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대총회 성경연구소의 성경 난해 문제 해석
서문
— 1
발간사 - 진리의 기둥과 터를 견고하게
— 4
발간사
— 6
성경절
— 12
구약의 난해 문제
— 13
질문 1 창세기는 지구가 창조주일 이전에 이미 혼돈된 상태로 존재했다고 가르치는가?
— 14
“태초에”
— 14
“천지”
— 14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 14
창세기 1:1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
— 14
1. 창세기 1:1을 창조 기사의 제목으로 보는 견해
— 14
2. 파괴-복원설
— 14
3.
“소극적 간격”
(passive gap) 이론
— 14
4. 첫째 날에 우주가 창조되었다고 보는 견해
— 14
5. 전통적인 창조 이론
— 14
재림교회 내에 있는 두 가지 가능한 견해
— 14
미주
— 14
질문 2 창조주일의 첫째 날에 창조된 빛은 어떤 빛이었는가?
— 23
빛은 하나님의 임재였음
— 23
빛은 태양의 빛이었음
— 23
“또 별들을 만드시고”
— 23
창조와 경배
— 23
미주
— 23
질문 3 창조 기사에 나온 날들은 24시간으로 이뤄진 날들이었는가, 아니면 무한정한 기간의 시간이었는가?
— 27
족보[내력]로서의 창세기 1장
— 27
창조의 날들
— 27
학자들의 견해
— 27
창조의 날들은 연속적이며 문자적인 7일이었음
— 27
미주
— 27
질문 4 창세기 1장과 2장에는 서로 모순되는 두 개의 창조 기사가 있는가?
— 32
고대의 기록 습관
— 32
창세기 1장과 2장에 나오는 식물
— 32
들의 초목
— 32
밭의 식물(채소)
— 32
땅을 경작할 사람이 없었음
— 32
비
— 32
요약
— 32
미주
— 32
질문 5 강들의 이름을 근거로 에덴동산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가?
— 39
미주
— 39
질문 6 아담과 하와가 왜 즉시 죽지 않았는가?
— 41
“ ∙∙∙ 하는 날에”
라는 구문의 의미
— 41
“네가 ∙∙∙ 정녕 죽으리라”
는 구절의 의미
— 41
하나님의 말씀은 진실함
— 41
미주
— 41
질문 7 창세기 3:15은 메시아 예언인가 아닌가?
— 45
메시아의 씨[후손]
— 45
집단적 복수에서 개인적 단수로
— 45
해석
— 45
결론
— 45
미주
— 45
질문 8 가인이 어디서 아내를 얻었는가?
— 50
가까운 친척 간의 혼인
— 50
결론
— 50
미주
— 50
질문 9 “하나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은 누구였는가?
— 53
“네피림”
의 정체
— 53
“하나님의 아들들”
의 정체
— 53
천사들로 보는 견해
— 53
폭군들로 보는 견해
— 53
셋의 후예로 보는 견해
— 53
질문 10 어떻게 모든 종(種)의 동물이 방주에 보존되었는가 공룡은 어떻게 했는가?
— 57
노아방주의 크기
— 57
공룡은 어떻게 했는가?
— 57
엘렌 화잇의 통찰
— 57
미주
— 57
질문 11 노아홍수는 범세계적 홍수였는가?
— 62
범세계적 홍수를 지지하는 증거들
— 62
홍수와 관련된 용어들
— 62
미주
— 62
질문 12 여호와께서 참으로 바로의 마음을 강퍅케 하셨는가?
— 66
바로와 열 재앙
— 66
결론
— 66
질문 13 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 등 부족장들이 여호와의 이름을 알지 못했다고 말씀하셨는가?
— 71
오경에 나오는 여호와라는 이름
— 71
하나님의 품성이 계시됨
— 71
여호와를 아는 것
— 71
결론
— 71
질문 14 어떻게 200만 명도 넘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룻밤 사이에 홍해를 건널 수 있었는가?
— 76
이스라엘 백성들의 수효
— 76
고려해야 할 중요 사항들
— 76
홍해를 건넌 것은 기적이었음
— 76
건넌 지점
— 76
건넌 방식
— 76
미주
— 76
질문 15 여호와께서는 참으로 그분의 생각을 바꾸시는가?
