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망 없는 인류를 위한 재림의 소망 제 8 장 하나님의 은혜의 징조와 재림소망
 전도 자원들. 더 나아가 기독교는 오늘날 전대 미문의 양과 질의 자원 곧 봉사 기구들, 교육과 의료 기관들, 자국과 외국의 사역자들, 서적과 간행물들, 1,800이 넘는 언어로 기록된 성경들,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 그리고 놀랄 만한 재정적 자금들을 가지고 있다. 성령의 지도 하에 있는 헌신한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활용되는 이와 같은 자원들이 우리의 시대에 전세계를 복음화 하고자 하는 일을 현실적으로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115.2)
 아마도 오늘날 활용되고 있는 자원 중 가장 멀리까지 미치는 복음적 자원은 기독교 방송이다. 금세기의 1921년에 와서야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었다. 1980년까지 그리스도인의 라디오와 텔 레비전 프로그램은 매달 9억 9천만명이 넘는 청중들에게 고정적으로 전달되었다. 세계 기독교 백과사전이 지적한 것처럼 오늘날 이와같은 유용한 인적 및 기술적 자원에 비추어 “아직 마쳐지지 않은 세계 복음화 일의 국면들은 현재 가톨릭과 개신교 선교 조직체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적다는 사실이다.”17 (115.3)
 분명히 세계의 복음화를 마치는 일은 단지 인간의 자원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거룩한 능력의 부여에 달려 있다.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비할 데 없는 인간과 기술 자원들은 온 세상에 복음을 전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성취하기 위해 성령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115.4)
 9. 재림교회의 복음화
 재림 신도들은 재림 운동을 세계의 복음화라는 현저한 재림 징조를 성취시키기 위해 하나님께서 사용하신 도구들 중의 하나로 본다. 그들은 속히 오시는 구주에 대한 구원의 복된 소식을 온 세상에 선포하고 모든 사람이 그분을 맞이할 준비를 하도록 초청하는 일을 위하여 존재하게 된 하나님의 세계적인 신자들의 무리 중 하나로 인식한다. (115.5)
 교회의 명칭이 암시하고 있는 것처럼,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들은 그분의 오시는 날에 공중에서 주를 만날 준비의 주요 국면이 그분의 거룩한 안식일의 시간 속에서 주를 만날 준비를 매주일 하는 것으로 믿고 있다. 달리 말한다면, 주일(週日) 중 주의 날은 신학적으로나 실존적으로 주의 마지막 날과 상호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115.6)
 성장의 유형.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의 성장의 형태는 적어도 한 측면에 있어서는 범세계적인 기독교와 흡사하다. 일반 기독교와 같이 세기가 바뀔 때에도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는 여전히 지배적인 서방 종교 중의 하나였다. 대총회의 통계 보고에 따르면 세기가 바뀔 때(1902),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의 93%(72.156)가 북아메리카와 유럽에 살았으며 7명의 교인(5.396)만이 세계의 여타 지역에 살았다.18 (115.7)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의 현저한 변화는 20세기 중에 일어났는데, 1902년에 전교인이 77,000명에서 1983년 7월에는 4백만명으로 숫적인 증가를 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적으로도 확 장되었다. 실제로 1982년 말까지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의 21퍼센트만이 북미와 유럽에 살았으며, 반면에 79%가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주, 호주 그리고 뉴질랜드에 살았다.19 (116.1)
 만약 이런 추세로 계속된다면 향후 20년 후에는 서방 세계의 재림교도들은 겨우 전세계 교인의 10%에 불과할 것이다. 이것은 백년도 채 못되어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가 미국 중심의 교회에서 전세계의 90%에 달하는 국가에 세워진 세계 교회로 성장했으며, 각기 다른 문화, 종족, 언어 집단 그리고 정치적 제도에 있는 백성들을 망라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116.2)
 재림교회 선교의 영향. 숫적으로 재림교회는 기성 기독교회들에 비해 아직 적지만 세계의 복음화에 있어서는 비교적 그 적은 숫자를 능가한다. 사실, 오늘날 재림교회는 184개국에서 복음을 선포하고 있으며, 선교 지역에 가장 많은 수의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고(약 3, 200명), 또한 420개의 병원 및 진료소, 82개의 종합대학과 단과대학, 844개의 중고등학교, 50개의 출판소, 매주일 운영되는 3, 500곳의 라디오와 TV방송센타, 성경통신학교 등 세계적으로 연결된 기관을 운영하고 있는 교회로서, 모든 개신교회 중 가장 널리 복음을 전파하고 있다.20 (116.3)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영향. 그러나 한 교회의 세계 복음화의 영향은 지리적 확장, 기관의 강성 및 숫적인 증가에 의해서만 국한될 수 없으며, 오히려 사랑, 화평, 죄의 형벌과 권세로 부터의 자유, 희락, 소망, 의미 있는 삶, 파멸적인 습관으로부터의 치료 그리고 사회적, 도덕적 개혁과 같은 복음의 열매들을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와같은 표준들에 따라 측정한다면, 재림교회는 비교적 적은 신도수에 걸맞지 않게 모든 국가에 구원의 복된 소식을 선포하는 사명을 성취하기 위해 하나님에 의해 크게 사용되어 왔다. (116.4)
 재림교회의 선교의 영향에 대한 예를 들면, 1982년에는 여러 정부와 국제 기구가 여러 나라의 사람들을 돕기 위하여 1천 6백만불 이상의 돈을 재림교회의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했다는 사실에서 지적되고 있다. 또 다른 지적은 제3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실시한 정부의 인구조사 보고에 따르면 교회에 등록된 실제 수보다 세 배에서 다섯 배나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재 림교인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116.5)
 대총회의 세계 선교 연구소 소장인 고트프리드 오스터발(Gottfried Oosterwal) 박사는 이와 같은 익명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의 수는 현재 세계적으로 줄잡아 약 1천만명 정도로 추산된다고 하였다.21 (116.6)
 결 론
 세계적 선교. 세계 복음화라는 현저한 재림 징조에 관한 간단한 연구를 통하여 그 성취가 우리의 시대에 전대 미문의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보았다. 일반 기독교와 특별히 재림교는 숫자와 지역 확장에 있어서 모두 20세기 동안 두드러진 성장을 지배적이었던 서구의 백인 종교에서 기독교나 재림교회는 사상 처음으로 세계 모든 국가에 실제적으로 복음을 선포하는 범세계적인 종교가 되었다. (116.7)
 비할 데 없는 자원. 비록 전세계를 복음화 하는 사명이 아직 끝나지는 않았지만—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아직도 기독교, 그리스도 그리고 복음에 대해 모르고 있음-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빨리 그 사명을 완수할 수 있게 하는 비할 데 없이 풍부하고 다양한 자원을 하나님께로부터 공급받았다. 이것은 전세계에 복음이 선포되는 놀라운 재림의 징조가 우리의 시대에 독특한 방법으로 성취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징조의 성취는 “인자가 가까이 곧 문앞에 이”(마 24:33)르렀다는 것을 믿을 만한 이유를 우리에게 준다. (117.1)
 각주
 1. “모든 나라들에 복음을 전파하는 것은 가장 특징적이면서 두드러진 징조이다. 그것은 현시대에 최우선의 의미와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고 훼케마(Anthony A. Hoekema)는 올바르게 지적하고 있다(The Bible and the Futurel 〔Grand Rapids, 1979〕, p. 138). 유사하게 벌카워(G. C. Berkouwer )는 “마지막 날에 복음을 전파하는 것은 모든 창조 가운데 핵심이다. 그 안에서 모든 징조들은 이해될 수 있고, 이해되어야만 한다”고 쓰고 있다(The Returon of Christ〔Grand Rapids, 1972〕, p. 251).

