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중심의 성소론 제 5 부 내 제사장이신 예수님과 함께 (죄와의 교제 관계로부터의 해방) 25. 보석의 기초들 (나의 모든 성장은 그리스도의 것임)
 새 예루살렘의 진주 문에 새겨진 열 두 지파 족장들의 이름들은 궁극적으로 은혜에 의하여 변화된 자연인의 모범이다. 그 이름들은 모든 사람들에게 가장 거룩한 자에게 가는 길이 누구에게든지 열려있음을 상기시켜 준다. 그 이름들은 하나님의 임재에서 영원히 제외시킬 유전적인 문제 같은 것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것들은 구원의 경륜은 어떤 종류의 개성도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개성을 하늘 나라에 적합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영원한 성령님이시여, 우리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믿음을 주시옵소서.

 (305.4)
 어깨에 있는 두 보석들과 가슴에 있는 열 두 보석에 새겨진 이러한 이름들은 동일한 이야기의 다른 면을 말하여 준다. 하나님이 임재하는 지성소에 대제사장이 매일마다 이 이름들을 메고 들어갔기 때문에, 대제사장의 힘있는 양 어깨와 끊임없는 관심을 가지고 계신 그분의 마음이 결합되어서 이들의 세속성을 “신의 성품”으로 변화시킨다. 하나님의 은혜의 사역은 그들로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피하”도록 하여 주셨다(벧후 1:4). 그분의 성소에서 그들은 하나님의 성령에 의하여 성화되어 왔다. (305.5)
 이미 언급하였듯이 열 두 지파들은 성막 주변에 세 지파들 한 조가 되어 네 그룹으로 배열되었다. 하나님의 목적은 이들이 가까이에서 사는 자들을 돕고 지원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한 지파의 강함은 다른 지파의 약함을 상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스도께서는 열두 사도들을 잘 균형잡힌 무리들로 모았는데, 이들은 각각 네 명씩 한 조가 되어 세 그룹을 이루었다. (305.6)
 “사도들이 나뉘어 이뤄진 그룹 중 한 그룹의 머리에 빌립이라는 이름이 실려 있다”(시대의 소망, 292). 베드로, 야고보, 그리고 요한은 한꺼번에 여러번 언급된다. “사도들은 습관과 성격이 매우 상이하였다. 그 가운데는 세리, 레위 마태, 열화(熱火)같은 열심 당원(셀롯)이요. 로마의 권위에 대한 단호한 증오자인 시몬, 도량이 있으나 충동적인 베드로, 비열한 마음을 가진 유다, 진실하지만 소심하고 겁이 많은 도마, 깨닫기를 더디하고 의심많은 빌립, 야심이 있고 솔직한 세베대의 아들들과 형제들이 있었다. 같지 아니한 결함과 또한 모두 악의 경형을 유전으로 받고 자라난 사람들이 함께 모였으나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저희는 하나님의 가족으로 생애하고 믿음과 교훈과 정신상으 로 하나가 되기를 배울 것이었다”(시대의 소망, 296). “철이 철을 날카롭게 하는 것 같이 사람이 그 친구의 얼굴을 빛나게”(잠 27:17)한다. (306.1)
 야곱의 유전과 가족
 열 두 지파들 가운데 여섯 지파들이 야곱이 싫어하였던 레아로부터 나왔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이다. 오직 두 지파, 혹은 에브라임과 므낫세를 계수한다면 세 지파만이 야곱이 지극히 사랑하였던 라헬로부터 태어났다. 얼마나 놀랍게도 하나님은 자신의 영광을 위하여 인간의 애증을 다스리시는가! 인간의 운명은 하나님의 수중에 있고, 이 점은 야곱의 아들들에게서 입증되었다. 어떠한 사람도 그의 현재 품성과 미래의 번영과는 상관이 없을 것이라고 바라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기” 때문이다(갈 6:7). 성령께서는 맨 처음부터 사람이 사는대로 거두리라는 것을 밝히기 위하여 인류 구속사를 펼치어 왔다. 부모가 하는 일은 종종 그들의 자녀들에게서 더욱더 악화된다. 사라가 자신의 하녀를 아브라함에게 주었던 것처럼, 레아와 라헬도 각각 야곱에게 자신들의 하녀를 주었지 않았던가! 아브라함은 한 하녀를 취하였고, 야곱은 갑절의 범죄를 행하였다. 야곱은 아버지를 속였으며, 그 자신도 라반과 레아에게 속임을 당하였다. 하지만 인간의 십자가는 가끔 그 사람의 면류관이 된다. 첫 아담의 가시박힌 저주(창 3:18)는 둘째 아담의 가시 면류관이 되었다(마 27:29). 이스라엘을 조성한 자는 못나고 사랑받지 못한 레아였다. (306.2)
