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총회 성경연구소의 성경 난해 문제 해석 신약의 난해 문제 질문 79 아내는 남편에게 복종해야 하는가?
 결론
 앤드류 링컨(Andrew Lincoln)이 이 결혼 법의 본질적인 의미를 다음과 같이 포착했는데, 그것은 적절하다. (404.2)
모든 것이 상호 복종이라는 깃발 아래 있지만 구체적으로 요구된 행동은 이렇게 요약될 수 있다. 아내는 사랑하는 머리인 그녀의 남편에게 복종하고 그를 경외해야 하며, 남편은 자기를 위해 베푸는 것과 동일한 관심을 가지고, 아내를 위해 자기의 생명도 희생할 수 있을 만큼의 사랑으로 그녀를 대해야 한다. 양편 배우자 모두에게 주로 그리스도와 교회의 유비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그리스도 중심적인 동기가 있어야 한다.3
(404.3)
“아내는 남편을 존경해야 하며, 남편은 아내를 사랑하고 보살펴야 한다”(재림신도의 가정. 103).
(404.4)
 남편과 아내에게 신자가 본받아야 할 모본으로 기능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희생적 사랑이다. 이런 그리스도 중심적인 동기가 그리스도인의 결혼의 표준을 변화시켜, 심사숙고한 결혼 신학을 표방할 수 있다. 만약 남편이 아내를 사심 없이 사랑하고 자신을 기꺼이 희생하며,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위해 하신 것처럼 자기의 필요보다 아내의 필요를 우선에 둔다면, 남편이 아내와의 관계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희생적 사랑을 실천할 때 복종과 머리됨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해석하면, 결혼이란 그리스도의 희생적 사랑의 모본을 따르고자 노력하는 남편과 아내가 서로 사랑으로 복종하도록 하는(엡 5:21) 제도적 장치가 될 것이다. 이러한 결혼은 “한 몸” 연합을 나타내며, 온 인류와 우주를 다시 연합시키는 하나님의 뜻의 중심에 있는 연합(1:10)을 확증해 줄 것이다. (404.5)
 Leo Ranzolin, Jr. (405.1)
 미주
 1. Taryn Fitsik, “1 in 4 women experience abuse in relationships.” http://www. wten.com/Global/storyasp?S=11233097; accessed October 1, 2009.

 2. 케팔레(“머리”)라는 말은 근원이나 탁월성이 아니라 권위나 지도권을 나타낸다 (Walter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hird edition [Chicago, IL:University of Chicago, 2000], 542).

 3. Andrew T. Lincoln, Ephesians, Word Biblical Commentary 42(Dallas, TX: Word Books, 1990), 389. (4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