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총회 성경연구소의 성경 난해 문제 해석 신약의 난해 문제 질문 50 예수께서 반석 위에 교회를 세우겠다고 말씀했는데, 그 반석이 베드로인가?
  • 1
 “또 내가 네게 이르노니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마 16:18). (244.1)
 적어도 교황 레오 1세(AD &세기) 이래로, 가톨릭교회는 그리스도께서 베드로를 교회의 머리로 세우셨으며, 따라서 베드로가 로마의 초대 주교이고 그의 계승자인 교황은 하나님께서 임명하신 그리스도 교회의 지도자라는 주장을 지지하기 위해 이 본문을 사용해 왔다. 예수께서 그리스도 교회가 베드로 위에 세워질 것이라고 말씀하시지 않았다면 그분께서 무슨 말씀을 하고 계시는가? (244.2)
 역사적 배경
 예수님과 제자들이 가이사랴 빌립보에 있을 때 그분이 이 말씀을 하셨다. 주님께서는 사람들이 당신을 누구라 말하는지 물으셨다. 제자들은 침례자 요한, 엘리야, 예레미야 혹은 기타 선지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말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런 다음 예수께서는 그들을 향하여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라고 물으셨다(마 16:15). 베드로는 이에 대해,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16절)라고 분명하게 대답하였다. 예수께서는 그 대답을 한 베드로를 축복하시면서 그 대답이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로부터 온 계시라고 말씀하신 후 본문의 진술을 하셨다. (244.3)
 말놀이
 이 본문에 말놀이가 들어 있다는 것과 앞에서 말한 단어들을 넌지시 언급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이 본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먼저, 그 말놀이를 살펴보자. 헬라어로 “베드로”(Peter)라는 이름은 페트로스(petros)이다. 이 헬라어를 거의 그대로 음역한 말에서 “베드로”가 나왔다. 그러나 이 본문 안에는 비슷한 또 하나의 헬라어 단어 페트라(petra)가 있는데, “반석, 바위”를 의미한다.1 말놀이는 이렇게 이어진다. “너는 베드로(페트로스)라 내가 이 반석(페트라)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18절). 그렇다면 예수께서 교회를 세우실 페트라는 무엇인가? (244.4)
 페트라의 의미
 페트라는 신약에서 15번 사용되었는데, 예수님과 신약의 저자들이 그 용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유익하다. 페트라는 폭풍으로부터도 집을 보호할 만큼 충분히 튼튼한 기초가 될만한 바위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마 7:24, 25:눅 6:48). 그것은 예수님이 운명하실 때 지진으로 “바위가 터”졌다고 말한 경우(마 27:51)나 주님께서 사흘 동안 누워 계셨던 바위 속에 판 무덤(마 27:60; 막 15:46)을 가리킬 때도 사용된 용어이다. 그것은 씨앗이 자랄 만큼 충분한 흙이 없는 돌밭을 가리키고(눅 8:6, 13). 예수를 메시아로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이스라엘을 넘어지게 한 “거치는 반석”에 해당하는 용어이기도 하다(롬 9:33; 벧전 2:8). 또한 그것은 물이 흘러나와 광야에서 이스라엘로 마시게 했던 반석(고전 10:4) 및 교회의 “모퉁이의 머릿돌”(벧전 2:7)이다. 이뿐만 아니라 그것은 그리스도의 재림 시에 악인들이 숨어서 어린 양의 진노에서 자기들을 숨겨 주는 곳을 가리키는 말로, “산”과 함께 평행적으로 사용된다(계 6:15, 16). (245.1)
 신약의 용례의 개괄을 통해 페트라의 몇 가지 특성이 명백하게 드러난다. 문자적인 뜻으로 페트라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무거워 요동함이 없는 큰 반석이나 산의 일부(주님의 무덤, 터진 반석,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산과 바위 등의 용례에서처럼)를 가리킨다. (245.2)
“베드로라고 하는 말은 돌, 곧 구르는 돌을 뜻한다. 베드로는 교회의 터가 세워진 반석은 아니었다. 그가 저주하고 맹세하면서 주님을 부인하였을 때에 음부의 권세가 그를 이겼었다. 교회는 음부의 권세가 이길 수 없는 분이신 그리스도 위에 세워졌다”(시대의 소망, 412).
