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다니엘서 새 연구
제 1 장 총론
— 2
I. 다니엘서 연구의 목적과 중요성
— 2
가. 다니엘서 연구의 목적
— 2
나. 다니엘서 연구의 중요성과 유의점
— 2
II. 다니엘서에 관한 비평과 반증
— 2
가. 저자와 연대에 관한 비평
— 2
가) 역사가 요세푸스의 증언
— 2
나) 마카비서(Maccabes)의 증언
— 2
다) 구약성서 정경(正經) 목록의 증언
— 2
라) 다니엘서에 쓰여진 아람어의 증언
— 2
마) 사해(死海) 사본의 증언
— 2
바) 동시대의 선지자 에스겔의 증언
— 2
사) 사도 요한과 바울의 증언
— 2
아) 예수 그리스도의 결론적인 증언
— 2
나. 헬라어 사용에 대한 비평과 반증
— 2
다. 헬라어 사용에 대한 비평과 반증
— 2
라. 바벨론의 건설자에 대한 시비와 반증
— 2
마. 다니엘 1:1절과 예레미야 25:1의 연대 차이에 대한 비평과 반증
— 2
III. 역사적 배경
— 2
가. 앗시리아(Assyria)
— 2
나. 신바빌로니아(Neo-Babylonia)
— 2
다. 북방 이스라엘과 남방 유다
— 2
가) 통일 왕국 시대(1050-931 BC)
— 2
나) 북방 이스라엘 (931-722 BC)
— 2
다) 남방유다(931-586 BC)
— 2
IV. 다니엘서의 개요
— 2
가. 역사적 부분(1장-6장)
— 2
나. 예언적 부분(7장-12장)
— 2
가) 첫번 째 계시(2장)
— 2
나) 두번 째 계시(7장)
— 2
다) 세번 째 계시(8장, 9장)
— 2
라) 네번 째 계시(10장-12장)
— 2
V. 다니엘서의 주제
— 2
가. 마지막 때에 관한 책
— 2
나. 심판에 관한 책
— 2
다. 성소에 관한 책
— 2
라. 재림과 인자(人子)에 관한 책
— 2
제 2 장 바벨론의 하나님의 대사들(단 1장)
— 31
I. 구속의 경륜의 현장
— 31
II. 바벨론의 종교적 배경
— 31
III. 포로의 상반(相反)된 목적
— 31
가. 포로에 대한 바벨론의 목적과 방안
— 31
가) 교육을 통한 동화책(同化策)
— 31
나) 식생활을 통한 동화책
— 31
다) 개명(改名)을 통한 동화책
— 31
라) 후대(厚待)와 번영을 통한 동화책
— 31
나. 포로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
— 31
IV. 다니엘을 통한 하나님의 승리
— 31
가. 다니엘의 의지(意志)
— 31
나. 다니엘의 절제와 건강
— 31
가) 육식(肉食)
— 31
나) 주정 음료술
— 31
다) 사치스럽고 화려한 음식.
— 31
가) 채식
— 31
나) 물
— 31
다. 다니엘의 교육
— 31
라. 다니엘의 신앙과 성품
— 31
마. 별처럼 빛난 생애
— 31
부 록 — 식생활 방식과 건강과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
— 31
가.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
지(誌)의 증언
— 31
나. 세계 장수촌의 장수 비결
— 31
다. 미국 암 협회의 항암 비결
— 31
라. 최신 의학의 확증
— 31
제 3 장 역사를 주장하시는 하나님(단 2장)
— 52
I. 바벨론의 종교와 학문의 패배
— 52
가. 바벨론에 대한 도전
— 52
II. 다니엘을 통해 이기시는 하나님
— 52
가. 지혜의 활용 (2:14-15)
— 52
나. 믿음의 활용 (2:16)
— 52
다. 기도의 활용(2:17-19)
— 52
라. 찬양의 활용 (2:19-23)
— 52
III. 꿈 같은 역사의 진상(眞相)
— 52
1. 꿈을 깨뜨린 꿈 (2:1-30)
— 52
2. 역사라는 꿈의 진상 (2:31-45)
— 52
가. 금 나라—신바빌로니아 (Neo-Babylonia; 605-539 BC)
— 52
나. 은 나라—메대와 페르샤 (Medo-Persia; 539-331 BC)
— 52
다. 구리제국—그리스 (Greece; 331-168 BC)
— 52
라. 철나라 —로마 (Rome; 168 BC -AD 476)
— 52
마. 열 발가락의 열국시대 (AD 476-재림까지)
— 52
가) 쪼개지는 로마제국 (AD 351-476)
— 52
나) 동상이몽(同床異夢)의 열국시대 (476~재림까지)
— 52
다) 깨뜨려진 꿈-현대라는 악몽(惡夢)
— 52
바. 돌 나라 - 하나님의 왕국 (2:34, 35, 44, 45)
— 52
가) 「사람의 손으로 하지 아니하고 ∙∙∙ .」
— 52
나) 자연석의 나라
— 52
다) 영광의 왕국
— 52
IV. 교훈과 의의
— 52
가. 퇴락(頹落)해 가는 인간 세계
— 52
나.
