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소망 없는 인류를 위한 재림의 소망
서문
— 1
머리말
— 5
역자서문
— 6
서론
— 7
각주
— 7
제 1 장 성서적 소망의 본질
— 17
제 1 부 인간의 소망에 대한 고찰
— 17
1. 작은 소망과 큰 소망
— 17
2. 큰 소망의 결핍
— 17
3. 인간의 진보에 대한 소망
— 17
4. 인간의 진보에 대한 소망의 붕괴
— 17
5. 소망 신학
— 17
제 2 부 성서적인 소망에 대한 일별(一瞥)
— 17
1. 하나님 중심의 소망
— 17
2. 재림 중심의 소망
— 17
3. 계속적인 소망
— 17
4. 포괄적인 소망
— 17
결론
— 17
각주
— 17
제 2 장 구약과 재림소망
— 29
제 1 부 구속주의 강림에 대한 소망
— 29
1. 구약의 강림 소망
— 29
2. 통치권에 대한 소망
— 29
3. 승리의 소망
— 29
4. 우주적인 축복에 대한 소망
— 29
5. 강림하실 통치자에 대한 소망
— 29
6. 모세와 같은 선지자에 대한 소망
— 29
7. 구속주이신 왕에 대한 소망
— 29
8. 아이—구원자에 대한 소망
— 29
9. 고난 당하는 종에 대한 소망
— 29
제 2 부 주님의 마지막 강림에 대한 소망
— 29
1. 여호와의 날에 대한 소망
— 29
2. 예언적 전망 가운데 나타난 소망
— 29
3. 하나님의 왕국에 대한 소망
— 29
4. 새 땅에 대한 소망
— 29
결론
— 29
각주
— 29
제 3 장 신약과 재림소망
— 43
제 1 부 성취에 대한 보증
— 43
1. 예언의 성취에 대한 인식
— 43
2. 성취에 대한 말씀들
— 43
제 2 부 현재의 성취와 미래의 완성
— 43
1. 최초의 당혹감들
— 43
2. 이미 성취된 것과 아직 성취되지 않은 것
— 43
제 3 부 초림과 재림 사이에 있는 통일성
— 43
1. 복스러운 소망에 대한 용어의 통일성
— 43
2. 구약 소망의 성취 속에 있는 통일성
— 43
3. 성령의 사역을 통한 통일성
— 43
4. 그리스도의 하늘 봉사를 통한 통일성
— 43
결론
— 43
각주
— 43
제 4 장 재림소망의 확실성
— 55
제 1 부 예수님의 교훈
— 55
1. 그리스도의 말씀
— 55
2. 감람산 설교
— 55
3. 예수님의 마지막 설교
— 55
4. 비유
— 55
제 2 부 베드로의 증언
— 55
1. 구원의 날
— 55
2. 심판의 날
— 55
제 3 부 바울의 증언
— 55
1. 주의 날
— 55
2. 파루시아(주님의 강림)
— 55
3. 계시
— 55
4. 나타남(The Appearing)
— 55
제 4 부 히브리서와 야고보서의 증언
— 55
1. 히브리서
— 55
2. 야고보서
— 55
제 5 부 요한의 증언
— 55
1. 요한일서
— 55
2. 계시록
— 55
결론
— 55
각주
— 55
제 5 장 재림소망의 한계설정
— 73
제 1 부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재림의 시기를 정하셨는가?
— 73
1. 잘못된 전망
— 73
2. 마가복음 9장 1절
— 73
3. 마가복음 13장 30절
— 73
4. 마태복음 10장 23절
— 73
제 2 부 바울은 파루시아의 때를 정했는가?
— 73
1.
