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중심의 성소론 제 5 부 내 제사장이신 예수님과 함께 (죄와의 교제 관계로부터의 해방) 25. 보석의 기초들 (나의 모든 성장은 그리스도의 것임)
 에피파니우수는 다음과 같이 그가 아는 최상의 백마노에 대하여 말한다. “백마노는 외모로 볼 때 회청색인데 대리석을 닮아 주변에 흰 띠가 있다 ∙∙∙ 백마노는 푸른 빛을 띠고 있다.” 유대 백과 사전은 하늘색 마노가 흉패를 위한 보석이라고 결론을 내리면서 “유대 전승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이러한 마노를 확증하여 주고 있다”는 말을 덧붙인다. 전기하였다시피 마노는 거의 모든 색깔을 띨 수 있다. 옥수(chalcedony)는 가지 각색의 색깔과 음영을 가진 벽옥, 줄마노, 붉은 줄 마노, 홍옥수, 녹보석, 홍보석, 석영을 포함하는 계(系)명칭이다. 이것들은 모두 여러 가지 다른 무기산염으로 채색된 수정체 규소이다. (321.2)
 흉패에 있는 청마노(blue agate)와 기초석의 비취옥(chrysoprase) 혹은 크리소파스톤(chrysopaston, 계 21:20)은 줄무늬 모양의 마토에서 잘려나온 청색 돌의 단편들이었다. 이 부분에 여러 가지 청색 색조를 띤 고리들이 있었기 때문에 이 부분이 선택되었다. 가장 아름다운 옥수는 거의 투명한 것이다. (321.3)
 청마노에 기록된 이름은 므낫세(망각)이다. 므낫세는 우리들이 일상 생활에서 만나는 조용한 사람들을 대표한다. 므낫세는 스스로 자초한 모든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그 자신을 하나님의 계약의 백성에 속하는 자로 확고히 하였다. 므낫세는 받은 작은 축복을 소중히 여기기를, 많은 축복을 받은 에브라임이 그것을 대하였던 것보다 더 소중히 여기었다. 그의 기(旗)에는 들소가 그려져 있었다(신 33:17). (321.4)
 므낫세는 요셉의 큰 아들이었다(창 41:51; 46:20). 요셉이 아버지의 장자 상속권을 “두 배” 받았기 때문에, 그의 두 아들 에브라임과 므낫세는 둘 다 열 두 지파들 중에 계수되었다. 이것은 레위 지파가 약속의 땅에서 땅을 유업으로 받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므낫세는 에브라임과 마찬가지로 부와 특권에 있어서 모든 이점과 불리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동생 에브라임이 걸었던 인생 여로와는 판이한 길을 선택하였다. (321.5)
 여호수아가 땅의 분배를 개시하였을 때, 므낫세는 즉시 요단가의 동편에 그에게 주어질 유업의 땅을 분배받았다(민 32:1~32; 수 1:12~16). 역사가는 이러한 분배가 초래할 광범위한 결과들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불길한 기록을 남겨 놓았다. “그러나 므낫세 자손이 그 성읍들의 거민을 쫓아내지 못하매 가나안 사람이 ∙∙∙ 그 땅에 거하였더니 이스라엘 자손이 강성한 후에야 가나안 사람에게 사역을 시켰고 다 쫓아내지 아니하였더라”(수 17:12, 13). (321.6)
 그러나 이 지파 사람들은 이렇게 의무 이행을 지연시키고 무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하나님께로 돌아섰다. (322.1)
 므낫세는 시스라와의 전투에 참전하지 않았다. 드보라가 이 변절한 지파 사람들을 다음과 같은 자신의 비방에 포함시켰는가? “여호와의 사자의 말씀에 메로스를 저주하라. 너희가 거듭 거듭 그 거민을 저주할 것은 그들이 와서 여호와를 돕지 아니하며 여호와를 도와 용사를 치지 아니함이라”(삿 5:23). “메로스 사람들은 무슨 일을 하였는가? 아무 것도 없다. 그러므로 이것이 그들의 죄이었다”(2T, 247). (322.2)
 므낫세 지파는 다윗의 즉위식 때에 도와주었다. 므낫세 지파에 속한 수많은 군사들의 군대 장관들이 다윗의 군대와 연합하였다. “이 무리가 다윗을 도와 적당을 쳤으니 저희는 다 용사들이었다”라고 성경은 말한다. 그들은 충심으로 분견대를 파견하였으며, 다윗을 왕으로 세우려고 하였다(대상 12:20, 21, 31). (322.3)
 므낫세 지파는 비록 북왕국의 일부이었기는 하였지만 나중에 그 중 많은 이들이 예루살렘에 가서 아사 왕의 종교 개혁에 동참하였다. 왜냐하면 그들은 하나님께서 그와 함께 하심을 보았기 때문이다(대하 15:8, 9). 그리고 므낫세는 히스기야 시대에 그 때까지 예루살렘에서 열린 유월절들 중에 가장 성대한 유월절 행사에 참여하였다(대하 30:1~8). 성경에서 재산을 물려받은 최초의 여자들은 이 지파 출신의 슬로브 핫의 딸들이었다(민 27:1~8). (322.4)
