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세계적 영향. 비록 근대의 세대주의(moderm Dispensationalism)가 특히 북미에서 인기가 있지만 그 영향은 다른 나라에서도 파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화란계 학자인 코넬리우스 반데르 바알(Comelius Vanderwaal)은
“할 린제이가 네덜란드에 나타났을 때 신실한 칼빈교도까지도 쌍수를 들어 그의 세대주의를 환영하였다. 미래에 대한 그의 예언은 수용 및 신봉되었다”15라고 기록한다. 그러한 영향에 놀라 반데르바알(Vanderwaal)은 그가 세대주의의 해석을 비평적으로 분석하는 책을 쓰지 않으면 안 되겠다고 느꼈다. 할 린제이는 그 자신의 예언에 대한 예기치 않은 압도적인 범세계적 반응에 대해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대 유성 지구의 종말”(The Late Great Planet Earth)을 출판한 후에 린제이는
“실제로 나는 세계 각 곳으로부터 편지와 전화를 받고 있다”16라고 기록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그의 책은 31개 국어로 번역되어 50여 개국에 배포되었다. 그렇다면 세대주의는 더 이상 미국만의 현상이 아니요, 지구 전역의 문제로 부각 되어지는 현상이 되었다.
(1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