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총회 성경연구소의 성경 난해 문제 해석 구약의 난해 문제 짇문 46 다니엘 8:14의 2,300주야와 다니엘 9:24~26의 70이레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그가 내게 이르되 이천삼백 주야까지니 그 때에 성소가 정결하게 함을 입으리라 하였느니라”(단 8:14). (226.1)
 “네 백성과 네 거룩한 성을 위하여 칠십 이레로 기한을 정하였나니 허물이 마치며 죄가 끝나며 죄악이 영속되며 영원한 의가 드러나며 이상과 예언이 응하며 또 지극히 거룩한 자가 기름 부음을 받으리라 그러므로 너는 깨달아 알지니라 예루살렘을 중건하라는 영이 날 때부터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곧 왕이 일어나기까지 일곱 이레와 육십이 이레가 지날 것이요 그 때 곤란한 동안에 성이 중건되어 거리와 해자가 이룰 것이며 육십 이 이레 후에 기름 부음을 받은 자가 끊어져 없어질 것이며 장차 한 왕의 백성이 와서 그 성읍과 성소를 훼파하려니와 그의 종말은 홍수에 엄몰됨 같을 것이며 또 끝까지 전쟁이 있으리니 황폐할 것이 작정되었느니라”(단 9:24~26). (226.2)
 일반적으로 오늘날 주석자들은 위의 두 예언 사이에 아무런 연관이 없다고 보고, 다니엘 8:14은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에 적용하며 다니엘 9:24~27은 그리스도의 초림 시대에 적용한다. (226.3)
 다니엘 8장9장의 연결 고리
 다니엘 8장9장을 연결하는 몇가지 종류의 고리가 있다.

 첫째, 다니엘 8장의 싱징들은 숫양 나라 메대바사로 시작하고. 예루살렘을 중건하라는 영(단 9:25)도 메대 바사의 왕에 의해 내려졌다. 따라서 이 두 예언의 기간은 모두 페르시아 시대에 시작한다. (226.4)
 둘째, 다니엘 8:14의 예언적 기간이 제시되기 전에 나온 질문은 “이상에 나타난바 ∙∙∙ 일이 어느 때까지 이를꼬?”이다. 이상은 단지 작은 뿔이 자행한 네 가지 일(8:13)에 관한 것만이 아니라 숫양 나라 메대 바사로부터 그 후에 있을 일을 모두 포함한다 이런 이해는 8:13, 14의 예언적 기간이 페르시아 시대의 어떤 시점에 시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다니엘 9:24~27의 70이레는 페르시아 시대의 특정 시점 곧 페르시아의 한 왕이 예루살렘 성을 중건하는 영을 내린 때에 시작한다. (227.1)
 셋째, 상징적 예언에 이어 해설이 뒤따라 나오는 것이 다니엘서의 표준적 패턴이다. 그러나 다니엘 9장에는 해설이 뒤따라 나오는 상징적 예언이 없다. 다니엘서 예언들의 일반적 형식에 비춰볼 때, 이러한 패턴의 이탈은 다니엘 9:24~27의 설명과 다니엘 8장의 이상 및 설명을 구분지어주는 효과를 지닌다. (227.2)
 앞에서 지적한 것처럼, 다니엘 7장과 8장의 상징적 예언들의 해석에는 뚜렷한문학적 평행이 존재한다.1 (227.3)
기별자/해석자 다니엘 7장 문학적 단위 다니엘 8장 기별자/해석

1~14절 상징적 이상 1~14절
천상의 사자 15~18절 설명 1 15~27절 지상의 가브리엘
천상의 사자 19~22절 설명 2 단 9:24~27 지상의 가브리엘
천상의 사자 23~27절 설명 3 단 11:1~12:4 지상의 천사
(아마도 가브리엘)
(227.4)
 다니엘 7장의 이상에 관한 설명은 뚜렷하게 세 부분으로 되어 있고, 다니엘 8장의 상징적 이상에 관한 해설도 뚜렷하게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 다니엘서의 마지막 상징적 예언인 8장7장보다 더 길고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 바로 그 긴 해설이 다니엘 8장의 후반부에서 시작하여 다시 교훈적 예언인 다니엘 9장11장에서 계속된다. 이런 형식은 다니엘 8:1~14과 그것에 대한 설명의 일부인 다니엘 9:24~27의 관계를 강화시킨다. (227.5)
 넷째, 다니엘서의 예언들에는 시간 요소가 차지하는 비교적 표준적인 위치가 있다. 그런 시간 요소는 대개 그런 예언들의 끝에 나오거나 예언들이 끝나가는 부분에 나온다. 이에 대한 이유가 있다. 시간 요소는 나라나 백성이 상징화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징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간 요소는 반드시 상징적 이상에 뒤따라 나오는 교훈적인 설명 부분에 주어져야 한다. 이런 형식은 다니엘 7:25“한때와 두 때와 반 때”, 다니엘 8:14의 2,300주야, 다니엘 12:7, 11, 12에 언급된 시간들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다니엘 9장의 70이레는 그 예언의 시작 부분인 24절에서 곧바로 나온다 이러한 배열은 70이레를 다니엘 8장의 상징적 이상인 2,300주야와 직접 대조하여 병행시키는 문학적인 구조 효과를 준다. (228.1)
