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중심의 성소론 제 7 부 삶의 순환 속의 그리스도 (죄의 결과(assignations)로부터의 자유) 33. 유월절과 무교절 (나의 모든 보호는 그리스도의 것임)
 이스라엘 백성들이 노예로서 애굽의 지배하에 있을 때는 신앙 생활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예언된 구원의 시기가 가까워 오자(창 15:13; 출 12:40, 41) 모세는 바로에게, 이스라엘이 여호와께 희생을 드리도록 허락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일언지하에 거절되고 말았다. 그러자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지시하시기를, 바로 왕에게 가서 히브리인들을 해방하라, 싫으면 결과를 당하라고 말하라 하셨다. 그러나 애굽의 군주는 이 최후의 통첩도 묵살하였다. 심지어 애굽의 신들에 대한 아홉 가지 재앙으로 그 나라의 경제를 파탄시켜 백성들이 당혹스러움에 빠지게 하였으나 목이 뻣뻣한 그 통치자를 움직이진 못하였다. (420.1)
 나일의 우상들에게 이처럼 하늘의 능력을 나타낸 것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는 대조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그들은 무엇인가 심상치 않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경각심을 가지게 되었다. (420.2)
 여호와께서 유월절 양을 잡도록 명하심
 바로 이 때,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각 가정의 가장들로 특정한 날에 양을 희생으로 드리고, 우슬초 다발로 그 피를 집의 문설주와 인방에 뿌리게 하라고 지시하셨고, 아울러 “내가 피를 볼 때에 너희를 넘어가리”(출 12:13)라는 약속을 함께 주셨다. 믿음과 신앙의 이 붉은 표가, 밤의 심판이 진행되는 동안, 피를 바른 집의 안전 지대 안에 머무는 모든 가정의 맏이(first born)를 죽음의 천사가 해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주었다. (420.3)
 유월절(Passover)이란 말은 히브리 단어 폐사(pesah)를 번역한 것인데, 이 단어는 ‘뛰어넘다’, ‘나아가서 살려 두다’, ‘자비를 보이다’란 뜻의 원형 파사에서 파생한 것이다. 구약에서는 헬라어 파스카가 니산월 14일인 유월절만을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주후 1세기의 용례를 말해 주는 필로, 요세푸스, 신약의 저자들은 이따금씩 이 유월절이란 용어를 한 주간의 무교절을 포함하여 8일 동안의 축제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하였다(참조 요 18:39; 눅 22:1; 대하 35:17; 스 6:19, 22, Grace Amadon, “Important Passover Texts in Josephus and Philo,” Anglican Theological Review, vol. XXVII, No. 2, April 1945와 “Significance of the Word Passover,” I and II, Ministry, September and October, 1943을 보라.). (420.4)
 주께서는 유월절이 들어 있는 니산월 부터(느 2:1; 애 3:7) 히브리의 성년(sacred year)의 계산을 시작하라고 명하셨다. 이 니산월은 아빕월이라고도 불리웠다. 첫 열매도 또한 아빕(레 2:14) 혹은 “처음 것”이라 불리웠고, 이런 연유로 칠십인역과 불가타역에서는 이 니산월을 “새 열매의 달”이라고 칭하였다. 우리가 살펴보았듯이 요세푸스는 이런 기록을 남겼다. “모세는 니산월에 그들의 축제를 위한 첫 달이 되도록 지시하였다. 이는 그가 그 달에 백성들을 애굽에서 인도해 냈기 때문이다. 한 해가 이 달로 시작하게 함으로써 백성들이 하나님께 대한 존경의 태도로 최대한 엄숙하게(절기들을)지키게 하고자 하였다.—매매와 그 밖의 일상 용무를 위하여 원래의 달의 순서를 유지하면서도”(Antiquities I: 3:3). (421.1)
 첫 유월절
 첫 “유월절”을 시작하기 위해 자세한 것들을 지시한 것은 교훈적 목적을 위해서였다. “애굽”(계 11:8)은 매우 소란하였다. 하나님을 모르는 반항적인 왕은 이스라엘을 멸망시키고자 전념하였다. 한편 히브리인들은 기회가 주어질 때 자유를 획득하기 위해 열심히 준비하였다. 진홍색으로 표시를 하고 한밤 중에 식사를 마친 그들에게 약속의 땅을 향하여 먼 여행을 떠나라는 지시가 주어졌다. 하나님께서는 해마다 백성들이 이 유월절을 통하여 이스라엘 역사의 그 극적인 사건을 상징적으로 표상적으로 재현하도록 지시하셨다(출 12:2). 이 축제는 마침내 이스라엘 국가의 3대 순례 절기 중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것이 되었다(시대의 소망, 75). (421.2)