 2. 밑줄친 부분 강조.

 3. 밑줄친 부분 강조.

 4. 밑줄친 부분 강조.

 5. 밑줄친 부분 강조.

 6. David B. Barrett, ed., World Christian Encyclopedia. A Comparative Study of Churches and Religions in the Modern World A.D. 1900~2000(Oxford University Press, 1982), p. 3.

 7. Global Table I in World Christian Encyclopedia(n. 6), p. 3을 참조하라.

 8. Ibid., pp. 3~5.

 9. Global Table 2 in World Christion Encyclopedia(n. 6), p. 4을 참조하라.

 10. Ibid., p. 5.

 11. Ibid., p. 6.

 12. Ibid., p. 3; 밑줄친 부분 강조.

 13. Ibid., p. 13.

 14. Ibid., p. 13; 또한 Global Tables 12와 31을 보라.

 15. Ibid., p. 19.

 16. Ibid., p. 18; Global Tables 10을 보라.

 17. Ibid., p. 19. 저자는 계속해서 “평균해서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1900년 대에 기독교인보다 비기독교인들을 평균 2.4배 복음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하고 있다.

 18.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August 18, 1904), p. 15.

 19. 120th Annual Statistical Report, 1982, Compiled by Office of Archives and Statistic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p. 1.

 20. 고트프리드 오스터발(Gottfried Oosterwal, “The Seventh day Adventist Church in the World Today” in Servants for Christ, ed. Robert E. Firth(Berrien Springs, 1980). pp. 1497 Seventh-day Adventist Yearbook 1984을 참조하라.

 21. Gottfried Oosterwal(n. 20), p. 5. (1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