— 81
금송아지 사건
— 81
중재자 모세
— 81
“돌이키다”
(repent)라는 말의 의미
— 81
하나님께서 돌이키시는 이유
— 81
하나님의 심판의 조건성
— 81
인간의 회개와 하나님의 돌이킴의 차이
— 81
미주
— 81
질문 16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에 관한 법들은 아직도 적실(適實)한가?
— 85
짐승의 부정
— 85
신약과 부정한 음식
— 85
결론
— 85
미주
— 85
질문 17 "아사셀을 위한 염소”의 역할은 무엇이었는가?
— 91
레위기 16장의 의식(儀式)
— 91
아사셀에 관한 각양한 견해들
— 91
아사셀을 위한 염소는 제물로 희생되지 않았음
— 91
그리스도만이 우리의 죄를 대신 지시는 분임
— 91
결론
— 91
미주
— 91
질문 18 레위기 18:22은 동성애를 정죄하는가?
— 96
동성애에 대한 성경적 관점
— 96
동성애는 하나님께 대한 반역임
— 96
동성애는
“가증한 일”
임
— 96
동성애적 성향과 동성애적 습관
— 96
질문 19 왜 신명기 5장에 주어진 안식일 준수의 이유와 출애굽기 20장에 주어진 이유가 다른가?
— 101
두 본문의 비교
— 101
신명기 5장에 추가된 사항
— 101
추가적인 사항을 덧붙인 이유
— 101
추가된 사항의 효과
— 101
결론
— 101
미주
— 101
질문 20 “너희 중에 가난한 자가 없으리라”라는 진술(신 5:5)과 “땅에는 언제든지 가난한 자가 그치지 아니하겠으므로”라는 진술(신 5:11)은 어떻게 조화될 수 있는가?
— 107
안식년
— 107
“너희 중에 가난한 자가 없으리라”
[
“너희 중에 가난한 자가 없게 하라”
]
— 107
관대하라는 호소
— 107
미주
— 107
질문 21 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여자와 어린 아이를 포함한 가나안의 모든 족속을 “진멸하라”고 명령하셨는가?
— 112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
— 112
유예 기간
— 112
이스라엘의 역할
— 112
여호와의 전쟁
— 112
이스라엘의 선택
— 112
미주
— 112
질문 22 구약에서 이혼과 재혼은 허락되었는가?
— 118
이혼의 사유
— 118
이 법의 목적은 여성들의 인권을 보호하려는 것이었음
— 118
이혼은 사람들의 마음의 완악함 때문에 허용됨
— 118
미주
— 118
질문 23 어떻게 모세가 자기의 죽음에 대해 미리 기록할 수 있었을까?
— 123
역사를 다룬 부록
— 123
모세가 저자라는 증거
— 123
미주
— 123
질문 24 여호수아가 참으로 가나안 은 땅을 정복했는가?
— 127
가나안 족속들이 그 땅에 남아 있었던 이유
— 127
두 가지 국면의 정복
— 127
〈블레셋인들(Philistines)〉
— 127
미주
— 127
질문 25 하나님께서 사무엘에게 거짓말을 하라고 말씀하셨는가?
— 132
이 난제를 해결하는 제안들
— 132
하나님과 성실하심
— 132
사실을 숨김
— 132
사무엘상 16장에서 얻을 교훈
— 132
〈성경에 나오는 기도들〉
— 132
미주
— 132
질문 26 엔돌의 무당이 참으로 사무엘을 불러왔는가?
— 141
1. 선지자 사무엘이 진짜 나타남
— 141
2. 귀신이 사무엘로 변장함
— 141
에돌에서 있었던 이교적 행습들
— 141
사울에 대한 징벌이 덧붙여짐
— 141
정확하지 않은 예언
— 141
사울과 무당이 본 자는 진짜 사무엘이 아니었음
— 141
결론
— 141
〈구약에 나오는 가나안 족속〉
— 141
미주
— 141
질문 27 누가 이스라엘의 인구를 조사하라고 다윗을 부추겼는가?
— 149
이스라엘의 인구조사
— 149
다윗이 인구조사를 실시한 이유
— 149
누가 다윗을 부추겨 인구조사를 하도록 했는가?
— 149
결론
— 149
질문 28 아라우나(삼하 24:16)와 오르난(대상 21:15)은 어떻게 조화될 수 있는가?
— 152
두 이름을 갖는 관습
— 152
질문 29 아하시야가 왕이 된 때는 요람의 제위 제12년인가? 아니면 제11년인가?
— 154
〈고대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
— 154
질문 30 여호야긴은 몇 살 때 왕이 되었는가?
