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정한 짐승의 부정은 전염되지 않는다. 그런 짐승은 그것의 부정을 옮기지 않는다. 살아있는 부정한 짐승은 전염되는 부정의 여섯가지 근원(죽은 동물, 시체. 다양한 피부병, 곰팡이, 생식기와 관련 된 유출들[피, 정액])에 속하지 않는다. (86.1)
(3) 부정한 짐승을 만지거나 운반하는 것이 성전을 방문하거나 성소에서 예배하는 것 등과 같은 사회적 및 종교적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막진 않는다. (86.2)
(4) 부정한 짐승을 정하게 만드는 규정은 없다 다시 말해서, 이런 유의 부정을 제거하는 방법은 없다. 그것을 정결케 하거나 고치는 것이 불가능하다. (86.3)
(5) 이런 음식 규정에 불순종하는 데 대한 구체적인 형벌이 없다. 그러나 형벌이 없다고 하여 그것들을 가벼이 여기라는 뜻은 아니다. 이런 규정은 성소에서 의식(儀式)을 통해 속죄할 수 없는 죄의 범주에 속한다. (86.4)
(6) 이런 식사법은 구약의 지상 성소 봉사나 하나님의 백성 가운데 있는 여호와의 가시적 임재(셰키나)와는 연관되지 않는다. (86.5)
(7) 이런 식사법의 기원은 모세 이전 시대로 거슬러 가며(창 7:2, 3), 따라서 기타 유형의 부정에 관한 법보다 훨씬 더 오래된 것이다. (86.6)
(8) 오경의 식사 규정은 객이나 이방인(히브리어 게르)에게도 적용될 수 있었다. 레위기 11~15장에 나온 부정의 전 체계 중 식사법만이 사냥과 관련된 법을 통해 객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이스라엘 백성뿐만 아니라 이방인에게도 구속력이 있었음을 말해 준다(레 17:13; 참조 창 9:4; 7:17, 18). (86.7)
3. 레위기에 나오는 거룩함에로의 강한 부르심은 그리스도인을 향해 베드로가 거룩하라고 강하게 권고하는 것과 조화를 이룬다. 베드로가 거룩하라고 권하는 이유는 모세의 식사법을 다루는 성경구절에서 나왔다(레 11:44, 45). (87.1)
5. 모세의 법은 전체로서 완전하고 서로 긴밀히 연결된 면모를 띤다. 어떤 법들(예컨대 우상숭배, 매춘, 동성애, 근친상간 등을 금하는 법들)이 단순히 오경에 들어있다는 이유로 그것들을 버릴 수는 없다. 가장 큰 두 개의 계명도 출처가 오경이다(신 6:5; 레 19:18). (87.3)
6. 건강과 관련된 법은 건강뿐만 아니라 거룩함과도 관련되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져야 한다. (87.4)
7. 부정한 음식에 관한 법은 신약에서 폐지되지 않았다. 정한 음식과 부정한 음식에 관한 규정에는 예수를 궁극적 성취로 가리키는 표상학적 또는 상징적 성격이 전혀 없다. 반면, 제사 의식과 관련된 규례들은 그것들이 예표하는 실재가 도래하면서 법적 유효성을 상실했다(단 9:27; 엡 2:15). (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