“하늘에 하나님이 계시다”
— 52
다. 바벨론에 보내신 첫번째 기별
— 52
라. 참되고 확실한 예언
— 52
마. 밝아오는 미래
— 52
제 4 장 신앙의 자유와 불 시련(단 3장)
— 69
I. 느브갓네살의 금 신상
— 69
가. 신상의 크기
— 69
나. 신장의 자료—금
— 69
다. 장소—두라 평지
— 69
II. 금 신상을 만든 목적
— 69
가. 만세(萬歲) 왕국을 위한 몸부림
— 69
나. 고고학의 새로운 빛
— 69
III. 강요되는 예배— 우상 숭배
— 69
IV. 풀무 불의 시련과 승리
— 69
가. 촛점이 된 세 젊은이
— 69
나. 진정한 신앙고백
— 69
가) 뜻을 정한 젊은이들
— 69
나) 영원한 신앙고백
— 69
다. 불 속의 하나님
— 69
II. 교훈과 의의
— 69
가. 역전(逆轉)된 사람의 노(怒)
— 69
나. 진정한 종교자유의 원칙
— 69
다. 바벨론에 보내신 두번째 기별
— 69
가) 둘째 천사의 기별—바벨론 종교의 붕괴
— 69
나) 고대 바벨론과 현대 바벨론
— 69
다) 다니엘 3장과 계시록 13장의 우상
— 69
라. 구원에 능하신 하나님
— 69
제 5 장 느부갓네살의 참회록(단 4장)
— 82
I. 거듭난 대왕의 조서(詔書)
— 82
가. 이방 왕이 기록한 성경
— 82
나. 최대의 기적 — 느브갓네살의 회심
— 82
II. 큰 나무 느브갓네살의 꿈
— 82
가. 두려움과 번민으로 떠는 거목(巨木)
— 82
가) 「편히 있으며 평강할 때」
— 82
나) 한 꿈을 꾸고 두려워하였으며
— 82
나. 느브갓네살의 나무 꿈
— 82
가) 무능한 인간의 지성과 종교
— 82
나) 거대한 나무 느브갓네살
— 82
다) 위대한 사자(使者) 다니엘
— 82
다. 집행된 집행유예
— 82
가) 1년의 집행유예
— 82
나) 「내가 건설한 이 큰 바벨론」
— 82
라. 수심(獸心)인간—
“리칸드로피”
— 82
마. 정신 이상에 대한 고고학의 새로운 빛
— 82
III. 느브갓네살의 회복과 신생
— 82
가. 건강과 영광의 회복
— 82
가) 「기한이 차매」
— 82
나) 「우러러 보았더니 ∙∙∙ 총명이 ∙∙∙ 돌아온지라」
— 82
나. 거듭난 대왕의 신앙고백
— 82
IV. 교훈과 의의
— 82
가. 진정한 도움과 약물 종교
— 82
가) 진정한 도움
— 82
나) 바벨론의 약물종교
— 82
나. 진정한 역사 철학
— 82
다. 바벨론에 보내신 세번째 기별
— 82
제 6 장 바벨론의 멸망(단 5장)
— 98
I. 멸망까지의 역사적 배경
— 98
가. 바벨론의 신원(身元) 확인
— 98
나. 함락 당시의 바벨론 왕
— 98
다. 느브갓네살에서 벨사살까지
— 98
라. 느브갓네살과 벨사살의 관계
— 98
II. 바벨론 멸망의 전야(前夜)
— 98
가. 마지막 잔치
— 98
가) 공포를 달래는 잔치
— 98
나. 술과 여자와 우상의 제전(祭典)
— 98
가) 환락의 밤— 술과 여자
— 98
나) 우상의 제전과 신성모독
— 98
다. 하나님의 손가락
— 98
라. 벽 위에 쓴 글자
— 98
가) 신령한 기별 — 벽에 쓴 글자
— 98
나) 신령한 사람 — 다니엘
— 98
마. 다니엘의 주석 설교
— 98
가) 역사적 서론
— 98
나) 단도직입적인 본론
— 98
다) 본문의 내용
— 98
III. 바벨론의 멸망과 예언
— 98
가. 바벨론의 멸망에 관한 예언
— 98
나. 멸망에 관한 예언의 성취
— 98
IV. 교훈과 의의
— 98
가. 바벨론 멸망의 원인
— 98
나. 바벨론 멸망의 구속사적 의의
— 98
다. 인생과 역사의 무상(無常)
— 98
가) 인생의 무상
— 98
제 7 장 위대한 노년(단 6장)
— 116
I. 메대 제국의 역사적 배경과 다리오
— 116