— 158
본문 와전(訓傳)의 가능성
— 158
해결책의 제안
— 158
미주
— 158
질문 31 잠언 8장은 그리스도에 대해 말하고 있는가?
— 161
잠언에 나타난 의인화
— 161
지혜의 기원
— 161
질문 32 잠언 31장은 주정음료를 허용하는가?
— 166
어머니의 권고
— 166
포도주와 독주를 금함
— 166
예외
— 166
반어법적인 권면
— 166
미주
— 166
질문 33 이사야 7:14은 처녀를 말하는가, 아니면 젊은 여자를 말하는가?
— 171
역사적 배경
— 171
히브리어 알마의 의미
— 171
“처녀”
의 신원
— 171
결론
— 171
질문 34 히브리인들은 땅에 “사방”[네 모퉁이]이 있다고 믿었는가?
— 174
고대 근동 지방의 관용구
— 174
미주
— 174
질문 35 “영영히”라는 말은 영원한 형벌을 의미하는가?
— 176
열국에 대한 하나님의 범세계적 심판
— 176
“영영히”
라는 말의 의미
— 176
영원히 타오르는 지옥불은 성경적 개념이 아님
— 176
미주
— 176
질문 36 여호와께서는 악도 창조하시는가?
— 180
하나님의 주권
— 180
“악”
의 의미
— 180
하나님은 악의 창시자가 아님
— 180
질문 37 새 땅에도 죽음이 존재하는가?
— 183
바벨론 포로와 귀환
— 183
“새 하늘과 새 땅”
의 의미
— 183
요약
— 183
질문 38 예레미야에 나온 새 언약은 참으로 새로운 것인가?
— 187
선지자들과 새 언약
— 187
옛 언약과 새 언약 사이에 있는 연속성
— 187
새 언약에 나타난 새로운 요소들
— 187
“옛”
언약과
“새”
언약의 의미
— 187
오직 하나의 복음
— 187
결론
— 187
미주
— 187
질문 39 두로에 대한 예언은 실제로 성취되었는가?
— 194
문학적 구조
— 194
역사적 성취
— 194
현대 도시 두로
— 194
결론
— 194
미주
— 194
질문 40 예언에서 곡과 마곡은누구인가?
— 199
에스겔 예언의 요약
— 199
이 예언은 문자적으로 성취된 적이 없음
— 199
요한계시록에서 성취됨
— 199
미주
— 199
질문 41 왜 다니엘 4장에 나오는 “일곱 때”는 1일=1년 원칙으로 해석해선 안 되는가?
— 203
“일곱 때”
는 문자적인 7년을 말함
— 203
1일 = 1년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 이유
— 203
요약
— 203
질문 42 작은 뿔이 나온 곳은 숫염소의 네 뿔 중 하나인가, 아니면 사방[네바람] 중 하나인가?
— 205
작은 뿔의 기원이 네 바람에 있음
— 205
결론
— 205
〈메시아 예언〉
— 205
질문 43 다니엘8장의작은 뿔은 누구인가?
— 209
작은 뿔은 정치적 세력임
— 209
작은 뿔은 종교적 세력임
— 209
역사에 나타난 작은 뿔
— 209
미주
— 209
질문 44 다니엘 8:14의 “성소의 정결”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215
이스라엘의 대속죄일
— 215
다니엘 7장과 8장에 나타난 대속죄일 개념
— 215
레위기 16장과 다니엘 8:14
— 215
해석
— 215
결론
— 215
미주
— 215
질문 45 다니엘 8:14의 2,300주야는 문자적인 날들인가, 아니면 상징적인 날들인가?
— 221
이상은 상징적임
— 221
작은 뿔은 로마임
— 221
교황 로마의 활동
— 221
2,300주야의 상징적 의미
— 221
다니엘 9장이 해석의 열쇠임
— 221
미주
— 221
짇문 46 다니엘 8:14의 2,300주야와 다니엘 9:24~26의 70이레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226
다니엘 8장과 9장의 연결 고리
— 226
결론
— 226
미주
— 226
질문 47 다니엘 12:1의 미가엘은 누구인가?
— 232
재림 때 있을 부활
— 232
미가엘이라는 이름의 의미
— 232
예수와 미가엘이 모두 천사장으로 불림
— 232
신약의 난해 문제
— 235
질문 48 예수께서 말씀하신 “온전하라”는 무슨 의미인가?
