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우레(C. F. D. Moule)는 복음서 기자의 의도는
“예수의 봉사에서 일어났던 분명한 이야기”를 확실히 복음적인 목적을 위해 기록하는 것이었다고 강조한다(
“The Intention of the Evangelists,” in
New Testament Essays, ed. A. J. B. Higgins 〔Grand Rapids, 1959〕, p. 176).
2. 본장에서 토론되지 않은 나머지 다른 재림에 대한 귀절들은
마 19:28; 눅 17:22; 마 10:23; 눅 18:18에 나타난다.
3. 다양한 견해들의 짧막한 토론을 위해서는 래드(George Eldon Ladd)의 신약 신학(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1974〕. pp. 197~198)을 참조하라
4. 이 견해는 크랜필드〔C. E. B. Cranfield〕에 의해
“St. Mark 13” Scottist Jourmal of Theology 6(1953):297~300에서 전개되었다.
5. Ralph Earle,
What the Bible Says About the Second Coming (Grand Rapids, 1973), p. 27.
6.
고전 15:23; 살전 2:19; 3:13; 4:15; 5:23; 살후 2:1, 8.
7.
살후 2:8; 딤전 6:14; 딤후 4:1, 8; 딛 2:13.
8. 바울은 또한 신의 현현에 대한 구약 언어에 영향을 분명히 받았다. 구약은 하나님에서 영광 중에 나타나셔서 심판을 베풀고 그의 왕국을 건설한 그날을 기대하고 있다(
사 2:12~22; 26:31; 35:4; 40:10; 슥 14:5)
9. 밑줄친 부분 강조.
10. 밑줄친 부분 강조.
11. 밑줄친 부분 강조.
12.
계 4:8; 6:10, 17; 11:15; 14:14; 16:15, 20; 19:7, 17; 21:11, 21; 22:7, 17.
(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