 이스라엘 백성들이 팔레스탄에 정착한 후에 유월절 달(Paschal month)의 시기는 보리가 익음과 함께 결정되었다. 하나님께서는 보리 이삭이 패는 아빕월 14일 저녁에 어린양을 잡도록 규정하셨다(출 12:2, 6). 매달이 월삭으로 시작하니까 유월절은 언제나 만월(보름)때에 오게 된다. 이 희생을 드린지 3일째, 그러니까 16일에 익은 곡식단을 성막 안의 제단 앞에서 흔들어야 했다(레 23:10~14).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제사장은 보리가 다 익어가는지 확인하기 위해 성소 근처의 들판을 둘러보았다. 가능하다고 생각되면 “요제”앞에 오는 월삭으로 니산월의 시작점을 삼았다. 그러나 그 때까지 보리가 익지 않으리라 판단되면, 전년에 13번째 달을 추가하였다. 다음 만월 때는 보리가 익을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경험을 계속함에 따라 그들은 19년 동안에 일곱 번의 윤달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421.3)
 보리 “추수” 시기를 봐서 유월절 축제의 시기를 정하는 이 방법은, 하나님의 백성들의 순종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크신 “유월절”(passing over)께서 하신 것처럼 자비와 심판의 양면성을 우리에게 보여 준다. 이리하여 유월절은 출애굽을 기념할 뿐 아니라, “세상 끝”과 참 유월절 양의 피로 사신 “인쳐진” 영혼들의 마지막 수확을 예기(豫期)하기도 한다. (421.4)
 유월절은 다음달에 경축될 수도 있었음
 주께서는 “부정하게 된” 자는 한 달 후에 유월절을 지키도록(celebrate)허락하셨다(민 9:9~12). 이것은 두번째 혹은 작은 유월절이라 불리웠으며, 이 규정이 이스라엘 후손들에게까지 적용되었지만 이 규정을 선용하여 혜택을 받은 기록은 오직 선한 왕 히스기야의 통치 때뿐이며, 이 때에도 어떤 이름은 “기록한 규례에” 따르지 않고 유월절 양을 먹었다(대하 30:18). (421.5)
 그러나 왕이 그들을 중재하고, 제사장들이 계속해서 경배자들을 교육시켰다. 유월절 축제와 관련된 사건들을 명함에 있어서 이같은 유연성은 “추수 원칙”을 실제로 보여 주는 것이며(마 13:28~30; 요 12:12~15),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연약함과 준비의 부족을 기꺼이 조정(accomodate)하고자 하심을 강조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낫에 거두워지기 위해 익을 때까지 그분께서 얼마나 큰 인내로 우리의 성장을 지켜보고 계시는가를 말해 주는 것이다. (422.1)
 유월절 양은 니산월 10일에 선택됨
 15세기 동안 이스라엘의 경건한 가장들은, “이달 열흘에 너희 매인이 어린 양을 취할지니”(출 12:3)라는 여호와의 명령에 따라 니산월 10일에 흠 없는 일 년된 수양을 선택하였다. 이 양은 공공 장소에 매놓아 모든 사람들이 관찰할 수 있게, 그리고 14일에 죽일 준비가 되게 하였다(출 12:3~6). 이 표상을 통해 주님께서는 그리스도께서 이스라엘 국가에 의해 유월절 양으로 선택되실 그 시점을 예시하셨다. (422.2)
 랍비들은, 이렇게 나흘 동안 양을 공중 앞에 내놓은 것은 이스라엘의 구원을 위해 피를 제공하는 어린양의 역할에 대해 사람들이 서로 이야기하도록 자극하기 위함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수컷 짐승이, 죽임을 당하지 않았던 “맏이”를 대표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422.3)
 그리스도의 봉사의 마지막 해에는 니산월 14일이 성(聖)금요일(“good” Friday)에 왔다. 전주의 안식일, 즉 “유월절 엿새 전에”(요 12:1~9), 예수께서는 시몬과 그의 조카 나사로와 두 질녀 마르다와 마리아의 집에서 조용하게 식사를 즐기셨다. 다음날 종려 일요일, 니산월 9일에 나귀를 타시고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셨다. 도중에 예루살렘 성과 불운한 운명의 백성을 위해 감람산 마루에서 잠시 멈추어 우셨다(눅 19:41~44). 그 성과 성전은 얼마나 장엄한 모습을 하고 있었는가! 얼마나 크고 화려한 가능성들이 아직도 히브리 국가 앞에 놓여 있었는가! “그러나 유대인들은 그들의 구세주를 배척하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왕을 십자가에 못박으려고 하였다. 그날 해가 지고 밤이 오면 예루살렘의 운명은 영원히 결정될 것이었다”(SJ, 91). 사실, “빨리 서쪽으로 기우는 해가 공중에서 사라질 때 예루살렘의 은혜의 날은 끝날 것이었다”(시대의 소망, 578). (422.4)
 그리스도께서는 10일에 정죄당하심
 그날 밤, 주후 31년 니산월 10일 월요일 “저녁”, 불법으로 소집된 산헤드린은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하늘의 유월절 양을 죽이기로 결정하기 위해 투표하였다. 산헤드린에서의 그들의 결정은 자신들의 운명을 정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리하여 예수께서는, 수없이 많은 유월절 양들이 사람들에 의해 선택되던 그 순간에, 그리고 수세기 동안 이 희생 제물이 분리되던 바로 그 날에, 돌아가실 것이 지명되었다. 이리하여 예언적 표상은 무섭도록 정확하게 원형과 만났다. (422.5)
 “타락한 세상에 대한 그리스도의 봉사를 끝내게 할 이 최고의 희생 제물에 사람들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것이 그분의 목적이셨다.” (4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