— 236
산상설교
— 236
원수를 사랑함
— 236
“온전”
[완전]의 의미
— 236
미주
— 236
질문 49 사함을 얻을 수 없는 죄는 무엇인가?
— 240
예수님과 바리새인들의 갈등
— 240
성령의 역사
— 240
사함을 받을 수 없는 죄의 성격
— 240
미주
— 240
질문 50 예수께서 반석 위에 교회를 세우겠다고 말씀했는데, 그 반석이 베드로인가?
— 244
역사적 배경
— 244
말놀이
— 244
페트라의 의미
— 244
페트라의 상징적 용례
— 244
결론
— 244
미주
— 244
질문 51 예수께서 죄를 사할 권세를 교회에게 주셨는가?
— 249
교회가 세워진 반석은 그리스도임
— 249
“매고 푸는”
권세는 교회에 속함
— 249
사제들이 죄를 사하는 것은 성경적이 아님
— 249
질문 52 예수께서 이혼과 재혼을 허락하셨는가?
— 253
마음의 강퍅
— 253
예수님과 바리새인들
— 253
결혼에 대한 예수님의 관점
— 253
이혼 문제
— 253
오늘날에 적용할 교훈
— 253
질문 53 해와 달과 별들의 징조가 이미 나타났는가?
— 260
마태복음 24장의 구조
— 260
대환란
— 260
해와 달과 별들의 징조
— 260
미주
— 260
질문 54 예수께서 말씀하신 "이 세대”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265
“이 일”
의 의미
— 265
“이 일”
은 그리스도 당시의 세대를 가리킴
— 265
“이 세대”
와 예루살렘의 멸망
— 265
미주
— 265
질문 55 악인은 지옥에서 영원토록 불타는가?
— 270
양과 염소
— 270
삶에 대한 두 가지 태도
— 270
영원한 형벌[영벌]
— 270
영원한 불
— 270
불멸의 문제
— 270
요약
— 270
미주
— 270
질문 56 오늘날의 유대인들도 예수를 죽인 데 책임이 있는가?
— 275
아스라엘의 국가적 지위
— 275
유대인 개인의 구원
— 275
“온 백성”
— 275
구원은 모든 자에게 열려있음
— 275
미주
— 275
질문 57 예수께서 모든 음식을 깨끗하게 하셨는가?
— 280
번역상의 문제
— 280
“깨끗하게 하다”
의 의미
— 280
부정의 범위
— 280
“식물”
의 의미
— 280
요약
— 280
미주
— 280
질문 58 예수께서 여자를 “개”라고 부르셨는가?
— 286
이방인에 대한 유대인들의 태도
— 286
이스라엘을 선택하신 근본 목적
— 286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교훈을 가르치심
— 286
결론
— 286
미주
— 286
질문 59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는 영혼의 불멸을 가르치는가?
— 291
비유의 배경
— 291
재산의 사용에 대한 가르침
— 291
죽음 및 영혼에 관한 질문
— 291
〈하데스(Hades, 음부)에 관해 헬라인들에게 한 요세푸스의 강의〉
— 291
미주
— 291
질문 60 십자가의 강도는 죽은 당일에 낙원으로 갔는가?
— 297
본문의 구두점
— 297
대안적 번역
— 297
성경의 증거
— 297
불멸을 부여받음
— 297
본문의 의미
— 297
질문 61 모세의 율법은 예수의 은혜로 대체되었는가?
— 301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찬송시
— 301
그리스도는 은혜와 진리의 중개자
— 301
“은혜 위에 은혜”
— 301
결론
— 301
미주
— 301
짙문 62 가나의 혼인잔치에서 예수께서 어떤 종류의 포도주를 만드셨는가?
— 307
고대의 포도주 보존법
— 307
예수께서 만드신
“포도주”
— 307
미주
— 307
질문 63 왜 유대인들이 안식일을 어긴다고 예수님을 고소했는가?
— 312
예수께서 어떤 계명을 어겼는가?
— 312
유전과의 충돌
— 312
미주
— 312
질문 64 사도행전 20:7에 언급된 모임은 일요일 예배를 말하는가?
— 315
예루살렘으로 가고 있던 바울
— 315
“바울이 ∙∙∙ 강론할새”
— 315
“안식 후 첫날”
— 315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 315
“이튿날 떠나고자 하여”
— 315
새로운 예배일이 제정되지 않았음
— 315
〈70인역〉이야기
— 315
미주
— 315
지문 65 하나님의 진노는 무엇이며 어떻게 나타나는가?