“우리(we)-구절들”
— 73
결 론
— 73
각주
— 73
제 6 장 재림소망의 임박성과 거리감
— 85
제 1 부 재림의 임박성과 거리감
— 85
1. 구약의 재림의 임박성과 거리감
— 85
제 2 부 신약의 재림의 임박성과 거리감
— 85
1. 임박성
— 85
2. 거리감
— 85
제 3 부 가능한 해결책들
— 85
1. 신앙의 위기
— 85
2. 재림 소망의 실존적인 시간
— 85
3. 재림 소망의 통일성
— 85
4. 도덕적으로 재림의 소망이 절실함
— 85
5. 재림 소망의 예언적 전망
— 85
결 론
— 85
각주
— 85
제 7 장 재림징조들의 본질과 기능
— 97
제 1 부 재림의 징조들의 성격
— 97
1. 재림의 징조의 일반적 성격
— 97
2. 재림 징조의 동시대적 적용
— 97
3. 재림 징조의 동시대적 이해
— 97
4. 재림의 징조의 상이한 견해들
— 97
5. 재림 징조의 증대
— 97
제 2 부 재림 징조의 기능
— 97
1. 재림의 징조는 소망과 믿음을 고양시킴
— 97
2. 재림의 징조들이 구속의 완성을 지적함
— 97
3. 재림의 징조는 끊임없는 준비를 요구한다.
— 97
4. 재림의 징조는 진행 중인 우주의 쟁투를 보여 줌
— 97
결론
— 97
각주
— 97
제 8 장 하나님의 은혜의 징조와 재림소망
— 107
제 1 부 재림의 징조를 동시대화함
— 107
1. 선정주의의 위험
— 107
2. 재림의 징조를 연구하는 까닭
— 107
제 2 부 세계 복음화
— 107
1. 가장 중요한 징조
— 107
2. 구약에서의 전도
— 107
3. 대 사명의 의미
— 107
4. 그리스도인의 선교가 측정될 수 있는가 ?
— 107
5. 20여 세기에 걸친 기독교의 확장
— 107
6. 오늘날의 세계 기독교
— 107
7. 성경의 유용성
— 107
8. 끝나지 않은 사명
— 107
9. 재림교회의 복음화
— 107
결 론
— 107
각주
— 107
제 9 장 하나님에 대한 반대의 징조들과 재림소망
— 119
제 1 부 거짓 메시야들
— 119
1. 제 1세기의 메시야들
— 119
2. 현대의 메시야들
— 119
3. 새
“메시야들”
의 위험들
— 119
4. 비인격적인
“메시야들”
— 119
제 2 부 적그리스도
— 119
1. 요한과 적그리스도
— 119
2. 말세의 적그리스도들
— 119
3. 현대의 적그리스도들
— 119
4. 적그리스도의 영의 영향
— 119
제 3 부 배도
— 119
1. 바울 서신의 배경
— 119
2. 신약시대의 배도
— 119
3. 마지막 배도
— 119
4. 배도의 원인들
— 119
제 4 부 행악자
— 119
1. 행악자의 특성
— 119
2. 행악자의 구약적 배경
— 119
3. 행악자의 잘못된 신분
— 119
4. 행악자의 정체
— 119
5. 결론
— 119
제 5 부 증가되는 악
— 119
1. 그리스도의 예언
— 119
2. 바울의 예언
— 119
3. 현대의 예언 성취
— 119
제 6 부 식욕의 방종 시대
— 119
1. 음식의 방종
— 119
2. 음주의 방종
— 119
제 7 부 성(性)의 문란 시대
— 119
1. 노아와 롯의 시대
— 119
2. 성의 혁명
— 119
3. 성 혁명의 영향
— 119
4. 동성애
— 119
결 론
— 119
각주
— 119
제 10 장 하나님의 심판의 징조들과 재림소망
— 151
제 1 부 재난의 의미
— 151
1.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계시
— 151
2. 마지막의 확실성에 대한 보증
— 151
3. 재난의 격증
— 151
제 2 부 하나님의 심판의 징조들
— 151
I. 난리와 난리의 소문들
— 151
1. 전쟁이 강렬해짐
— 151
2. 20세기 전쟁들
— 151
3. 결 론
— 151
II. 자연 재난들
— 151
1. 자연적 원인인가?
