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망 없는 인류를 위한 재림의 소망 제 10 장 하나님의 심판의 징조들과 재림소망
 유독성 쓰레기. 대기, 수질 그리고 토지에다 이토록 전례없는 쓰레기들을 축적하고 처분함으로—그것들 일부는 유독하고 위험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세계의 여러 곳에서 공포가 야기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나이아가라 폭포 근처의 라브카날과 미조리의 타임 비치 등에 있는 온 동네가 철거되었는데 그것은 토지와 수질 가운데서 발견된 독성 쓰레기들로 인하여 사람이 거주하기에는 안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64.1)
 뉴욕과 로스앤젤레스 같은 다른 도시들에서는 대기 오염 물질로 인해 자녀들과 노인 그리고 호흡기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해마다 100일 이상 외출하지 말도록 경고하고 있을 정도로 건강에 유해한 수준에 달하고 있다. 대기와 수질을 정화시키기 위해서 미국은 1980년대에 6천 9백억 달러를 소비할 예정이다.32 (164.2)
 오염 문제는 결코 미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마을과, 도시와 그리고 산업계의 처리하지 않은 오물과 쓰레기로 오염된 인도의 갠지스 강은 1500마일 주변에 살고 있는 2억이 넘는 사람들의 건강에 위험이 되고 있다. (164.3)
 유 에스 뉴스 엔드 월드 리포트지에 의하면 “거대한 마닐라에서는 약 600만명의 사람들이 과학자들이 마시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물을 마시지 못하고 있다”33고 한다. 본 기사는 소련, 중국, 극동, 중동, 유럽 그리고 남미의 오염 문제에 관해 보도하고 있고, “오염은 미국에만이 아닌 세계적이다” 34라고 결론짓고 있다. (164.4)
 산성비. 1980년대의 가장 널리 퍼진 오염 문제는 소위 “산성비(Acid Rain)”이다. 지구의 여러 곳에서 비가 공장과 발전소와 그리고 자동차에서 연료가 연소함으로 생기는 오염 물질과 대기 중에 있는 희석된 유황산과 질산과 섞여서 내리고 있다. 최근 U.N.의 한 연구에 따르면, 유럽과 북미의 5백만 내지 천만평방 킬로미터가 산성비의 영향을 받고 있다.35 산성비가 내리는 이유는 각 나라에서 생기는 오염 물질에 의한 것 뿐만 아니라 이웃 나라들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한 오염 물질로도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캐나다 사람들은 방사성 낙진의 절반이 미국의 방사능 물질에 의한 것이라고 불평하고 있다. 스칸디나비아 사람들도 그들의 문제의 75퍼센트가 영국과 유럽의 방사능 물질 탓으로 돌리고 있다. 산성비의 발생과 대기 중에 떠 있는 오염 물질로 인해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끼친 피해는 이루 헤아릴 수가 없다. 스웨덴의 20,000개의 호수가 산성비로 오염되어 그것들 중 6,000개가 살아 있는 고기가 없는 죽은 호수로 추정되고 있다. 산성비는 금속을 포함한 대부분의 물질의 부식을 가속시키고 있다.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 밀라노 성당, 그리고 로마의 트랴얀 기둥과 같은 세계적인 기념물의 일부가 산성비로 부식되고 있다. “통계 연구에 따르면 도시의 오염된 공기를 마시고 사는 사람들은 오염되지 않은 시골 공기를 마시고 사는 사람들보다 더 질병을 많이 겪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36 (164.5)
 지구의 대기, 물, 토양이 얼마나 더 오염을 들여 마셔야 인간과 동물의 생명이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위협 받게 될지 확신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분명한 것은 현재와 같은 추세로 지속된다면 이 지구의 생명 유지 장치의 붕괴는 조만간 피할 수 없고 돌이킬 수 없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164.6)
 온실 효과. 또 다른 놀랄 만한 공해 문제는 소위 “온실 효과”(greenhouse effect)라는 것이다. (164.7)
 화석 연료(석탄, 기름 그리고 천연 가스)를 태우고 벌목함으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수준을 끊임없이 증가시키고 있다. 이 보이지 않는 가스는 녹색 식물에 절대로 필요하지만, 그것이 식물이나 대양이 흡수할 수 있는 수용 능력을 초과할 정도로 증가하면 이 가스는 마치 뜨거운 담요처럼 되어 버린다. (164.8)
 온실의 유리와 같이 그것은 태양 광선을 통과시키지만 지구가 발산한 열을 우주로 되돌려 방출할 수 없게 한다. 그 결과 이산화탄소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는 더욱 뜨거워지게 된다. 이것이 반복해서 더워지면 대기 중의 수증기를 증가시키고 열을 막는 또 다른 “온실” 가스를 추가시킨다. (165.1)