가. 메대 제국과 페르샤의 초기 역사
— 116
나. 다리오의 신원
— 116
가) 성경상의 진술
— 116
나) 고대 역사의 기록
— 116
다) E. G White 의 진술
— 116
다. 메대 사람 다리오 왕의 신원에 관한 견해들
— 116
II. 위대한 원로 정치가
— 116
가. 제일인자 다니엘
— 116
나. 마음이 민첩한 사람
— 116
다. 위대한 노년
— 116
라. 탁월함의 대가
— 116
III. 사자 굴의 시련
— 116
가. 시련의 속성과 실제
— 116
가) 시련의 속성
— 116
나) 시련의 실제
— 116
다) 자기 숭배의 함정
— 116
나. 위대한 신앙인
— 116
가) 변함없는 신앙
— 116
나) 값 비싼 기도
— 116
다) 승리의 비결
— 116
다. 위대한 승리
— 116
가) 철저한 집행— 완벽한 구원
— 116
나) 드높여진 하나님
— 116
IV. 교훈과 의의
— 116
가. 다리우스 원년의 사건
— 116
나. 다니엘과 고레스
— 116
제 8 장 예언에 나타난 대 제국들(단 7장)
— 133
I. 세계 역사의 두번째 대요(大要)
— 133
가. 반복된 역사의 대요
— 133
나. 2장과 7장
— 133
다. 계시가 주어진 연대 (7:1)
— 133
II. 네 짐승에 관한 계시
— 133
1. 네 짐승의 출현(7:2-8)
— 133
2. 계시에 대한 해석
— 133
가. 하늘의 네 바람(7:2)
— 133
나. 큰 바다(7:2)
— 133
3. 네 짐승들(7:3)
— 133
가. 첫번째 짐승 — 신바빌로니아(바벨론)
— 133
나. 두번째 짐승-메대와 페르샤(바사)
— 133
가) 곰 같은 나라
— 133
나) 성서 역사적 배경
— 133
다. 세번째 짐승—그리스(헬라)
— 133
라. 네번째 짐승 — 로마제국
— 133
가) 철의 제국
— 133
나) 부숴뜨리고 빻는 제국
— 133
다) 무섭고 놀라운 짐승
— 133
라) 열 뿔을 가진 짐승
— 133
III. 작은 뿔에 관한 계시
— 133
1. 작은 뿔의 신원
— 133
2. 작은 뿔의 특성과 역할
— 133
가. 작게 시작된 큰 세력(7:8, 20, 24)
— 133
나. 열 나라 가운데서 일어난 나라(7:8)
— 133
다. 이전의 나라들과 다른 나라(7:24)
— 133
라. 세 나라들을 뿌리뽑음 (7:8)
— 133
마. 사람의 눈을 가진 나라(7:8)
— 133
바. 큰 말하는 입을 가진 나라(7:8)
— 133
사. 성도를 핍박할 세력(7:25)
— 133
아. 때를 변경하려 함(7:25)
— 133
자. 법을 변경하려 함(7:25)
— 133
가) 안식일을 변경함(넷째 계명)
— 133
나) 십계명의 단축 및 삭제
— 133
차. 1260년 간 전성함(7:25)
— 133
IV. 하나님의 심판에 관한 계시
— 133
가. 심판의 장면
— 133
가) 보좌와 옛적부터 계신 분(7:9)
— 133
나) 조사심판의 개정(開廷)(7:10)
— 133
다) 심판의 기록들(7:10)
— 133
라) 생명책(The Book of Life)
— 133
마) 기념책(The Book of Remembrance)
— 133
바) 죄의 책 (A Record of the Sins of Men)
— 133
나. 심판의 내용
— 133
가) 성도를 위한 심판(단 7:22)
— 133
나) 인자(人子)의 등장(7:13)
— 133
다) 그리스도의 영원한 통치(7:14)
— 133
라) 다니엘의 번민(7:15, 28)
— 133
제 9 장 세상 역사의 초점(단 8장)
— 168
I. 8장의 배경과 개요
— 168
가. 계시가 주어진 때
— 168
나. 계시가 주어진 장소
— 168
다. 계시의 개요
— 168
