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총회 성경연구소의 성경 난해 문제 해석 신약의 난해 문제 지문 65 하나님의 진노는 무엇이며 어떻게 나타나는가?
 여기서 하나님께 적용된 “진노”라는 용어는 인간의 죄된 행위 및 악에 대한 하나님의 예기된 반응을 나타낸다.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는 불법으로 인해 생긴 그분의 불쾌하심의 무서운 표출이다.”(시대의 소망, 753). (325.1)
 복음의 한쪽이 죄인들을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의지를 나타냄으로써 그분의 메시아됨에 대한 그들의 믿음을 통해 그들이 구원의 계획을 받아들이도록 초청하는 것이라면, 다른 한쪽은 하나님의 진노, 곧 그분의 구원을 거절하는 모든 자들의 삶에 나타난 죄에 대한 그분의 정죄를 보여준다. 복음을 받아들이는 자들의 지위가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있다면 (3:21~31), 은혜를 거절한 인류의 지위는 하나님의 진노 아래 있다 “진노”가 인류의 마땅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표현한다면 반대로 “은혜”는 하나님의 마땅한 가치를 말해 준다 복음에는 항상 진노로부터의 구원이 포함 된다. (325.2)
 Roberto Badenas (325.3)
 미주
 1. J. A. Beiigel, Gnomon of the New Testament, 5 vols., 1742, quoted by Douglas J. Moo, The Epistle to the Romans (Grand Rapids, MI:Eerdmans, 1996), 102.

 2. 로마자 LXX 곧 70은 BC 2세기에 구약을 헬라어로 번역한〈70인역〉을 나타낸다.

 3. 전적 타락(total depravity)이라는 말은 인간이 전적으로 악한 존재라기보다는 그의 인격의 모든 기능 곧 그의 정신과 육체가 모두 죄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말이다.

 4. F. D. Nichol, ed.,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7 vols. (Washington DC:Review and Herald, 1980), 6:477.

 5. 프리드리히 쉴러(Friedrich Schiller, 1759~1805년)는 독일의 유명한 시인이자 극작가였다. (325.4)
 “성경 연구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려는 에스라의 노력은 거룩한 기록을 보존하고 증가시켜 온 그의 근실한 평생 사업에 의하여 영속되었다. 에스라는 그가 찾을 수 있는 모든 율법의 사본들을 모아서 이것들을 필사하여 분포하였다. 이렇게 하여 증가된 순수한 말씀이 많은 백성들의 수중에 들어가 그들에게 측량할 수 없이 귀중한 지식을 주었다.”(선지자와 왕, 609). (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