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중심의 성소론 참고 연구 강목
 “모든 것 되시는 그리스도”
 지상 모형의 연구를 통한 하늘 성소의 의미에 대한 연구 강목
 이 곳의 개념들은 모세가 기록한 출애굽기와 레위기의 후반부 그리고 민수기에 나타나 있는 사실들을 근거로 한 것이다. 이스라엘의 경험들과 성막과 그 기구들, 그것의 봉사, 제사장직, 여러 절기들에 대하여 주어진 세목들은 여호와의 명령에 의하여 세워져 그분의 지시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구원의 계획에 대한 하나님의 계시의 토대가 되었다. 이 모든 것은 히브리 국가를 애굽의 속박으로부터 구속하는 것에서 시작했으며, 성경 전체를 통하여 이러한 사건들은 하나님께서 죄인들을 사단의 노예 상태에서 구원하시는 방법에 대한 실증적인 비유로써 간주되고 있다. (536.1)
 연구 강목은 다음의 일곱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진다.
 I. 하나님의 백성들의 예배의 조직

 II. 성소의 배치

 III. 제사장직

 IV. 성소의 여러 봉사

 V. 구원의 달력

 VI. 오염과 정결

 VII. 하늘 성소


 이제 이 주제들을 세부 강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자.

 (536.2)
 I. 하나님의 백성들의 예배의 조직
  A. 애굽에서의 이스라엘의 부르심과 구속, 그리고 하나님에 의한 사내 산에서의 은혜의 언약을 통한 거룩한 백성으로서의 조직

  B. 이스라엘 진영 한가운데 구별된 거룩한 구역

     1. 열두 지파의 정렬에 의한 구별

     2. 레위인과 제사장들의 위치에 의한 구별

     3. 쉐키나의 위치에 의한 구별

  C. 거룩한 구역의 중심부 성막뜰

     1. 중심되는 위치

     2. 육십 개의 청동 기둥

     3. 얇은 천의 휘장 벽

     4. 분리된 두 정방형 공간

     5. 세 기물들

  D. 성막뜰에 자리잡은 지극히 거룩한 성소

     1. 두 정방형 공간

     2. 사십 여덟 개의 널판지 건물

     3. 네 개의 덮개

     4. 두 칸(two apartment)

     5. 네 기물들

 (536.3)
 이제 우리는 성소를 걸어 들어가 여러 성소의 세부 사항들을 주시하게 된다.

 (537.1)
 II. 성소의 배치
   A. 회막 뜰

      1. 휘장—유일한 통로인 그리스도의 인성

         a. 재료

         b. 직공

         c. 위치

      2. 청동 제단

         a. 위치

         b. 재료

            (1)싯딤나무

            (2)청동

            (3)반역자들의 향로로 만든 철편

         c. 주님의 식탁으로서의 제단

         d. 제단의 네 뿔

         e. 제단의 둘레

         f. 제단의 만곡부

         g. 제단의 받침쇠

         h. 제단의 연료

         i. 번제물을 사르는 불꽃

         j. 번제물의 연소재

      3. 청동 물두멍과 다리

         a. 위치

         b. 재료

            (1) 여자들의 청동 거울

         c. 물과 물의 출처

         d. 제사장과 희생 제물을 위함

         e. 바울이 말한 산생의 물두멍

      4. 의미

         a. 성막뜰은 칭의의 장소였으며 이 칭의가 어떻게 이르러 오는지를 예증하였다. 이것은 이스라엘에게 다음의 사실들을 예증해 주었다.

            (1) 용서와 칭의가 약속된 이 장소에 들어가는 유일한 방법

            (2)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결의 불

            (3) 죄악을 씻어 버리는 정결의 물

            (4) 속전을 지불하는 귀중한 피

 (537.2)
 정결케 되고 의롭게 된 참회자는 믿음으로 제사장을 통하여 성소로 옮겨졌다.

 (537.3)
 그 곳에서 그는 영광을 향하여 나아 가는 그의 순례길의 다음 국면을 위하여 필요한 모든 것을 공급받았다. 이것들은 성소에 서 있는 여러 기물들과 이 기물들 하나하나에서 행하는 제사장의 봉사에 의하여 예증되었다.

