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과 같은 이유들 때문에 어떤 학자들은
다니엘 8장의 작은 뿔이 교황권만을 상징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구조적으로뿐만 아니라 주제적인 면에서
다니엘 7장의 이상과 긴밀하게 연결된
8장의 이상에서
“작은 뿔”이라는 같은 상징을 사용한 것은
8장의 뿔이
7장의 뿔과 동일한 역사적 실체임을 나타낸다. 이것은 일관된 상징 해석으로 간주된다.
둘째,
다니엘 8장의 이상은 점점 제의적 초점이 두드러지다가 작은 뿔이 나타날 때 성소와 관련된 용어가 사용된다. 예컨대, 작은 뿔이
“영화로운 땅”을 향해 커져 나간다고 되어 있는데(
8:9), 이 용어도 성소와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그러한 암시를 보여 준다(
“영화롭고 거룩한 산”이라는 구절을 보라.
단 11:45;참조
사 11:9).
다니엘 7장에서 교황 로마를 상징하는 작은 뿔만이 성소를 공격 목표로 삼는다고 묘사되어 있다.
셋째.
다니엘 8:23~25에 기록된 이상에 대한 해석은 작은 뿔처럼 거룩한 백성과 하나님을 공격하는 한 왕을 언급하는데, 그런 행동은 교황 로마를 대표한다.
8:23~25은 교황 로마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어 보인다. 이 견해에 의하면,
다니엘 8장의 이상은 작은 뿔이 이전의 두 정치적 세력과는 다름을 강조하려는 듯이 보인다. 이 이상에
다니엘 7장의 넷째 짐승이 빠진 것은 독자들의 관심을 숫양, 숫염소, 그리고 특히 종교적 세력인 작은 뿔에만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참조 Martin Probstle,
“Truth and Terror:A Text-Oriented Analysis of Daniel 8:9~14”(Ph,D, dissertation, Andrews University, 2006), 623, 624;Jacques Dukhan,
Daniel:The Vision of the End (Berrien Springs, MI:Andrews University Press, 1987), 23~25, 28.
2. Gerhard E Hasel,
“The ‘Little Horn,’ the Heavenly Sanctuary, and the Time of the End: A Study of Daniel 8:9~14,” Symposium on Daniel, Daniel and Revelation Committee Series, ed. Frank B Holbrook(Washington DC:Biblical Research Institute, 1986), 378~461;C. Mervyn Maxwell,
God Gares, 2 vols. (Nampa, ID:Pacific Press, 1981), 155~189.
3. MaxweU, 160, 161.
4. 본서에 있는 M. Probstle의
“작은 뿔이 나온 곳은 숫염소의 네 뿔 중 하나인가, 아니면 사방[네 바람] 중 하나인가?”를 참조하라.
5.
다니엘 7장에서 작은 뿔은 로마를 대표하는 넷째 짐승에서 나왔고, 1,260년 동안 존속하였다(
단 7:8, 25).
6. 예컨대, 작은 뿔은 넷째 짐승에서 나왔으므로, 로마의 특성을 지닌다(
7:8). 그것은 열국 중에서 나타나 그들 중 셋을 뿌리 뽑았는데. 이는 교황 로마와 게르만 족과의 투쟁을 상징한다(
7:8). 성도가 일정 기간 작은 뿔의 세력에 넘겨진 것은 중세에 교황 로마가 득세한 것과 관련된다(
7:25). 교황 로마는 때와 법을 변개하려 하였다(
7:25).
7. 본서에 있는 Richard Davidson의
“예수께서 말씀하신 ‘이 세대’는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참조하라.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