 다섯째, 위에서 언급한 대로 천사 가브리엘이 다니엘 8장9장의 해설에 모두 공통적으로 나온다 게다가, 그가 다니엘 9장에서 해설할 때 다니엘 8장을 돌이켜 지적하면서 그가 전달하는 예언의 말씀이 이전 이상을 해석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즉 너는 [내가 지금 너에게 전달하는] 이 일을 생각하고 [네가 이전에 본] 그 이상을 깨달을지니라”(단 9:23). 그러고 나서 매우 분명하게, 가브리엘은 다니엘 9장이 주어진 시점에 전달했던 기별과 함께 다니엘에게 8장의 이상을 돌이켜 지적한다. (228.2)
 여섯째, 다니엘 9:23에 나온 “이상”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는 마르에(maréh)이다. 그런데 이 예언들에서 “이상”에 해당하는 또 하나의 히브리어 단어가 있는데, 앞서 다니엘 8:1~2, 13에서 보았던 하존(hazon)이다. 그것은 그 두 언급 사이에서 짐승과 기타 상징들을 포함하는 이상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히브리어 마르에에는 다른 의미가 내포돼 있다. 그것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존재의 출현이 있는 이상을 가리킨다. 이런 의미는 다니엘 10:5~6에 분명하게 나타나는데, 거기서 다니엘은 하나님의 인격적 현현(顯現)을 보았다. 그는 다니엘 10:7에서 이 현현을 마르에“출현”의 이상으로 말한다. (228.3)
 이러한 구분은 다니엘 8장에 나온 해설의 끝부분에서 사용되는데, 26절은 이렇게 말한다. 이미 말한바 주야에 대한 이상[마르에]이 확실하니 너는 그 이생[하존]을 간수하라 이는 여러 날 후의 일임이니라.” 여기서 상징적 이상인 1~12하존과 두 천사가 주야에 관해 말한 마르에 곧 출현의 이상이 구분된다. 따라서 가브리엘이 9:23에서 마르에에 관해 말할 때 그는 더 구체적으로 다니엘 8:13, 14에 주어진 시간 예언을 가리키는 것이다. 다니엘 9:24에서 말한 유대인에 관한 이 예언이 다니엘 8:1~12에 나온 바사와 헬라와 로마에 관한 예언을 설명해 줄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다니엘 9:24의 70이레는 다니엘 8:14의 2, 300주야와 구체적으로 연결된다. (229.1)
 일곱째, 다니엘 9:24의 첫 번째 동사는 유대 백성과 예루살렘 성을 위해 70이레가 “정해졌다[잘라내졌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영어 역본은 “정해졌다”고 번역한다. 그러나 이것이 저자가 의도한 원래 의미인지는 의문이다. 여기에 나온 동사의 어근 하타크는 성경 전체에서 오직 여기에만 사용된다. 이것은 이 말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알기 위해 구약시대 후의 히브리어 용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미쉬나2 히브리어에 나온 아홉 번 중 여덟 번은 “자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3 예컨대, 만일 희생 동물의 발에 궤양이 있다면 그 궤양을 “잘라내야” 했는데. 이것은 이 동사의 어근을 사용한 표현이다. 단 한번 곧 에스더서의 아하수에로의 조서에 관한 주석에서 “정하다”라는 의미로 나타난다. 다니엘 9장의 문맥에 비추어 보면, “자르다”24절에서 사용된 가장 적절한 의미임을 알 수 있다. 70이레는 시간 단위이기 때문에 또 하나의 시간 단위 곧 위에서 거론된 증거에 따라 서로 연관된 두 단위 중 앞의 것인 2,300주야에서 잘라내져야 한다. 그러므로 70이레는 2.300주야의 시작부분에서 잘라내져야 한다. ‘이상’을 설명하면서 가브리엘이 단지 490년의 시작 시점을 언급했기때문에(단 9:23, 25), 2,300년도 같은 시점에 시작되어야 한다.”4 (229.2)
“네 백성과 네 거룩한 성을 위하여 칠십 이레로 기한을 정하였나니”(단 9:24). 이 단어[정하였나니]의 일차적인 의미가 ‘자르다’, ‘잘라내다’이고, 따라서 다니엘서를 헬라어와 라틴어로 번역한 초기 역본에서 이렇게 사용된 것에 모든 학자가 동의한다 ∙∙∙ 셈어 학자 중에도 이것이 이 동사의 일차적인 의미임을 부정하는 자는 없다. 그러나 영어 번역자들은 70이레와 더 긴 기간인 2,300주야의 연관성을 보지 못하여 70이레라는 기간이 문자 그대로 어떤 것에서 잘라내졌다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그 단어의 이차적인 의미인 ‘정해졌다’, ‘내려졌다’, ‘결정되었다’ 등으로 이해했다(George McCready Price, The Greatest of the Prophets [Mountain View, CA: Pacific Press, 1955]. 230).
(230.1)
 결론
 다니엘 8장9장의 이상이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일곱 가지 사항을 지적했다 또한 같은 천사 가브리엘이 해설자인데, 그는 8장의 이상에 대한 설명을 끝마치기 위해 9장의 이상에서 되돌아온다. (230.2)
 William H. Shea (231.1)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