 (537.4)
   B. 성소

      1. 휘장 — 그리스도인 성장의 매 단계의 유일한 입구인 그리스도의 인성

         a. 위치

         b. “나는 길이다”

      2. 일곱 가지를 가진 촛대

         a. 성소에는 창문이 없었음

         b. 참회자가 믿음으로 가장 먼저 금으로 펴서 만든 빛의 살구나무 혹은 불붙은 떨기 나무(Burming Bush)를 보았음

         c. 촛대의 위치

         d.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의 상징인 금촛대

         e. 금을 쳐서 만듦

         f. 제사장의 흰 의복에서 만든 빛을 내는 정교한 아마포 심지

 (537.5)
         g. 성령의 상징인 연료, 감람

         h. 청동 번제단에서 취해 온 점화 불꽃: 제사장의 매일 봉사에 두 번 필요했던 등

         i. 영구히 타오르는 등불

         j. “나는 세상의 빛이다”

      3. 삼중 금면류관 식탁

         a. 북쪽에 위치한 식탁

         b. 휘어진 양의 다리 모양의 식탁

         c. 열두 무교병

         d.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을 담은 술잔

         e. 수반되는 중보의 향, 떡과 포도즙을 매주 안식일에 새롭게 바꾸어 줌

         g. 왕같은 제사장의 떡 취식

         h. 헌주

         i. “나의 살과 피를 마시지 않고는 네 속에 생명이 없다.”

      4. 면류관 테를 두른 분향단

         a. 분향단의 위치

         b. 분향단의 높이

         c. 네 개의 금

         d. 세 개의 금테

         e. 끊임없이 타오르는 향

         f. 하나님께서 안정한 희생 제물의 제단에서 취한 불

         g. 제사장에 의한 하루 두 번의 분향

         h. 향연은 그리스도의 공로와 중보를 표상함

      5. 의미

         a. 성소에 마련된 성화에 이르는 길

            (1)조명:행보의 유일한 빛

            (2)자양분:행보의 힘을 얻는 떡과 포도즙.

            (3)환경:향기 가득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향연

            (4)기도는 영혼의 호흡이다.

 (538.1)
 성화에 이르는 길의 끝은 하나님의 임재가 머물러 있는 지성소로서 이 곳은 영광이 손짓하고 은혜의 보좌가 초청하는 곳이다. 그의 대제사장을 믿는 믿음으로 통회하는 죄인은 하나님의 존전으로 들어갔다.

 (538.2)
   C. 지성소

      1. 유일한 입구인 휘장

      2. 네 기둥과 네 못

      3. 휘장의 찢어짐

      4. 삼중의 세 기물

      5. 법궤 자체와 세 개의 상자

      6. 시은좌

      7. 십계명의 두 돌판

      8. 아론의 싹난 지팡이

      9. 만나를 담은 금 항아리

      10. 영광의 그룹

      11. 쉐키나

 (538.3)
 성소 전반을 통한 이러한 감동적인 표상들이 구주의 봉사의 여러 측면들을 나타내지만 그것들은 차갑고 비인격적이다. 하나님께서는 백성들을 위하여 그것들을 역동적인 실체로 바꾸시기를 원하셨으므로 구세주의 생애와 봉사를 설명하고 실증해 줄 수 있도록 제사장과 대제사장의 인격적인 봉사를 마련하셨다. 살아 있는 사람만이 살아 있는 사람들의 필요를 온전히 충족시킬 수 있으며, 사랑을 지닌 가슴만이 우리의 대제사장의 마음속에 있는 사랑을 나타낼 수 있다.

 (538.4)
 III. 제사장직
   A. 제사장—하나님의 초기 임명

      1. 시내산에서의 하나님의 부르심과 레위인의 응답

      2. 아론과 그의 아들들의 제사장직 선정

      3. 제사장의 직능

         a. 성소 봉사

         b. 하나님의 이상 “왕같은 제사장”의 모본

         c. 이스라엘의 재판관

         d. 구주의 대리자

      4. 아내와 가족

      5. 거처

      6. 음식

      7. 급료

      8. 존재의 상징, 의복의 네 품목

         a. 고의(바지)

         b. 겉옷

         c. 허리띠

         d. 두건

      9. 성별

      10. 멜기세덱의 반차

   B. 대제사장 — 첫번째 대제사장 아론

      1. 직능

      2. 의복

         a. 존재의 상징인 네 의복과, 직능의 상징인 다섯 정금 의복

            (1)순종을 나타내는 한폭으로 짠 청색 예복

            (2)봉사의 앞치마

            (3)준비성의 허리띠

            (4)판결 흉패

            (5)사랑의 관

      3. 대제사장의 성별과 피와 기름에 의한 성소의 봉헌

   C, 레위인—부르심을 받은 이유

      1. 성소에서의 직능

      2. 찬양

      3. 나무와 물

      4. 관리인

      5. 제사장의 조력자

      6. “그리스도는 모든 것”(종의 종)

 (539.1)
 제사장들은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성소의 세부 사항들과 상소의 봉사에 대하여 가르쳤으며 각각의 의미를 설명했다.

 (5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