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든 나라들에 복음을 전파하는 것은 가장 특징적이면서 두드러진 징조이다. 그것은 현시대에 최우선의 의미와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고 훼케마(Anthony A. Hoekema)는 올바르게 지적하고 있다(
The Bible and the Futurel 〔Grand Rapids, 1979〕, p. 138). 유사하게 벌카워(G. C. Berkouwer )는
“마지막 날에 복음을 전파하는 것은 모든 창조 가운데 핵심이다. 그 안에서 모든 징조들은 이해될 수 있고, 이해되어야만 한다”고 쓰고 있다(
The Returon of Christ〔Grand Rapids, 1972〕, p. 251).
2. 밑줄친 부분 강조.
3. 밑줄친 부분 강조.
4. 밑줄친 부분 강조.
5. 밑줄친 부분 강조.
6. David B. Barrett, ed.,
World Christian Encyclopedia. A Comparative Study of Churches and Religions in the Modern World A.D. 1900~2000(Oxford University Press, 1982), p. 3.
7. Global Table I in
World Christian Encyclopedia(n. 6), p. 3을 참조하라.
8.
Ibid., pp. 3~5.
9. Global Table 2 in
World Christion Encyclopedia(n. 6), p. 4을 참조하라.
10.
Ibid., p. 5.
11.
Ibid., p. 6.
12.
Ibid., p. 3; 밑줄친 부분 강조.
13.
Ibid., p. 13.
14.
Ibid., p. 13; 또한 Global Tables 12와 31을 보라.
15.
Ibid., p. 19.
16.
Ibid., p. 18; Global Tables 10을 보라.
17.
Ibid., p. 19. 저자는 계속해서
“평균해서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1900년 대에 기독교인보다 비기독교인들을 평균 2.4배 복음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하고 있다.
18.
Advent Review and Sabbath Herald(August 18, 1904), p. 15.
19.
120th Annual Statistical Report, 1982, Compiled by Office of Archives and Statistic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p. 1.
20. 고트프리드 오스터발(Gottfried Oosterwal,
“The Seventh day Adventist Church in the World Today” in
Servants for Christ, ed. Robert E. Firth(Berrien Springs, 1980). pp. 1497
Seventh-day Adventist Yearbook 1984을 참조하라.
21. Gottfried Oosterwal(n. 20), p. 5.
(1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