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중심의 성소론 제 5 부 내 제사장이신 예수님과 함께 (죄와의 교제 관계로부터의 해방) 25. 보석의 기초들 (나의 모든 성장은 그리스도의 것임)
 이리는 외로이 있을 때 다소 소심하다. 덫을 놓는 사람들은 천조각을 사슴의 시체에 동여매, 나부끼게 하면 이리가 두려워하여 도망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리들은 무리를 이루게 되면 위험스러운 동물들이 되고, 머리를 써서 거의 모든 사냥물을 잡을 수 있다. 내구력, 지구력, 교활, 그리고 협동적인 노력이 이리들의 생존을 가능하게 하여 왔다. 잔인성과 약탈이 베냐민 사람들을 묘사하는 말들이다. 하지만 성경 기자는 베냐민 사람이 진실로 가장 비천한 상태가 되었을 때 그들이 어떠하였나를 묘사하는 글을 남겼다(삿 19~21). 이 지파는 바로 이 상황에서 스스로 자초한 파국들로 인하여 거의 사라졌다. (323.6)
 그러나 다윗의 시대에 베냐민의 지파는 재건되었다(대상 7:6~12; 참고, 대상 8:40; 12:2). 사울왕은 베냐민 지파의 사람이었고, 다윗의 대적이었다. 반면에 사울의 아들 요나단은 다윗의 가장 절친한 친구였다. 베냐민 사람들 중에 많은 이들이 그들이 가진 모든 특권을 이용하여서 하나님 안에서 자신들을 강하게 하였다. 모세는 그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예고하였다. “여호와의 사랑을 입은 자는 그 곁에 안전히 거하리로다. 여호와께서 그를 낮이 맞도록 보호하시고 그로 자기 어깨 사이에 처하게 하시리로다”(신 33:12), 이방 세계를 향한 복음 전파의 기수였던 다소의 사울도 베냐민 사람이었다. 강탈하는 이리는 바울에게서 온화한 양이 되었다. (323.7)
 이 이리는 부활하신 어린 양인 그리스도를 보았을 때 그렇게 되었다. 바울의 본성은 그의 이름과 더불어 변화되었으며, 그의 품성은 완전하게 변화되었다. 그리스도인을 박해하고, 혹은 억압하는 데 몰두하던(빌 3:16, 바울은 박해한다와 억압한다를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그는 자신의 열정을 승화시켜 그리스도가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푯대를 향하여 달려갔다(빌 3:6, 14). (324.1)
 인침을 받을 성도들 가운데는 베냐민 사람들이 있을 것이며(계 7:8), 도성의 문은 이 이름을 가진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 있다. 베냐민이 자신의 성품을 발전시킨 것은 대제사장의 가슴에 있는 자수정에서였다. 푸른색이 붉은색과 신비하게 결합된 이 보석의 색깔은 시름에 잠긴 사람에게 마침내 이리를 변화시켜 어린 양과 함께 자리하도록 한, 하나님의 중보자의 봉사를 되새기도록 한다. 황금 도성의 첫 기초석에는 베냐민의 영적 동료인 베드로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324.2)
 X. 녹보석(綠寶石)혹은 황옥(黃玉), Topaz
 (A New Translation of the Bible by James Moffatt). EB, HDB, JDBE 녹보석 혹은 황옥임을 확인하여 줌. (324.3)
