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다니엘 3장은
계시록 13장의 구약적인 배경이 되고 있다. 역사적 배경도 흡사할 뿐더러 사건의 경과도 같은 방법으로 전개되고 있다. 숫자적인 상징에 있어서도 금 신상의 높이와 폭이 각각 60 규빗, 6 규빗으로 세워졌고 이를 위해 6개의 주요 악기가 언급되어 있다(
3:5).
계시록 13장에서 만들어 지는 우상의 의미와 목적이
다니엘 3장의 우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계시록 13장에서 새끼양으로 표상된 미국이 죽게 되었다가 회복된 짐승을 위해 우상을 만든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이는
다니엘 3장에서 바벨론의 거짓된 우상 종교가 국가의 힘을 빌어 백성들의 신앙과 양심을 강제하고자 인위적인 제도를 만들었음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즉 이러한 과정이 교황권과 미국 사이에서 다음과 같이 재연되었음을 뜻한다.
「초대 교회가 복음의 단순함에서 떠나 이교의 의식과 풍습을 받아들임으로써 부패하게 되었을 때, 교회는 성령과 하나님의 능력을 상실하게 되자, 사람의 양심을 지배하기 위하여 세속적인 권력의 지지를 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 국가의 권력을 장악하는 동시에 그 권력을 자기의 목적, 특별히
‘이단’을 박멸하기 위하여 사용한 교회인 교황권이 형성된 것이다. 미국이 짐승을 위하여는, 종교적인 세력이 세속적인 정부를 지배하게 되어야만 교회가 자체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국가의 권세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각 시대의 대쟁투 하권, 218, 219).
(69.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