아사셀의 추방은 그 의식에서 극적인 위치를 차지함
— 491
지성소에서 향로를 옮김
— 491
맨안쪽 휘장이 제거됨
— 491
어린양이요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의 혼인 잔치
— 491
제 9 부 대심판에서 예수님과 함께 (죄의 낙인으로부터의 자유)
— 511
40. 심판의 표본들 (나의 모든 운명은 그리스도의 것임)
— 513
I. 성소시대 이전의 심판
— 513
에덴에서의 심판
— 513
가인과 아벨에 대한 심판
— 513
노아와 세상 사람들의 심판
— 513
바벨탑 건축자들에 대한 심판
— 513
소돔과 고모라에 대한 심판
— 513
애굽에 대한 심판
— 513
금송아지로 인한 이스라엘의 심판
— 513
II. 대제사장의 판결 흉패에 의한 심판
— 513
아간에 대한 심판
— 513
사울을 왕으로 추대하는 판결
— 513
요나단에 대한 심판
— 513
다윗에 대한 심판
— 513
III. 성소에서의 심판
— 513
1. 죄인의 정체
— 513
나답과 아비후
— 513
고라 다단 아비람, 250인의 족장
— 513
불평하는 백성들
— 513
미리암의 불평과 비방
— 513
가나안에 들어가기를 거절한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
— 513
모세에 대한 심판
— 513
2. 성도들에 대한 확증
— 513
70장로들을 세우려는 결정
— 513
확증된 아론의 대제사장직
— 513
IV. 미래에 있을 심판
— 513
41. 그리스도의 봉사의 종결 (이 모든 것을 하시는 그리스도)
— 525
위로부터 이르러 온 법
— 525
성소가 마련한 대비책들
— 525
하늘 성소의 정결
— 525
하나님의 심판의 성격
— 525
우리가 하나님의 가족에 속해 있는가?
— 525
마지막 심판을 위한 준비
— 525
은혜의 시기의 끝
— 525
악인에 대한 의인들의 천년기 심판
— 525
참고 연구 강목
— 535
“모든 것 되시는 그리스도”
— 535
지상 모형의 연구를 통한 하늘 성소의 의미에 대한 연구 강목
— 535
연구 강목은 다음의 일곱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진다.
— 535
I. 하나님의 백성들의 예배의 조직
— 535
II. 성소의 배치
— 535
III. 제사장직
— 535
IV. 성소 봉사
— 535
V. 구원의 달력
— 535
VI. 모든 죄와 죄과로부터의 오염과 정결
— 535
VII. 하늘 성소
— 535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