라. 정한 때 끝에 관한 계시
— 168
II. 세계 역사의 세번째 대요
— 168
1. 두 뿔 가진 수양
— 168
가) 길고 짧은 두 뿔
— 168
나) 수양의 위세
— 168
2. 큰 뿔 가진 수염소 — 그리스(헬라)
— 168
가) 서편에서 나타난 날랜 수염소
— 168
나) 현저한 뿔 — 알렉산더 대왕
— 168
다) 수양과 수염소의 대결
— 168
라) 동분서주(東奔西走)한 수염소
— 168
마) 큰 뿔이 꺾이고 네 뿔이 돋아남
— 168
3. 크게 자라난 작은 뿔 — 연속적인 이중 로마
— 168
가. 동일 선상의 제국로마와 교황로마
— 168
가) 탁월한 뿔(8:9)
— 168
나) 작은 뿔이 나타난 방향
— 168
나. 로마제국의 세계제패
— 168
가) 로마의 초기역사
— 168
나)
“남편과 동편과 영화로운 땅을 향하여”
— 168
가. 작은 뿔의 기능
— 168
가) 하나님의 백성을 핍박함(제국 로마)
— 168
나) 군대의 주재(主宰)를 대적함(교황로마)
— 168
다) 성소봉사와 성소를 훼방함
— 168
라. 작은 뿔의 연속적 활동
— 168
가) 제국로마의 공식적인 후계자
— 168
나) 핍박하는 참람된 세력
— 168
다) 성소 봉사를 방해하고 성소를 훼파함
— 168
라) 진리를 땅에 던짐
— 168
마) 극성(極盛)할 세력
— 168
바) 엄장하며 궤휼에 능함
— 168
사) 자고(自高)하는 세력
— 168
4. 배도와 성소의 정결
— 168
가. 핵심적인 질문
— 168
가) 매일 드리는 제사
— 168
나) 망하게 하는 죄악
— 168
다) 성소와 백성의 짓밟힘
— 168
라) 어느 때 까지인가
— 168
나. 성소의 정결과 2300주야
— 168
가) 정결의 뜻
— 168
나) 조사심판(調査審判), 재림 전 심판
— 168
다) 대속죄일의 정결
— 168
라) 성소 봉사와 조사심판
— 168
마) 성소의 정결과 집행심판
— 168
다. 성소와 심판
— 168
가) 성막 이전 제단으로부터의 심판
— 168
나) 성막(회막)으로부터의 심판
— 168
다) 성전으로부터의 심판
— 168
라. 계시의 해석과 다니엘의 반응
— 168
가) 몸져 누운 선지자
— 168
나) 설명되지 않은 예언
— 168
제 10 장 성소와 2300주야(단 9장)
— 193
I. 위대한 탄원
— 193
가. 기도와 계시의 배경
— 193
가) 연대적 배경
— 193
나) 위대한 탄원
— 193
나. 계시의 배경
— 193
II. 위대한 응답 - 2300 주야
— 193
1. 칠십 주일
— 193
2. 70주일의 시작과 구성
— 193
가. 7주일(49년)기간 (457—408 BC)
— 193
나. 62주일 434년 (408 BC-AD 27)
— 193
다. 최후의 1주일 = 7년(AD 27-34)
— 193
가) 메시야가 끊어짐
— 193
나) 이레의 절반, 3년 반 (AD 31)
— 193
다) 언약을 굳게 정함
— 193
라) 마지막 주일의 종결 — 서기 34년
— 193
3. 70주일의 핵심
— 193
가. 허물이 마침
— 193
나. 죄가 끝남
— 193
다. 죄악이 영속됨
— 193
라. 영원한 의가 드러남
— 193
마. 이상과 예언이 응함
— 193
바. 지극히 거룩한 자가 기름 부음을 받음
— 193
4. 70주일의 시작과 2300 주야
— 193
가. 포로에서의 석방
— 193
나. 성소의 중건과 제사제도의 회복
— 193
다. 성소의 정결
— 193
라. 오류와 우상숭배로부터의 해방
— 193
마. 바벨론의 신앙
— 193
바. 세 차례의 경고
— 193
사. 위대한 왕의 출현
— 193
아. 예언의 선물
— 193
자. 남은 무리의 출현
— 193
차. 안식일의 회복
— 193