(246.1)
 그러나 페트라의 적지 않은 용례는 확실하게 상징적이며, 따라서 문자적인 것 외의 다른 것을 나타낸다. 씨뿌리는 자의 비유에서, 예수께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사람 및 복음에 대한 그들의 반응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서로 다른 종류의 땅을 사용하였다(참조 눅 8:6). 추가적으로 기타 상징적인 용례에는 반석 위에 세워진 집(마 7:24~27; 눅 6:47~49), “거치는 반석”, “모퉁이의 머릿돌”(롬 9:33; 벧전 2:7, 8), 광야에서 이스라엘이 마셨던 신령한 반석(고전 10:4) 등이 포함되는데, 모두 신약의 기자들이 그리스도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한 말이다. (246.2)
 페트라의 상징적 용례
 마태복음 16:18은 예수께서 페트라를 상징적으로 사옹한 경우에 속하는데, 거기서 그분이 그 위에 문자적인 교회 건물을 세우려 하신 어떤 큰 기초 돌을 언급하지 않은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상징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여기 사용된 말놀이 및 앞에서 사용된 단어들을 임시적으로 언급한 것을 살펴보면 이 용어를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된다. 페트로스페트라는 각각 같은 말의 남성형과 여성형이다. 예수께서 이 단어들을 아람어로 말했고. 따라서 두 경우 모두 같은 아람어인 케파였을 수도 있지만 마태는 헬라어로 이 둘을 구별하여 예수께서 하신 말씀의 의미를 명백하게 설명한다. 예수께서는 베드로에게 이렇게 대답하셨다. “너는 베드로(페트로스)라 내가 이 반석(페트라)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마 16:18). 그분은 교회의 기초가 될 반석이 베드로라는 의미로 이렇게 말씀하셨는가? 이런 이해는 두 가지 이유로 타당하지 않아 보인다.

   첫째. 베드로는 16절에서 그의 유명한 고백을 한 직후에 사단에게 붙잡혔고(마 16:23), 후에 예수님이 심문 받으실 때 그가 그분을 세 번 부인할 때도 그랬다(마 27:69~75). 만약 베드로가 페트라였다면 예수님의 말씀은 성취되지 않았어야 했다. 후에 베드로가 재헌신했을 때, 예수께서 그를 재임명한 것이다(요 21장).

   둘째. 베드로가 반석이 아니라는 것은 신약에서 페트라라는 용어의 다른 세 가지 상징적 용례에서도 확인되는데, 위에서 언급한 대로 모두 다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베드로 자신도 반석(페트라)의 상징을 사용할 때 그것을 자신이 아니라 예수님과 연관시킨 것(벧전 2:7, 8)은 의미 있다. 또한 구약에서도 “반석”이라는 말이 자주 하나님을 가리키는 상징으로 사용된 것을 보면 이해에 도움을 준다(참조 신 32:15, 18; 삼하 22:2, 47; 시 18:2; 31:3; 42:9). (246.3)
 결론
 그리스도 교회가 제자 중 한 사람이나 단순한 인간의 신앙고백위에 세워진다면. 그 기초 속에 인간의 실패, 죄. 연약성 등의 문제 및 부조리 등도 두어야 할 것이다. 교회의 운명에 대한 비전도 인간의 통찰이 상상할 수 있는 데까지만 미칠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위에 세워졌다. 십자가에서 표현된 그분의 은혜와 용서가 교회를 존재케 하는 원천이다 대제사장으로서 그분의 봉사는 교회가 하나님과 함께 설 수 있게 하는 보증이며 재림에 대한 그분의 약속은 교회의 운명을 말하는 비전이다. (247.1)
 Tom Shepherd (248.1)
 미주
 1. F. Dank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hird ed. (Chicago. I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s.v. petra. (248.2)
 “여호와의 율법은 완전하여 영혼을 소성케 하고 여호와의 증거는 확실하여 우둔한 자로 지혜롭게 하며 여호와의 교훈은 정직하여 마음을 기쁘게 하고 여호와의 계명은 순결하여 눈을 밝게 하도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도는 정결하여 영원까지 이르고 여호와의 규례는 확실하여 다 의로우니 금 곧 많은 정금보다 더 사모할 것이며 꿀과 송이꿀보다 더 달도다”(시 19:7~10). (248.3)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