— 151
2. 하나님의 심판의 표현
— 151
3. 회개의 초청
— 151
4. 마지막 심판의 전조
— 151
5. 오늘날의 자연 재난들
— 151
6. 결론
— 151
III. 인간이 만든 재난들
— 151
1. 환경의 오염
— 151
2. 천연 자원의 고갈
— 151
3. 결론
— 151
IV. 기근
— 151
1. 기근의 의미
— 151
2. 과거의 기근들
— 151
3. 오늘날의 기아
— 151
4. 녹색 혁명
— 151
6. 미래의 전망
— 151
7. 결론
— 151
V. 온역
— 151
1. 온역의 의미
— 151
2. 지속되는 온역
— 151
3. 선진국들의 전염병
— 151
4. 개발 도상국의 온역
— 151
VI. 결론
— 151
각주
— 151
제 11 장 재림소망의 그릇된 징조들
— 179
제 1부 마지막 때의 사건들에 관한 선풍적인 시나리오
— 179
1. 이스라엘의 재건
— 179
2. 휴거, 환난, 재림, 천년 왕국
— 179
3. 환난기 동안의 사건들
— 179
4. 세대주의의 범위와 기원
— 179
제 2 부 예언 해석의 잘못된 원칙들
— 179
1. 예언에 대한 문자적 해석
— 179
철저한 문자주의에 대한 평가
— 179
2. 이스라엘과 교회를 구분함
— 179
“두 백성의”
견해에 대한 평가
— 179
제 3 부 세 가지 잘못된 재림 징조
— 179
1. 유대인의 팔레스틴 회복
— 179
구약의 회복의 예언들
— 179
회복의 예언들의 삼중 성취
— 179
2. 휴거
— 179
휴거의 중요성
— 179
전환란주의(환난전 휴거 설)의 발생—확장과 쇠퇴
— 179
비밀 휴거를 거부하는 네 가지 이유
— 179
3. 환난시의 성전의 재건
— 179
환난 성전을 위한 성서적 뒷받침.
— 179
예루살렘의 성전 재건에 대한 반대들.
— 179
결 론
— 179
각주
— 179
제 12 장 재림소망의 등한
— 217
제 1 부 인본주의와 물질주의의 영향
— 217
I. 인본주의적 소망의 기원
— 217
1. 재림 대 미래.
— 217
II. 인본주의의 영향
— 217
1. 미래주의적 신학들
— 217
2. 실존주의적 신학.
— 217
3. 물질주의적 관념론
— 217
4. 회의주의적 태도
— 217
5. 결 론
— 217
제 2 부 신학적 영향
— 217
I. 천년기에 대한 논쟁
— 217
II. 휴거에 관한 논쟁
— 217
III. 자의적인 예언 해석
— 217
1. 시기를 정함
— 217
2. 최근의 사건들
— 217
3. 미래를 탐지함
— 217
4. 자아 생존을 위한 관심
— 217
IV. 현존의 삶
— 217
1. 구원의 현재적 경험
— 217
2. 현재와 미래 사이의 긴장
— 217
3. 미래는 현재를 결정한다
— 217
V. 개인의 불멸
— 217
1. 참된 재림의 소망이 없음
— 217
2. 개인적인 생존
— 217
3. 헬라 철학
— 217
4. 올라가는가, 내려오는가?
— 217
VI. 교회와 그 예배
— 217
1. 교회의 성례전적 견해
— 217
2. 현재에서 기대하는 미래
— 217
VII. 먼 재림의 거짓 안전
— 217
1.
“먼 미래”
의 철학
— 217
2.