5. 성소와 선민(選民)의 운명과 도전
— 193
가. 예루살렘의 멸망 — 제국 로마
— 193
나. 끝까지 계속될 싸움—교황로마
— 193
제 11 장 세상역사의 세 번째 대요(단 10, 11장)
— 216
I. 세상 역사의 배후와 위기(10장)
— 216
가. 계시의 연대 및 배경
— 216
가) 연대
— 216
나) 배경
— 216
나. 기도의 응답
— 216
가)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심
— 216
나) 가브리엘이 나타남
— 216
다) 신속한 응답
— 216
다. 밝혀진 큰 전쟁
— 216
가) 하늘과 땅 사이의 장막이 걷혀짐
— 216
나) 선의 주역 — 미가엘
— 216
라. 마지막 때에 관한 계시
— 216
가) 선민과 성소의 장래
— 216
나) 계속될 대 쟁투
— 216
II. 성소와 성민(聖民)에 대한 도전(11장)
— 216
1. 11장의 배경과 개요
— 216
가. 연대
— 216
나. 주제와 개요
— 216
다. 8장과 11장의 상호관계
— 216
2. 성소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도전(I) (페르샤 시대로부터 로마제국 시대까지)
— 216
가. 페르샤 통치 시대(539 — 331 BC)
— 216
나. 헬라 통치시대(331-168 BC)
— 216
가) 알렉산더의 통일시대(11:3)
— 216
나) 분열 왕국시대(11:4)
— 216
다) 남방왕국과 북방왕국시대(11:5-15)
— 216
다. 로마 통치시대
— 216
가) 로마제국의 동방개입
— 216
나) 팔레스틴을 차지하는 로마
— 216
다) 그리스도의 탄생과 죽으심에 관여한 로마
— 216
라. 교황권 확립까지의 로마 역사
— 216
3. 성소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도전(II) (교황권 확립으로부터 세상 끝 날까지)
— 216
가. 중세기 교황권의 역사
— 216
가) 교황로마를 기른 제국로마(30, 32절)
— 216
나) 중세기 교황로마의 도전(32-35절)
— 216
다) 교황권의 속성과 정책
— 216
나. 마지막 때의 남방 왕과 북방왕
— 216
가) 계시록 11장의 개요
— 216
나) 계시록 11:7-13과 프랑스 혁명
— 216
다) 프랑스 혁명 2백 주년으로 정리된 역사적 의의
— 216
라) 계시록 11(13, 17)장과 다니엘 11장의 남방왕과 북방왕
— 216
마) 마지막 때의 남방왕
— 216
바) 마지막 때의 북방왕
— 216
III. 성소 중심의 구속의 역사 개관
— 216
가. 타락에서 아브라함까지
— 216
나. 아브라함에서 초림까지
— 216
다. 부활에서 중세기 끝까지
— 216
라. 1798년 이후 조사심판의 종결까지
— 216
제 12 장 영원한 보상(단 12장)
— 249
I. 다니엘서의 결론과 주제
— 249
가. 결 론
— 249
나. 주제—마지막 때
— 249
II. 마지막 때
— 249
가. 미가엘이 일어남
— 249
나. 마지막 환난의 시작
— 249
다. 조사심판의 종결과 성도의 구원
— 249
가) 조사심판의 종결
— 249
나) 특별부활
— 249
라. 영원히 비취는 별 같은 생애(단 12:3)
— 249
마. 마지막 때까지 봉인된 예언
— 249
가) 인봉(印封)된 예언
— 249
나) 왕래와 지식이 증가하는 때
— 249
바. 기사의 끝
— 249
가) 한 때 두 때 반 때
— 249
나) 1290일
— 249
다) 1335일
— 249
사. 영원한 보상
— 249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