 모세가 므낫세를 우리(uri)라고 불리우는 들소에 비유한 것에는 타당성이 있다(신 33:17). 시이저(Julius Caesar)는 그의 실록에 우리(혹은 들소)를 코끼리보다 조금 작은 동물로 묘사하였다. 크고 힘세고 굽힐 줄 모르는 이 짐승은 므낫세의 성격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동물이었다. 므낫세의 기에는 들소가 그려져 있었다. 야곱이 손자를 위하여 드린 기도, 즉 “나를 모든 환난에서 건지신 사자께서 이 아이에게 복을 주시옵소서”(창 48:16)는 결국 응답되었다. 예수께서 바로 그 구속하는 천사이시다. (322.5)
 마지막 날에 인침을 받은 사람들 중에는 므낫세의 이름이 나오며(계 7:6), 그의 이름은 황금 도성의 문에 적혀 있다. 므낫세는 황금 도성의 문에서 자신의 성정을 유전받아 온 모든 사람들과, 그가 싸워서 승리한 투쟁들과 똑같은 투쟁들에 직면하는 사람들을 부르고 있다. 그는, 기꺼이 축복하고 구원하여 주는 구속의 천사에게로 그들을 인도한다. (322.6)
 빛과, 하나님의 율법에 순종함이 주는 기쁨을 상징하는 하늘의 푸른색은, 므낫세가 대제사장의 가슴에 자리잡고 있는 동안, 마노를 통하여 빛을 발하고 그의 생애를 밝혀 주었다. 그의 생애는 그리스도의 은총의 능력에 의하여 변화되었다. 이 새 도성의 기초석에서 그의 짝은 사도들 가운데 최초의 순교자인, 헤롯의 칼에 살해된 우레의 아들 야고보이다. (322.7)
 IX. 자수정(紫水晶, Amethyst)
 (KJV:A New Translation of the Bible by James Moffatt; 그 외 다른 번역들). WDB, EB, HDB, JE, JDB도 자수정임을 확인하여 주고 있다. (322.8)
 게세니우스(Gesenius)는 자수정(아크라마<áchlamah>, 출 28:19, 39:12)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는 꿈을 뜻하는 어근(chalam)으로부터 파생되었다고 생각하였다. (322.9)
 70인역은 이 단어를 아메투스토스(amethustos)로 번역하였으며(참고, 계 21:20), 요세푸스는 그 것을 자수정이라고 이해하였다. (323.1)
 자수정은 자줏빛 수정으로서, 이질 정족에서 추출한 것이다. 테오프라스투스는 자수정을 “홍옥수(sard)와 같이 암석을 깨어서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De Gemmis, #30; DEE 69). 플리니는 다음과 같이 정확하게 자수정의 색깔을 묘사하였다: “이 보석은 포도 음료의 색깔에 가깝지만, 이 색조를 띠기 바로 전에 자주색이 된다”(Natural History, bk 37, X1). (323.2)
 자수정은 뚜렷하게 육각 기둥으로 결정화 된다. 자수정은 종종 여러 가지 자주색 음영을 나타내 보인다. 이따금 한쪽 끝은 무색인 반면, 다른 끝은 매우 진한 색조의 자주색을 띤다. 결점과 흐림, 깃털 모양의 흠집, 틈과 얼룩덜룩한 색깔이 종종 단일 보석 내에서 나타난다. (323.3)
 흉패의 자정에 새겨진 이름은 야곱의 막내 아들인 베냐민(나의 오른손의 아들)이었다. 베냐민은 살아가면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취하였으며, 필요하다면 무력을 사용하여 그렇게 하였다. 그는 방자하고 나쁜 기질을 가진 투사였다. 그의 기(旗)에는 이리가 그려져 있었다(창 49:27). (323.4)
 베냐민의 어머니 라헬은 그가 태어 났을 때 죽었다. 총애하던 아내의 죽음은 베냐민의 아버지 야곱의 마음을 아프게 하였는데, 그 사건 이후 베냐민에게 애정을 쏟고, 보호하여 주었다. 야곱의 가족이 기아 선상에 다달았을 때에, 야곱은 처음에 베냐민이 곡물을 사러 애굽에 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으나, 나중에는 압력을 받고 허락하였다. 그 결과로 모든 가족이 행복하게 재결합되었고, 애굽으로 이사를 가게 되었다. 야곱은 임종시에 다음과 같이 선포하였다. “베냐민은 물어 뜯는 이리라. 아침에는 빼앗은 것을 먹고 저녁에는 움킨 것을 나누리로다”(창 9:27). (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