 흠정역(KJV)에서 녹보석(beryl)으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타르쉬스(tarshish)이다(출 28:20; 39:13). 영문 개역판 성경(RV)의 난외주는 황옥(topaz)임을 제시하여 준다(Cant 5:14). 70인역은 황색돌을 뜻하는 크리솔리토스(chrusolithos)라는 말을 사용하였으며, 요세푸스와 불가타역도 마찬가지로 이 말을 사용하였다. 이에 일치하는 신약 성경의 기초석은 크리솔라이트(chrysolite, 황옥)인데(계 21:2), 플리니는 이것을 연황색 투명 보석으로 기술하고 있다(Natural History, Book XXXVII:xlii). 킹(C. W. King)은 “인도 황옥은 오늘날 일반적으로—비록 적절하지는 않지만—동양의 황옥으로 명명되는 보석으로, 이 동양의 황옥은 남보석과 같은 강도와 희귀성을 지닌 보석이며 남보석의 황색 변종이다 ∙∙∙ . ‘투명하며 황색 광택을 가지고 있다’는 표현은 어느 다른 보석들 보다도 이 보석에 가장 정확하게 적용된다”고 지적하였다(A Natural History of Gems and Decorative Stones, 93). (324.4)
 분류화적으로 변종이기에, 고대의 토파즈(topaz)는 현대의 크리솔라이트(chrysolite)나 감람석(peridot)인 반면, 고대의 크리솔라이트(chrysolite)는 “초록색이 섞이지 않은 황색 보석이며, 현대의 토파즈와 동일하여야만 한다”(A New English Dictionary on Historical Principles, Topaz).(역자주: 이 이유 때문에 진기한 두번째 보석도 황옥으로 칭하고, 10번째 보석도 황옥으로 칭함). (324.5)
 대제사장의 가슴에 부착된 황옥에 깊이 새겨진 이름은 단(심판하다)이다. 이 돌은 그의 무덤을 표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도 좋을 것이다. 단은 하나님의 나라로 들어가는 길을 찾지 못하였으며, 인침을 받은 자의 명단에 빠져 있다. 그의 이름은 하나님의 도성의 어느 문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그는 중상모략하는 자이며, 반역자이며 하늘 나라로 가는 여정중에 길가에 넘어질 배반자이다. 그리고 그의 기(旗)에 그려진 뱀이 그를 상징한다(창 49:16~18). (324.6)
 이 사람의 생애에 관한 연구는 좌절에 봉착하게 된다. 에스겔서의 마지막 장에서 발견되는 인명부에는 그래도 단이라는 이름이 나온다. 하지만 단은 장래가 촉망되지만 모든 것을 포기하여 버리는 사람을 대표한다. (324.7)
 이제 왜 그런지를 발견하기 위하여 성경을 보기로 하자. (325.1)
 단(재판자를 뜻함)은 야곱의 다섯째 아들이며 라헬의 몸종 빌하에게서 난 첫째 아들이었다(창 30:3~6). 그를 잉태하고 있었던 상황은 불길하였다. 라헬이 남편보고 빌하를 취하라고 한 제안은, 그녀의 언니 레아로 하여금 그 모본을 따르도록 하였으며, 야곱의 가정에 경쟁과 마찰과 증오와 부수적인 많은 질병들을 초래하였다. 만일 하나님의 뜻을 따랐더라면, 야곱의 아들 가운데 몇은 이 세상에 결코 태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들은 하늘 계획에 필요하지 않았으며, 죄 가운데 잉태되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인간들이 하나님께 내어놓는 것과 더불어 일하시며, 은총의 능력을 보여 주셔서 불결과 타락 가운데서 잉태된 약하고 죄된 인간들을 택하여, 그들을 하늘 나라 왕의 아들들과 딸들로 변화시킨다. 영원한 성령님이여, 우리들을 도와 당신이 사랑하는 사랑스럽지 못한 사람들을 사랑하도록 하옵소서.