 1983년 8월에 환경 보호 관리국과 국립 과학 연구원이 발표한 새로운 연구는 만약 이러한 추세로 계속된다면 “1990년대 초에 기후 변화를 느끼게 될 것이다”라고 예고하고 있다. 기온은 2040년에 이르면 화씨 4도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온이 오르면 눈과 얼음이 녹을 것이고, 극지의 만년설들은 줄어 들게 될 것이다. 바다의 높이는 2025년까지 2피트까지 상승할 것이며 그것에 의해서 낮은 해안 지역은 범람하고 강우 형태에 크게 영향을 줄 것이다.37 (165.2)
 아직도 답을 제시 못하는 문제가 있지만 만약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현재와같이 계속 증가되면 지구에서의 삶은 심각한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데에 의심하는 과학자들은 거의 없다. 구름으로 덮인 금성(지표면의 온도가 화씨 900도가 됨)의 온실 효과를 연구하고 있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브라이언 툰(Brian Toon)은 결론짓기를 “우리는 이제 지구에도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확실히 보여 주는 위기의 선상에 살고 있다”38고 했다. (165.3)
 2. 천연 자원의 고갈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은 환경의 오염뿐만 아니라 천연 자원의 고갈에 의해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조사되었다. 데니스 메도우스(Dennis Meadows) 교수는 그의 책 성장의 한계(The Limits of Growth)에서 경고하기를, 다른 파괴적인 재난이 끼어들지 않는다 할지라도 지구의 자원에 대한 현재의 강탈은 인류의 궁극적인 파멸의 원인이 될 것이라고 했다. (165.4)
 메도우스는 향후 15년이 지나면 인류는 인류 역사의 전 기간에 걸쳐 채취해 왔던 만큼의 원료를 동원해야 한다고 지적한다.39 예상된 인구 증가에 따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코넬대학의 데일. 이. 바우만(Dale E. Bauman) 교수는 “우리는 전 역사의 과정 속에서 생산해 왔던 만큼의 식량을 다음 40년 동안에 생산해 내야 할 것이”40라고 지적한다. (165.5)
 황폐화 현상. 식량, 에너지, 그리고 광물질에 대한 인간의 요구는 터무니없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유용 자원은 감소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작물 경작지가 세계 여러 곳에서 토양의 침식 작용, 산림 벌채 그리고 사막이 늘어난 결과로 감소하고 있다. U. N.의 한 연구는 “세계의 사막은 2000년에 이르면 20퍼센트까지 확대될 것이다. 해마다, 6백만 헥타르가 소실되고 농지의 2백 6십만 헥타르를 포함한 2천만 헥타르가 쓸모없게 될 것이다”라고 추정하고 있다.41 (165.6)
 “예를 들면, 아프리카에서는 지역의 절반 이상이 황폐화 현상에 영향을 받거나 위협을 받고 있다 ∙∙∙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현재 심각한 황폐 현상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는 1천 7백 5십만 평방 킬로미터에 달하는 지역에 2천 5백만명의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42 (165.7)
 동 연구는 지적하기를 중국, 인도, 아프카니스탄, 방글라데쉬 그리고 파키스탄과 같은 나라들은 “사막의 잠식이 증가되고 있고 방목지가 황폐화 되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43 (165.8)
 이러한 황폐화 현상의 진행을 어떤 나라에서는 지나친 방목의 결과로 보고 있는 반면, 다른 나라들은 산림 벌목과 토양 침식의 결과로 보고 있다. 원인이야 어떻든 간에 만약 현재와 같은 추세로 계속되면 경작지에 대한 수요는 불원간 공급을 훨씬 넘을 것이라는 사실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166.1)
 에너지 자원. 고갈되고 있는 다른 자원들 가운데 기름, 가스 그리고 금속이 남아 있다. 대 부분의 전문가들은 현재의 소비를 근거로 하면 세계의 비축된 탄소 함유 연료는 향후 50년 내지 70년 이내에 거의 고갈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무성을 위해 준비된 1975년의 미국 지질 조사의 보고에 따르면, 세계의 기름과 가스 비축물은 현재 추세로 소비하면 “세기 말에는 감소될 것이고, 2030년까지는 완전히 고갈될 것이다”45라고 평가하고 있다. (166.2)
 광물질. 광물질의 고갈은 매우 경종을 울릴 정도이다. 어떤 전문가들은 18가지의 중요한 광물질 생산품—석탄, 철, 구리 그리고 알루미늄 같은—중에 현재의 소비율로 소모되면 그것들 중 오직 8가지만이 2000년을 넘어서도 계속 남아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46 (1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