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 605 - 604 BC 느브갓네살 왕의 즉위년과 원년의 사건.
2장 — 603 BC 느브갓네살 왕의 재위 2년의 사건.
3장 — 확실한 연대는 기록돼 있지 않지만, 아마도 느브갓네살 왕 재위 10년인 기원전 594/593 BC 전후일 가능성이 많다.
렘 51:59-64에 기록된 유다왕 시드기야 재위 4년째의 바벨론 방문 사건과 연관시키는 외에, 느브갓네살 재위 10년째에 바벨론에서 있었던 반란 사건도 연관이 됨직하다. 4장 — 기원전 562년으로 그의 43년 간의 통치가 끝나가는 느브갓네살의 만년의 사건으로 여겨진다.
다니엘서 주석, 104. 7장 — 바벨론의 마지막 왕 나보니더스의 섭정왕인 벨사살 원년인 대략 기원전 553/552년 경의 계시이다.
Ibid., 143. 8장 — 벨사살 왕의 재위 3년의 계시로 기원전 551/550년경에 해당된다.
5장 — 벨사살 자신이 죽고 바벨론이 멸망한 기원전 539년의 사건이다.
6장 — 바벨론이 망한 직후인 539년의 남은 부분과 538년 사이의 사건이다.
9장 —
6장의 사건이 일어날 때인 메대왕 다리우스 원년인 기원전 538년의 사건이다.
10장 — 페르샤 왕 고레스 3년에 받은 계시로 유대 민력에 따라 그의 원년을 537년 (바벨론 역서로는 538년)으로 계산하면, 535년(바벨론 역서로는 536년)경이 된다.
Ibid., 248, 250. 11장 —
10장과 같이 고레스 3년에 받은 계시이지만 메대왕 다리우스 원년의 사건을 일부 회상하고 있다.
12장 — 자연스럽게 연대적으로나 내용상으로나 맨 마지막으로 쓴 결론적인 기록으로
11장에 연결해서 썼다.
Ibid., 294. (1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