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중심의 성소론 참고 연구 강목
 그들, 특별히 대제사장은 재판관이었다.

 (539.3)
 이스라엘 예배의 중요한 부분은 아침 저녁으로 “매일 드리는”(continual)희생을 드리는 예식 가운데 포함되어 있었다. 이스라엘의 각 개인들은 자신들의 능력이 미치는 한도내에서 개인적 희생 제물을 드렸다.

 (539.4)
 예수께서 그것들의 의미를 성취하기 위해 오셨을 때 예수께서는 그것들을 네 부분으로 나누셨다.

 (539.5)
 IV. 성소 봉사
   A. 번제

      1. 희생 제물의 선택(수소, 수양, 새)

      2. 희생 제물의 자격과 특징

      3. 죄를 희생 제물에 전가하는 안수

      4. 참회자가 희생 제물을 죽임

      5. 제사장이 그 피를 제단에 바름

      6. 참회자가 “나의 모든 존재는 그리스도의 것”이라고 고백

   B. 소제와 전제

      1. 곡물과 포도즙의 제물

      2. 모든 번제와 화목제와 병행됨

      3. 주간(weekly)의 진설병과 헌주(wine libation)

 (539.6)
      4. 참회자가 “나의 모든 소유는 그리스도의 것”이라고 고백

   C. 화목제

      1. 다음을 표현하는 제물

         a. 축복에 대한 감사

         b. 서원의 깊음과 계획들의 성취

         c. 예배와 경축

      2. 제사장과 참회자, 그의 가족, 하나님께서 기쁜 언약의 음식을 나눔

      3. 참회자는 “나의 모든 기쁨은 그리스도의 것”이라고 고백

   D. 속죄제

      1. 두 종류의 죄

         a. 하나님께 대한 죄

         b. 되돌려주는 일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죄

      2. 두 종류의 죄인과 그 제물

         a. 이스라엘 — 백성, 제사장, 회중

         b. 이방인 개종자 — 관리, 백성

      3. 참회자는 “나의 모든 죄는 그리스도의 것”이라고 고백

 (540.1)
 참회자는 이러한 제물들에 의해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가지고 영광을 향하여 나아가는 그의 순례길을 떠난다.

 (540.2)
 V. 구원의 달력
 하나님께서는 언제나 인간이 어떻게 그의 시간을 보내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으로 당신을 나타내 보이신다. 그분의 법규는 그분의 백성들에게 일년 동안 언제 어떻게 그분을 경배하면서 그들의 시간을 보내야 할지를 지시하셨다.

 (540.3)
   A. 주례의(weekly)절기

      1. 안식일, 매주 창조주를 경축

   B. 월례 절기

      2. 매달을 성별하는 새 달의 절기

   C. 연례의 절기

      1. 유월절—10일 희생양의 선택

         a. 14일 = 양을 죽임

         b. 15~22일 무교절

         c. 16일 = 추수 곡식단을 흔듦

         d.(갈바리에서의 예수님의 죽음)

      2. 오순절(곡식단을 흔든 날로부터 오십일째 되는 날:시내산에서의 율법의 수여; 성령)

      3. 나팔절(7월 1일, 1833)

      4. 대속죄일(7월 10일∙∙∙ 1BAAD

      5. 장막절(7월 15~22일, 하늘 본향)

   D. 주기적인 절기(periodic festival)

      1)안식년

         a. 매 칠년되는 해를 경축

         b. 과수원과 농경지를 휴경

         c. 히브리인의 모든 부채 탕감

         d. 가난한 자와 들짐승이 땅의 소산을 즐김

      2)희년

         a. 매 오십년째 해를 경축

         b. 모든 토지가 본 주인에게 되돌려짐

         c. 이 모든 사람의 부채가 탕감됨

 (540.4)
 VI. 모든 죄와 죄과로부터의 오염과 정결
 참회자는 세월 속에 여행을 하면서 죄를 범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누가 죄를 범하면 아버지 앞에서 우리에게 대언자가 있으니 곧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시라.” 주님은 그분의 구원의 계획을 통하여 모든 종류의 죄와 그 결과를 제거할 대책을 마련해 두셨다.

 (540.5)
 성소 봉사는 우리의 제사장이며 대제사장 그리스도께서 이 중요한 과업을 행하시는 여러 방법들을 예증하고 있다. 죄악과 더럽힘은 의식법에서 세 항목으로 나누어졌으며 각 항목의 죄들은 모든 부정을 제거하기 위하여 거기에 맞는 적절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

 (541.1)
   A. 두 마리의 참새

      1. 문둥병 혹은 내부로부터 나오는 유출되는 부정

         a. 사람—육체

         b. 가옥—집

         c. 의복—행동

         d. 정결—예식

   B. 붉은 암송아지

      1. 사회적 접촉 혹은 외부로부터 오염된 불결

         a. 붉은 암송아지

         b. 희생의 방법과 재의 사용

         c. 참회자를 위한 정결 예식

         d. 암송아지의 재보다 더 소중한 그리스도의 피

   C. 두 마리의 염소

      1. 인간은 율법을 깨뜨림으로 인한 죄과로 정죄를 받았다.

      2. 대속죄일

         a. 대제사장의 비준

         b. 선택된 두 염소

         c. 여호와를 위한 염소는 모든 죄로부터 성소와 백성을 정결케 함

         d.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 성소

         e. 하늘 성소와의 평행들

 (541.2)
 지상 성소에서 수행된 모든 활동들은 하늘 성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봉사의 예표들이었다. 사실 천상 성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건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지상 성소에서 발생했던 사건을 분석하는 것이다. 지상 성소를 언급했던 모든 성서 기자들은 지상 성소의 세부 사항들이 하늘의 실체를 가리키고 있음을 이해하고 있었다.

 (541.3)
 VII. 하늘 성소
   A. 지상 성소의 원형 하늘 성소

      1. 두 칸 봉사의 예시

         a. 제사장의 매일 봉사

         b. 대제사장의 연중 봉사

      2. 제사장 직분과 대제사장 직분을 행하시는 그리스도

      3. 모든 희생 제물의 성취자 예수 그리스도

         4. 그리스도의 구속의 계획의 시점이 장막절 절기 속에 그려짐

         5. 예수께서는 현재 원형적 대속죄일 봉사를 마치시고 계시며 곧 영원한 생명으로 당신의 백성들을 축복하기 위하여 다시 오실 것임

 (541.4)
 우리는 시편 기자와 함께 “그 전에서 모든 것이 말하기를 영광이라 하도다”라고 찬양할 수 있다. 이스라엘의 고대 성소를 여행했던 우리의 노정은 이것이 사실임을 보여 주었다. 우리는 그것을 참으로 분명히 볼 수 있다.

 (541.5)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것이 되신다.”

 (5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