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총회 성경연구소의 성경 난해 문제 해석 구약의 난해 문제 질문 30 여호야긴은 몇 살 때 왕이 되었는가?
  • 1
 “여호야긴이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십팔 세라 예루살렘에서 석 달을 치리하니라 그 모친의 이름은 느후스다라 예루살렘 엘라단의 딸이더라”(왕하 24:8). (158.1)
 “여호야긴이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팔세라 예루살렘에서 석 달 열흘을 치리하며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더라”(대하 36:9). (158.2)
 열왕기하 24:8역대하 36:9은 여호아긴의 짧은 통치 기간 및 그가 바벨론으로 포로로 잡혀간 이야기를 공식적인 문구를 사용하여 요약한다. 이 같은 공식적인 문구는 성경의 역사서에 잘 나타나는데(예컨대, 왕하 18:2; 21:1; 22:1 등), 통치를 시작할 때 왕의 나이, 통치 기간, 통치 장소 등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열왕기하는 왕의 모친의 이름 및 혈통도 기록한다. (158.3)
 열왕기하 24:8은 여호야긴이 왕이 되었을 때의 나이를 18세로 제시하는 반면, 평행 본문인 역대하 36:9은 그가 8세에 불과했다고 말한다. 외관상 이 두 본문 사이에 모순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예루살렘의 제2차 파괴(BC 597년)가 있은 지 5년 후 곧 BC 592년의 것으로 보이는 성경 외(外) 문서가 느부갓네살 왕의 궁전에서 발견되었는데, 거기에 유다 왕 여호야긴과 그의 다섯 아들을 위한 양식 배급량이 언급돼 있다.1 597년에 8세의 여호야긴이 석 달을 치리했다는 진술과 592년(13세가 되었을 때)에 그가 다섯 아들을 두었다는 말 사이에 모순이 있어 보인다. (158.4)
 본문 와전(訓傳)의 가능성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의 주석자들은 역대하 36:9에 필사상의 오류가 있다고 주장한다.2 이 상황에서 히브리어로 숫자가 각각 기호가 아니라 단어로 기록된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열왕기하 24:8을 문자적으로 번역하면 “8 [그리고] 10년의 아들”이 되어야 하는 반면, 역대하 36:9“8년들의 아들”이 된다. 필사상의 오류를 해결책으로 받아들인다면 하나가 아니라 두가지 문제를 해명해야 한다. 역대하 36:9에는 “10”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단어가 빠져 있을 뿐 아니라, 열왕기하가 단수 형태의 “년”을 사용하지만 역대하는 복수 형태의 “년들”을 사용하고 있다. (159.1)
어떤 나라들에서는 특정 시기에 왕이 권력의 절정기에 통치하고 있는데도 아들을 공동 통치자로 임명하는 것이 관례였다. ∙∙∙ 한 나라의 정확한 연대기를 구축하는 데 공동통치를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공동 통치라는 개념이 알려지지 않았다면 중첩되는 해들이 연속적으로 계산되어, 한 나라의 역사가 실제적인 기간보다 더 길어 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E. R. Thiele,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Grand Rapids, MI:Zondervan, 1983], 46, 47).
(159.2)
 해결책의 제안
 이 난제를 푸는 또 다른 방법이 있는데, 이 본문상의 충돌을 와전으로 보지 않고 여호야긴과 그의 아버지 여호야김의 공동통치에서 해결책을 찾는다.3 연대기를 재구성할 때 E. 씰리(E. Thiele)가 세운 기본적인 전제에 기초하여, 여호야긴의 삶에 있었던 두 가지 별도의 사건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 제안을 따른다면, 역대하 36:9은 아버지 여호야김의 통치 1년에 여호야긴과 그의 아버지의 공동통치가 시작된 때 (BC G08년)를 묘사하며, 반면 열왕기하 24:8은 그의 아버지가 죽은 후 BC 598년 말에 그가 단독통치를 시작한 때를 말한다. 여호야긴의 통치기간에 대한 묘사(“석 달”“석 달 열흘”)는 대략적인 계산과 좀 더 구체적인 계산 방식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다. 모든 자료를 종합해 볼 때, 이렇게 이해하는 것이 본문 와전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보다 더 합리적이다. (159.3)
 Gerald A. Klingbeil (160.1)
 미주
 1. J. B. Pritchard, ed., Ancient Near Eastern Texts, Third edition(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8), 308.

 2. 이런 제안은 비블리아 헤브라이카 쉬투트가르텐지아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에 있는 본문에 대한 비평적인 주에 나오는데, 바티칸 사본을 제외한 <70인역〉의 몇몇 사본이 헬라어 “18”로 번역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3. 역사적 및 성경적 자료를 설득력 있고 주의 깊게 재구성하여 논한 Leslie McFall, “Some Missing Coregencies in Thiele’s Chronology,” Andrews University Seminary Studies 30.1(1992):35~58을 참조하라. (160.2)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