— 321
인류는 모두 잃어버림을 당했음
— 321
바울의 언어적 표현
— 321
로마서 1장에 나타난
“하나님의 진노”
의 의미
— 321
하나님의 진노는 인간의 죄에 대한 그분의 예기된 반응임
— 321
미주
— 321
질문 66 바울은 동성애를 정죄했는가?
— 327
바울 시대의 동성애
— 327
바울의 진술의 보편적인 성격
— 327
동성애와 하나님의 창조
— 327
바울의 용어 선택
— 327
동성애를 반대하는 율법은 보편적인 것임
— 327
제안
— 327
미주
— 327
질문 67 로마서 5:12은 원죄를 가르치는가?
— 335
아담의 죄
— 335
그릇된 해석
— 335
하나님의 은혜가
“원죄”
에 대한 해독제임
— 335
질문 68 "너희가 법 아래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 있음이니라”는 바울의 말은 무슨 뜻인가?
— 340
그리스도인과 죄
— 340
아담의 시대와 그리스도의 시대
— 340
“율법 아래”
와
“은혜 아래”
의 의미
— 340
침례의 역할
— 340
미주
— 340
질문 69 그리스도께서 "율법의 마침”이 되었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
— 345
바울이 사용한 용어들의 모호성
— 345
로마서 10:4의 문맥
— 345
텔로스(
“마침”
)의 의미
— 345
율법의 성취와 절정으로서의 그리스도
— 345
미주
— 345
질문 70 모든 유대인이 다 구원받는가?
— 350
“이스라엘”
에 대한 바울의 정의
— 350
민족적 이스라엘의 문제점
— 350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버리셨는가?
— 350
민족적 이스라엘과 구원
— 350
요약
— 350
미주
— 350
질문 71 어느 날에 예배드리든 상관없는가?
— 357
로마의 교회
— 357
로마의 교회에 있는 문제의 배경
— 357
여러 가지 문제들
— 357
유대교의 특별한 날들
— 357
모든 사람을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로 만드는 것
— 357
미주
— 357
질문 72 바울은 그리스도인이 무엇을 해도 상관없다고 말했는가?
— 363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제한적임
— 363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유행하던 어떤 표어를 인용함
— 363
바울의 반론
— 363
결론
— 363
미주
— 363
질문 73 결혼하는 것보단 혼자 사는 편이 더 나은가?
— 368
결혼은 죄가 아님
— 368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박해
— 368
이상주의자이며 실용주의자인 바울
— 368
질문 74 여자는 교회에서 머리를 가려야 하는가?
— 372
1세기의 헬라에서 두건을 쓴 의미
— 372
교회에서 두건을 쓴 이유
— 372
미주
— 372
질문 75 고린도전서에서 말하는 방언은 무엇인가?
— 376
고린도 교회
— 376
영적 은사의 적절한 사용
— 376
중요한 단어들의 의미
— 376
고린도 교회에서 은사의 남용
— 376
방언이 외국어임을 지지하는 증거
— 376
요약
— 376
미주
— 376
질문 76 바울이 말한 “몸을 떠나 주와 함께 거하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 385
장막
— 385
입음과 벗음
— 385
몸에 거하는 것
— 385
몸을 떠나는 것
— 385
질문 77 그리스도께 이끄는 몽학선생은 어떤 법을 말하는가?
— 389
“율법”
이라는 말의 의미
— 389
율법의 목적
— 389
율법이 몽학선생으로 기능함
— 389
어떻게 의를 얻을 수 있는지가 갈라디아서의 쟁점임
— 389
미주
— 389
질문 78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율법을 폐하셨는가?
— 393
이방인이 하늘의 시민이 됨
— 393
그리스도께서 유대인과 이방인을 연합시키심
— 393
허물어진 벽은 하나님의 도덕법이 아님
— 393
“의문에 속한 계명의 율법”
— 393
질문 79 아내는 남편에게 복종해야 하는가?
— 399
에베소서의 전반적인 주제
— 399
남편과 아내의 관계
— 399
복종의 의미
— 399
남편은 아내를 사랑해야 함
— 399
결론
— 399
미주
— 399
질문 80 제칠일 안식일이 “장래 일의 그림자”인가?