 야곱은 다음과 같이 예견하였다. “단은 이스라엘의 한 지파같이 그 백성을 심판하리로다. 단은 길의 뱀이요 첩경의 독사로다. 말굽을 물어서 그 탄자로 뒤로 떨어지게 하리로다”(창 49:16~18). 야곱은 이러한 무서운 예언을 한 후에 “여호와여, 나는 주의 구원을 기다리나이다”라고 외침으로써 자신이 행한 신탁에 개인적인 소망을 피력하였다. 판관, 곧 정의의 중재자가 뱀, 곧 무죄한 자의 발굽을 무는 자로 전락함을 보라. 단은 나쁜 소문을 퍼뜨리는 사람, 잡담, 조달자, 틀린 정보 제조자이었는데, 하나님의 도성에 거짓말장이가 있을 장소는 없다(계 21:8). (325.2)
 드보라는 “단이 배에 머무름은 어찜이뇨?”라고 물었다(삿 5:17). 단은 하나님의 대의에 기꺼이 응할 용의가 없었으므로 동료들이 절대적으로 그를 필요로 하는 때에 거리를 두고 있었다. 이 지파 출신에서 유일하게 특출난 인물은 삼손이었는데, 그의 이름은 듣는 이의 마음 속에 묘한 영상을 불러 일으킨다. 성경은 그의 변덕스러운 천성에 대해 “여호와의 신이 비로소 그에게 감동하시니라”는 견해를 피력하였다(삿 13:25). 다른 때에는 어떤 영이 그를 움직이었는가? 성경은 우리를 의심의 구름 속에 내버려 두지 않는다. 죄된 육욕에 몰두한 것과는 판이하게 대조되는, 이스라엘의 수호를 위하여 열정적으로 헌신한 삼손의 짧은 생애가 그가 속한 이 불안정적인 지파의 이야기를 요약하고 있다. (325.3)
 여호와께서는 원래 단의 이름을 흉패의 황옥에다 새기어, 그를 세 지파의 지도자로 선택하였다. 그러나 그에게 매일 비치던 황금색 빛은 믿음과 사랑을 기억시키는 데 실패하였고, 그의 생애에 아무런 감동을 남기지 않았다. 최선의 상황과 환경도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기를 거부하는 사람에게는 소용이 없다. (325.4)
 새 예루살렘의 기초석에는 단의 짝이 없다. 그러나 단은, 도성의 바깥에서 그리스도를 그 크고 흰 보좌로부터 끌어내리려고 하는, 격노한 악마들 가운데서 반역자 유다와 연합한다. 하지만 하나님의 모든 목표들이 성취된 그 세상에서, 다른 지파, 곧 레위가 진주 문의 단의 자리를 차지하고, 다른 사도, 곧 맛디아가 황옥 기초석에 있는 유다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보게 된다. 하나님께는 자신의 목표를 위하여 사용할 미미한 남녀들이 항상 있다. (325.5)
 XI. 호마노(縞瑪瑙, Onyx)
 (KJV: The Bible:An American translation by J.M. Smith and Edgar J. Goodspeed). HDB도 호마노라고 확인하여 줌. (326.1)
 게세니우스(Gesenius)는 히브리어 쇼함(shoham, 출 28:9)을 줄무늬진 의복을 뜻하는 한 아랍 단어와 비교하였다. 그는 이 단어가 희끗희끗한 선들을 가진 살색의 호마노를 가리킨다고 말하였다. 요세푸스는 대제사장 복장의 어깨 부분 들이 “두 개의 붉은 줄마노(sardonyx)”라고 기술하였고, 흉패의 쇼함(shoham)을 “호마노”라고 칭하였다(Antiquities 111; vin: 7 & 5). 위의 둘은 모두 석영이나 옥수이지만 그 색깔이 서로 다르다. (326.2)
 테오프라스투스의 번역자, 힐(John Hill)은 다음과 같이 그가 관찰한 바를 기술하였다. “어떻게 호마노를 붉은 줄마노와 구별할 수 있는가 라고 하는 질문은 플리니의 주장에 의거하여 쉽게 답변 될 수 있다. 재질과 색깔에 관한 한 두 보석들은 동일한 광물이다. 붉은색이나 갈색이나 노란색 바탕이 때로는 줄무늬, 때로는 점, 때로는 작은 구멍으로 된 흰색 줄로 덮여 있는 돌을 호마노라고 불렀다. 그러나 여러 가지 색깔들이 한 층씩 일정하게 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붉은 줄마노가 된다.” (3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