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총회 성경연구소의 성경 난해 문제 해석 신약의 난해 문제 질문 80 제칠일 안식일이 “장래 일의 그림자”인가?
 “장래 일의 그림자”
 “그러므로 ∙∙∙ 안식일을 인하여 누구든지 너희를 폄론하지 못하게 하라 이것들은 장래 일의 그림자(헬라어 스키아)이나 몸(헬라어 소마)은 그리스도의 것이니라”(골 2:16~17). 헬라어 스키아소마의 기본적인 의미에 대한 학자들의 전반적인 견해는 일치한다. 스키아는 여기서 문자적인 실제 “그림자”가 아니라 “예시”(豫示)를 의미한다.6 스키아라는 단어가 “장래 일”(헬라어 톤 멜론톤)이라는 구절과 직접 연결돼 있기 때문에 그렇다. 골로새서 2:17히브리서 10:1과 매우 비슷하다. “율법은 장차 오는 좋은 일(헬라어 텐 멜론톤 아가쏜)의 그림자(헬라어 스키아)요 참 형상이 아니므로”(히 10:1). 프랭크 홀브루크(Frank Holbrook)는 골로새서 2:17을 다음과 같이 해설한다. (411.3)
 이 구절을 여는 열쇠는 열거된 사항들이 “장래 일의 그림자” 곧 장차 올 것을 예시하는 표상들이라고 진술하는 17절이다. “장차 오는 좋은 일”을 제시하는 율법은 ∙∙∙ 다른 곳에서 표상 및 예식과 관련된 제사법으로 분명하게 진술돼 있다(참조 히 10:1~4). 그러므로 16절에 열거된 사항은 모두 “그림자” 곧 표상이므로 그리스도의 오심, 그분의 속죄의 죽음 그리고 제사장 봉사를 표상하는 의식법에서 속하는 것들이다.7 (412.1)
 그리스도의 희생은 유월절이 예시한 실체이다. 또 다른 헬라어 단어 소마를 가지고 말놀이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소마는 문자적으로 “몸”을 의미하지만 사전에 이 문맥에서는 “사물 자체, 실체”라는 의미로 쓰인다고 되어 있다.8 그리스도는 거룩한 의식들이 예표한 실체가 되었다〈새영어성경〉은 17절을 정확하게 번역했다. “그것들은 단지 장차 올것의 그림자이나 실체는 그리스도이다.” (412.2)
 골로새서 2:12에서 시작하는 문단 전체의 구조와 문맥 및 전반적인 논리의 흐름에 비춰보면, 17절“그림자”14절16절의 내용을 가리킨다는 것이 드러난다. 다시 말하면 “문맥이 의식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언급된 안식일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성취될 ‘그림자’ 또는 표상인 유대인의 연례 절기 안식일이다.”9 16절에 열거된 사항들은구약의 하나님의 백성이 메시아를 기다리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의도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이 이런 유대인의 절기를 지키는 것은 예수의 메시아 되심을 부인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412.3)
 여러 해 동안 안식일을 지지하지 않는 저술가들도 골로새서 2:16“안식일”을 다룰 때 문맥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인식하였다. 예컨대, 윌리엄 플루머(William Plumer)는 골로새서 2:16에 대해서 이렇게 썼다. “문맥은 바울이 제칠일 안식일이나 기타 십계명 제도에 대해서 말하지 않고 도덕법 이외의 문제에 대해서 말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 준다.”10 (413.1)
 결론
 처음에 제기된 질문 곧 “제칠일 안식일이 장래 일의 ‘그림자’인가?”에 대한 대답으로, 매우 설득력 있는 언어학적 증거와 성경의 평행 본문들의 증거 및 문맥의 증거에 비추어 골로새서 2:16, 17의 안식일이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적 제도에 속한 절기 안식일을 가리킨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스도께서 악의 세력을 물리치고 의식법이 그것의 구원론적 목적을 성취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이런 의식 규정들은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써 폐지되어 이제 전혀 의미가 없어졌고 더 이상 지켜야할 필요가 없다. (413.2)
 W. E. 리드(W. E. Read)의 간명한 진술은 본 연구의 결론에 적절하다. “주의 안식일 곧 제칠일 안식일은 표상이 아니라 기념이다. 기념은 회고하고 표상은 고대한다.”11 그러므로 십계명의 제칠일 안식일은 여전히 거룩하게 지켜야 한다. (413.3)
 Ron du Preez (413.4)
 미주
 1. 로마가톨릭교회 저술가와 개신교 저술가들 가운데 있는 이런 경향의 간략한 개관 및 여기서 지적되는 기타 논점들에 관한 추가적인 중거에 대해서는 Ron du Preez, Judging the Sabbath: Discovering What Cant Be Found in Colossians 2:16 (Berrien Spring, MI: Andrews University Press. 2008), 1~ 16를 참조하라

 2. Charles R. Hume. Reading Through Colossians and Ephesians (London: SCM. 1998), 44.

 3. Walter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second ed., Frederick William Danker, ed.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452.

 4. Gordon H. Clark, Colossians: Another Commentary on an Inexhaustible Message, Tyndale New Testament Commentaries (Phillipsburgh, NJ: Presbyterian and Reformed, 1979), 96.

 5. Ibid., 96.

 6. Bauer. 755.

 7. Frank B. Holbrook, “Frank Answas: Did Christ Abolish the Sabbath?” These Times, August 1977, 22.

 8. Bauer; 799.

 9. Don Neufeld, ed., Seventh-day Adventist Encycbpediai: M ~ Z, second rev. ed.. Bobbie Jane Van Dolson and Leo R. Van Dolson. eds. (Hagerstown. MD: Review and Herald, 1996), s.v. “Sabbath.” 케네쓰 우드(Kenneth Wood)는 이렇게 설명한다 “그러므로 ‘그림자’는 연례 절기 안식일을 포함하는 의식법의 다양한 요소들을 잘 묘사하고 있다. 그것들은 그리스도의 삶과 봉사와 나라를 실체로서 가리킨다”(Kenneth Wood, “The ‘Sabbath Days’ of Colossians 2:16, 17,” in The Sabbath in Scripture and History, Kenneth A. Strand, ed,(Washingtcn, D.C.: Review and Herald, 1982), 339.

 10. William S. Plumer, The Law of God as Contained in the Ten Commandments, Explained and Enforced (Philadelphia, PA: Presbyterian Board of Education, 1864), 307.

 11. W. E. Read. “More on Colossians 2:14.” Ministry, February, 1973, 47. (4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