“시간이 풍부하다”
는 철학
— 217
VIII. 새 세계에 대한 오해
— 217
1. 천상의 낙원
— 217
2. 성서적 실재론(사실주의)
— 217
결 론
— 217
각주
— 217
제 13 장 심판과 재림소망
— 235
제 1 부 마지막 심판의 필요성
— 235
1. 마지막 심판의 필요성에 대한 부정
— 235
2. 마지막 심판의 필요성
— 235
제 2 부 마지막 심판의 범위
— 235
1. 모든 존재가 심판받음
— 235
2. 모든 것이 심판을 받음
— 235
제 3 부 마지막 심판의 기준
— 235
1. 계시된 하나님의 뜻
— 235
2. 믿음이냐 행함이냐?
— 235
3. 심판의 방법과 기준
— 235
4. 마지막 심판은 공의롭고 엄숙하다
— 235
제 4 부 재림심판의 본질
— 235
1. 재림심판
— 235
2. 집행하는 행위인가 조사하는 과정인가?
— 235
3. 재림심판의 오해
— 235
4. 마지막 심판의 통일성과 종국성
— 235
5. 마지막 심판에 대한 재림교회의 견해
— 235
각주
— 235
제 14 장 조사심판과 재림소망
— 253
제 1 부 마지막 심판의 재림 전 국면
— 253
1. 심판의 실재에 대한 성서적 강조
— 253
2. 예수님의 가르침에 나타난 재림 전 심판
— 253
3. 바울 서신에 나타난 재림 전 심판
— 253
4. 계시록에서의 재림 전 심판
— 253
5. 다니엘서에서의 재림 전 심판
— 253
6. 대속죄일의 표상 속에서 본 재림전 심판
— 253
7. 대속죄일의 하늘 원형
— 253
제 2 부 마지막 심판의 재림 후 국면
— 253
1. 재림 후 심판의 진상
— 253
2. 재림 후 심판의 범위와 근거
— 253
3. 재림 전 심판과 재림 후 심판의 한계
— 253
제 3 부 마지막 심판의 결과
— 253
1. 두 결과
— 253
2. 보편 구원설
— 253
3. 영원한 형벌
— 253
4. 영원한 멸절
— 253
제 4 부 마지막 심판의 신학적 의의(意義)
— 253
1. 초월적인 도덕적 질서
— 253
2. 개인의 가치를 보여 주심
— 253
3.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의 옹호
— 253
4. 소망과 신뢰의 근거
— 253
5. 결론
— 253
각주
— 253
제 15 장 재림소망의 절정
— 291
제 1 부 그리스도의 강림의 방법
— 291
1. 인격적 재림
— 291
2. 볼 수 있게 오심
— 291
3. 갑작스런 강림
— 291
4. 영광스런 승리의 강림
— 291
5. 구름 타고 오심
— 291
제 2 부 그리스도의 강림의 목적
— 291
1. 구속받은 자들을 모음
— 291
2. 신자들과 불신자들의 부활
— 291
몸의 부활
— 291
부활한 몸의 특성
— 291
몸의 부활이 의미하는 것
— 291
3. 마지막 심판
— 291
제 3 부 그리스도의 강림의 결과
— 291
1. 이 세상의 회복
— 291
2. 지구를 다시 새롭게 하는 이유들
— 291
3. 새 땅에 대한 성서적 견해
— 291
4. 새 땅의 생활을 예상해 봄
— 291
결 론
— 291
각주
— 291
제 16 장 재림의 소망을 실천함
— 323
제 1 부 재림의 소망을 실천함
— 323
1. 피해야 할 두 위험
— 323
2. 앞을 내다보며 생애함
— 323
3. 영으로 생애함
— 323
4. 균형진 생애를 함
— 323
제 2 부 재림의 소망을 함양함
— 323
1. 예배
— 323
2. 주의 만찬
— 323
3. 안식일
— 323
신학적 보증
— 323
실제적 기회들
— 323
4. 증거함
— 323
5. 재림의 징조들
— 323
결 론
— 323
각주
— 323
참고 문헌
— 345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