— 406
“증서”
의 의미
— 406
“먹고 마시는 것 ∙∙∙ 을 인하여 누구든지 너희를 폄론하지 못하게 하라”
— 406
“안식일”
이라는 말의 의미
— 406
“장래 일의 그림자”
— 406
결론
— 406
미주
— 406
질문 81 히브리서 기자가 예수께서도 순종함을 배워야 했다고 말한 것은 무슨 뜻인가?
— 415
우리의 대제사장 예수
— 415
가장 중요한 인간의 고난
— 415
예수께서 순종을 배움
— 415
순종의 의미
— 415
신학적 해석
— 415
〈신약의 중요한 사본들〉
— 415
미주
— 415
질문 82 타락한 자들도 여전히 용서 받을 수 있는가?
— 422
경고의 목적
— 422
배도한 그리스도인
— 422
배도의 성격
— 422
그리스도인의 삶과 죄
— 422
미주
— 422
질문 83 히브리서가 말하는 언약은 무엇인가?
— 428
신약에 나타난 언약
— 428
히브리서에 나타난 언약
— 428
옛 언약과 새 언약
— 428
새 언약과 관련된 개념들
— 428
도덕법은 계속 유효함
— 428
결론
— 428
질문 84 히브리서 9:8은 하늘 성소의 지성소에 대해 말하는가?
— 435
헬라어 타 하기아(
“성소”
)의 의미
— 435
히브리서 9장의 목적
— 435
그리스도의 봉사의 개시
— 435
미주
— 435
질문 85 야고보서는 행함으로 말미암는 의를 가르치는가?
— 439
바울과 야고보
— 439
믿음의 사회적 측면
— 439
믿음과 행함은 상호보완적임
— 439
질문 86 그리스도께서 전파한 "옥에 있는 영들”은 누구인가?
— 442
그리스도인과 고난
— 442
창세기 6장과 유대인의 신화
— 442
죽은 자는 두 번째 기회를 얻지 못함
— 442
그리스도께서 성령을 통해 방문하심
— 442
베드로의 시대를 노아의 시대와 비교함
— 442
미주
— 442
질문 87 요한일서 3:9은 회심한 그리스도인은 죄를 짓지 않는다고 가르치는가?
— 448
죄에 대한 요한의 가르침
— 448
죄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관계
— 448
죄에 대한 진정한 해결책은 그리스도 안에 있음
— 448
미주
— 448
질문 88 요한일서 5:7, 8은 삼위일체를 가르치는가?
— 453
두 가지 독법
— 453
사본의 증거
— 453
〈불가타역〉에서 〈제임스왕역〉까지
— 453
결론
— 453
〈신약시대의 로마 황제들〉
— 453
미주
— 453
질문 89 악한 천사들은 불타는 지옥에 갇혀 있는가?
— 459
큰 날의 심판
— 459
천사들이 심판 때까지 가둬짐
— 459
영원한 결박은 상징적임
— 459
흑암에 가둠
— 459
결론
— 459
미주
— 459
질문 90 144,000인과 셀 수 없는 큰 무리는 누구인가?
— 464
일곱 인의 이상
— 464
셀 수 없는 큰 무리와 144,000
— 464
사단의 삼중 세력에 관한 이상
— 464
문자적인가 상징적인가?
— 464
미주
— 464
질문 91 요한계시록 11장에 나오는 두 증인은 누구인가?
— 470
스가랴에 나온 등대
— 470
요한계시록의 두 증인은 구약과 신약임
— 470
두 증인의 활동
— 470
두 증인을 이해함
— 470
두 증인의 권세
— 470
두 증인의 죽음
— 470
두 증인의 부활
— 470
결론
— 470
미주
— 470
질문 92 “그 고난의 연기가 세세토록 올라가리로다”(계 14:11)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
— 477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세세토록”
이라는 표현
— 477
“세세토록”
이라는 말의 의미
— 477
올람과 아이온(아이오니오스)의 용례
— 477
영원히 불타는 지옥의 개념에 있는 문제점
— 477
질문 93 “대언의 영”(계 19:10)이란 무엇인가?
— 482
“대언의 영”
의 의미
— 482
“예수의 증거”
의 의미
— 482
교회에 있는 예언의 은사
— 482
결론
— 482
질문 94 “그 두루마기를 빠는 자들”(계 22:14)인가, 아니면 “그의 계명을 행하는 자들”인가?
— 487
사본의 증거
— 487
“그 두루마기를 빠는 자들”
이 선호됨
— 487
이문(異文) 독법이 생긴 이유
— 487
결론
— 487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