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중심의 성소론 제 8부 거룩한 삶에 예수님과 함께 (모든 충만함 안의 자유)
  • 1
 죄는 오염을 야기하는 것처럼 허물도 만들어 낸다. 그리고 의식법에 있어서 이 추악함은 죄의 유형으로 간주된다. 성경은 세 종류와 죄/부정을 말한다. 함께 간단히 개괄해 보자. (466.1)
 죄의 허물
 죄의 허물은 율법에 의하여 드러난다. 인간의 타락한 도덕성은 하나님의 계명에 대하여 대적하거나, 아니면 그 계명의 이상에 미치지 못하며, 결과로써 죄가 생긴다(요일 1:4; 약 4:17, 롬 14:23). 레위기서의 첫 몇장은 참회자가 그의 죄를 용서받고 그의 허물에서 해방될 수 있는, 구세주에 의해 마련된 준비를 묘사하는 의식들을 기술한다. 이 희생적인 의식들은 범죄자에게 그의 죄를 고백하고 그의 수치와 형벌을 구세주를 상징하는 대속제물에게 전가함으로, 그의 영혼이 짐을 벗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상징적인 예식들을 통하여 고백되고 영원히 용서되어진 그 기록들과 그것들과 관계된 허물은 성소에 옮겨지고, 전략적인 장소에 기록되어진다. 대속죄일의 봉사는 이 모든 증거들의 마지막 제거를 최종적으로 수행하였다. (466.2)
 죄의 부정함
 의식법에서 죄의 부정은 신체상의 “유출”(流出)의 결과들과 관계가 있다. 이 오염된 액체들은 생물학적 삶의 여러 다른 기능들과 마찬가지로 생의 처음과 마지막에 관계되어 있다. 이 자연적으로, 또 강제적으로 몸의 여러 구멍들로부터 스며나오는 독소들은 내부의 부패가 밖으로 표출되는 것을 가리켰고, 그것들과의 접촉은 사람을 부정하게 하였다. (466.3)
 문둥병은 내부로부터 스스로 작용하여 밖으로 나타나는 부패시키는 “유출”의 전형적인 성서적 실례이다. 문둥병자는 그의 신체적 상태가 너무 위험하기 때문에 반드시 그 사회에서 추방당해야 할 사람으로 여겨졌다. 공기조차도 그의 호흡으로, 오염되었다. 그 오염시키는 힘이 내부로부터 나왔으므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러한 사람을 “죽은 사람”으로 간주했으며 그것은 영적으로 “죄로 죽은 사람”을 상징했다. (466.4)
 그러나 그의 끔찍한 고통에도 불구하고 율법은 문둥병자를 희망 없는 자로 취급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의 의식적 정결과 공동체로의 복귀를 위하여 복잡한 예식들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것들은 문둥병자가 “정결케” 된 후에만이 적용될 수 있었다. (466.5)
 그 의식들은 그의 변화된 상태를 확인하였고, 언약 사회로의 복권을 마련해 주었다. (467.1)
 우리의 문둥병의 부정 제거를 위한 연구는 예수님의 사역에 초점이 맞추어 질 것이다. 그분은 문둥병자를 깨끗게 하실 뿐 아니라 그의 제사장직과 희생적 봉사를 통하여 그들을 완전한 교제에로 회복시켜 주신다. (467.2)
 그러고 나서 성령을 통하여 그분은 봉사의 생애를 살도록 그들에게 능력을 입히우신다. (467.3)
 접촉으로 인한 죄의 오염
 죄/부정의 세번째 분류는 시체나 유골, 혹은 죽은 몸의 어떤 부분과의 접촉으로 말미암은 오염과 관계가 있다. 이 전형적인 행위는 “허물과 죄로 죽었던”(엡 2:1) 사람으로부터 스며나오는 부식하는 영향력을 묘사하였다. 그의 말과 행위는 네 가지 실례의 바이러스와 헛된 철학을, 너무 가까이 접근해 있는 모든 사람에게 전염시킨다. (467.4)
 하나님께서 이 세 가지 부류의 오염을 제거할 해독제를 마련하셨음
 율법은 이 세 가지 종류의 죄/부정인

 (1) 허물

 (2) “유출들” 그리고

 (3) 전염 각각을 처리할 나름의 예식을 마련하였다.

 속죄제/속건제는 허물(guilt)을 담당하고, 두 마리 참새 예식은 “유출”을, 그리고 붉은 암송아지는 전염을 다루었다. 대속죄일은 최종적으로 모든 종류의 고백된 죄와 부정을 제거하였고 성소와 백성을 정결케 하였다. (467.5)
 우리는 이미 속죄제의 연구에서 속죄제/속건제와 그들이 허물을 다룬 방법을 숙고하였다. 나머지 장들에서 우리는 먼저 어떻게 특별한 참새 두 마리 속죄제가 내적 불결에 의해 더럽혀진 자들의 고유한 필요를 충족시키는지를 연구한 다음, 어떻게 독특한 붉은 암송아지가 그리스도에 대해 죽은 사람들과의 접촉을 통해 오염된 자들을 위하여 죽어야 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우리는 대속죄일의 봉사로 결론을 내리며 특별한 관심을 타락한 인류의 모든 필요를 감당하시는 예수님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희생의 방법에 기울이면서 어떻게 그들이 죄의 모든 흔적을 제거했는지, 어떻게 그분이 우리의 매일의 삶에 마련하신 것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마지막 심판을 두려움 없이 맞이할지를 결론지을 것이다. (467.6)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