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총회 성경연구소의 성경 난해 문제 해석 신약의 난해 문제 질문 88 요한일서 5:7, 8은 삼위일체를 가르치는가?
 〈신약시대의 로마 황제들〉
연도 사건
아우구스투스 BC 31-AD 14년 그의 통치기에 예수가 태어남
티베리우스 AD 14~37년 그의 통치기에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힘
칼리굴라 AD 37~41년
클라우디우스 AD 41~54년
네로 AD 54~68년 그의 통치기에 베드로와바울이 처형됨
갈바 AD 68~69년
베스파시아누스 AD 69~79년 그의 통치기에 예루살렘에 파멸됨
티투스 AD 79~81년
도미티아누스 AD 81~96년 사도 요한을 밧모 섬으로 추방함
네르바 AD 96~98년 요한을 석방하여 에베소로 보냄
(456.6)
 W. Larry Richards (456.7)
 미주
 1. 콤마는 헬라어로 “짧은 구절”을 뜻하는 말로, “요한의 콤마”는 이 본문에 삽입된 구절을 가리킨다.

 2. 요한일, 이, 삼서, 베드로전후서, 야고보서와유다서.

 3. 난외주는 일반적으로 주석적인 해설이었다.

 4. 북아프리카에서 라틴 교부들이 “요한의 콤마”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때 이후로 계속하여 그 사용이 증가되었다.

 5. Bruce M. Metzger,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1968), 101.

 6, 사건들의 이런 순서가 Joseph M. Levine, “Erasmus and the Problem of the Johannine Comma,” Journal of the History of Thought 58(1987): 573~596에 잘 정리되어 있다. (457.1)
 “사랑하는 주님께서 일어난 모든 일에 비추어 성경 말씀을 설명하시는 것을 들었을 때에 그분에 대한 그들의 믿음은 더할 수 없이 견고하게 되었다. 그들은 ‘나의 의뢰한 자를 내가’(딤후 1:12) 안다고 말할 수 있는 경지에까지 이르렀다. 그들은 그들의 사업의 성질과 범위를 깨닫고, 그들에게 위임된 진리를 세상에 선포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하였다”(사도행적, 27). (4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