 야곱의 아들들은 모두 열정적이고 활동적이고 강렬하였다. 그들은 부드럽거나 유순하지 않았다. 만일 사람이 나쁜 계획에 열정적이라면, 그가 올바르게 다루어지기만 한다면, 좋은 계획에도 동일하게 열정적일 것이다. 가장 많이 용서받은 사람은 가장 열렬하게 사랑할 것이다. 우리들은 다윗과 다소의 사울과 막달라 마리아와 다른 여러 사람들의 삶 속에서 이러한 진리를 알 수 있다. 열 두 지파들 가운데는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다.—농부, 선장(長), 선원, 위험에 노출된 접경 지경의 지파 사람들, 상인과 서기관, 그리고 집에서 시중을 드는 시종들이 그들이다. (306.3)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지파들의 역사를 통하여 그분의 뜻과 길들을 계시하고자 하셨는데, 이것은 “살아있는 편지들”이 보다 호소력 있고 읽기가 쉽기 때문이다. (306.4)
 하나님께서는 가장 잘 계획된 상황들을 통하여 각 지파를 영광으로 인도하였던 노정에 관한 이야기를 우리에게 남겨 놓으셨다(신 33:3). (306.5)
 그리고 이 모든 노정들을 통하여 우리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진심으로 사랑하였기 때문에 그런 일을 하셨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307.1)
 보석들과 지파들의 신원 확인
 성경의 여러 번역들에 기록된 흉패에 박힌 보석들의 목록들을 비교하여 보면 매우 혼란스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마도 그 지름길은 26 번역 성경(The Bible in Twenty-six Versions; 출 28:17~20)을 참조하여 보면 될 것이다. 성경 학도들은 양자택일의 기로에 서 있는데, 하나는 절망하여 포기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구약 성경의 목록을 요한계시록에 있는 목록과 비교하여 보면서, 양자가 유사하다고 하는 엘렌 화잇의 주장에 근거하여 현대적인 검증을 시도하여 보는 것이다. 필자는 후자를 시도하고자 한다. (307.2)
 보석을 집중적으로 다룬 세 명의 고대 주요 저자들은 70인역 번역 시기에 가까이 살았던 테오프라스투스(Theophram stus <c. 300 B.C.>)와 요한이 요한계시록을 집필하였던 시기에 살았던 플리니(Pliny<c. 100 A.D.>)와 제롬이 불가타(Vulgate)성경을 번역하던 시기와 거의 동시대인으로 활동하였던 에피파니우스(Epiphanius<c. 400 A.D.>)었다. 우리들은 주로 그들이 제시하는 바에 의거하고, 현대인 중에서 고대 보석들에 관한 한 최고의 권위자인 킹(C. W. King)의 더없이 귀중한 자료에 의존할 것이다. 본서가 내리는 결론들과 일치하는 영어 성경 번역서 명칭을 각 보석 명칭 옆에 참고용으로 기록하여 두었다. (역자주: 저자가 시사한 바와 같이 이 보석의 명칭은 사용된 언어가 다르고, 시대가 지나면서 그 의미가 다르게 되어 통일되지 못하였다. 우리말 개역 성경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일단은 출애굽기 28장의 보석 명칭을 기준으로 삼아 아래에 제시한다. 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계시록 21장의 명칭도 참조하였다.) (307.3)
 1. 홍보석(Carnelian), 홍옥수(Sard)
 (The Holy Scriptures According to the Masaretic Text: A New Translation,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The Emphasized Bible; A New Translation. By J.B. Rotherham; New English Bible). 다음에 열거하는 사전도 본서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The Westminister Dictionary of the Bible, <이하 WDB>; Encyclopedia Biblica, <이하 EB>; Hasting’s Dictionary of the Bible, <이하 HDB>; Jewish Encyclopedia, <이하 JE>; Jacob’s Dictionary of the Bible, <이하 JDB>. (307.4)
 사르디우스(sardius)혹은 사르드(sard, 적색을 뜻하는 히브리어 오뎀 <odem>으로서, 이 단어로부터 아담<Adam>과 에돔<Edom>이 파생되었다)는 70인역, 시리아 역, 불가타 역, 아라비아 역, 그리고 다른 고대 번역에서는 사르디온(sardion)으로 번역되었다(계 21:20; 참고, 계 4:3리토스 사르 디노스<lithos sardinos>를 참조하라). 흠정역(KJV)은 라틴어 사르디우스(sardius)를 선택하였다. 이 돌의 현대 이름은 카르넬리안(carnelian, RSV)혹은 카르넬리온(carnelion)인데, 이 단어는 날고기를 뜻하는 라틴어 카르네우스(carneus)혹은 카르니스(carnis)이다. 에피파니우스는 “바빌로니아에서 발견되는 홍옥수(sardion)는 그 겉모습이 불이나 피같이 붉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되는 것이며, 물고기의 이름을 딴 것”이라고 말하였다. (307.5)
 이러한 생각은 물고기를 상징으로 하는 비잔틴 성인의 마음에 당연히 떠올랐던 것이라고 킹은 익살스럽게 제시하였다(Gems and Decorative Stones, 278). 이 보석은 실제적으로 모든 색깔을 띠는 마노(瑪瑙)가 속한 옥수(玉髓)나 석영 종에 속한다. 보석 세공인은 그가 원하는 색깔을 잘라 내어 그 것에 특정한 이름을 붙인다. (308.1)
 킹은 고대 세계에서 보석을 위하여 사용된 다른 여러 가지 조각된 돌들과 이 수정을 비교한 후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홍보석(紅寶石), 그리고 그것보다 고급의 변종인 홍옥수(紅玉髓)는 고대 조각가들이 선택한 이 돌들의 목록 중에서 가장 좋은 것일 수 있다. 이 두 보석에 음각으로 세공을 해 놓은 양이, 다른 종류의 보석들을 합쳐 놓은 것 만큼이나 된다는 사실을 미루어 보아 그러하다. 이 보석이 첫째가는 위치를 차지하는 데는 상당한 이유가 있는데, 그것은 단단한 특성, 작업의 용이성, 아름다운 색깔을 가지고 있고 연마하여 광택을 내기가 대단히 쉽고, 플리니가 언급하듯이 다른 어떤 보석보다도 더 오랫동안 광택을 보존한다는 점이다. ∙∙∙ . 플리니는 홍옥수의 적색 변형이 가장 높게 평가된다고 기록하였다. 연붉은색 홍옥수는 분명히 색조에 있어 대단히 뛰어나며, 가끔 석류석에 필적하고, 색의 농담과 윤택에 있어 홍옥(紅玉, ruby)에 매우 가깝다. 하지만 홍옥수를 다른 보석들과 구별짓는 특징은 붉은 색과 배합된 노란색의 음영이다”(The Naturall History, Ancient and Modern of Gems and Precious Stones, sard). (308.2)
 유다(찬양함)의 이름이 홍보석에 새겨졌다. 유다의 품성은, 그는 선의를 품고 있다! 그는 마음이 깨끗한 자를 나타내고 있다 라는 문구로 요약될 수 있다. 그의 보석, 곧 순교자의 돌의 색깔은 붉은색이다. 그의 성격은 사자로 표현되었다(창 49:8~12). (308.3)
 유다는 야곱이 싫어하였던 레아에게서 태어났다. 유다는 어머니의 경쟁자이자 아버지가 총애하였던 라헬의 아들인 요셉을 질투하게 되었고 형제들과 합류하여 요셉을 괴롭혔다. 하지만 유다는, 소년 요셉을 죽이고 나서 아버지에게 거짓말을 하자고 제안한 르우벤에 반대하여, 이 소년을 미디안 사람들에게 팔아야 한다는 주장을 관철시키는 데 성공함으로써 일찍이 지도력을 발휘하였다. (창 37:26, 27). (3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