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마가가 자신의 주석을 도입시킬 때는 일반적으로 일종의 신호 구절을 사용하여 분명하게 밝힌다(예를 들어, 같은 장의
2, 3, 11, 34절을 참조하라). 오리게네스는 처음으로 19절의 마지막 구절이 마가에 의한 주석이라고 제안하였다(
Comm. Matt 11.12.36-39). 다수의 현대 역본들이 이 개념을 따라 마가의 주석으로 생각되는 부분을 괄호에 두거나 직접인용 부호 바깥에 둠으로써 앞에서 계속된 예수의 말씀과 구분한다(〈미국표준역〉은 두드러진 예외다).
2. 인간적인 것과 하나님께 속한 것의 대조는 마가복음에서 자주 발견된다(참조
8:33; 10:9:11:27, 30, 32; 12:14 등).
3. 복음서 가운데서
마가복음 7장에서만 형용사와 동사 함께 나타난다. 이 용어는 마카베오서에 이따금씩 나타난다(참조 마카베오 1서 1:47, 62;마카베오 4서 7:6). 특히, 돼지를 따로 언급함으로써 의식적으로 더럽혀진 정결한 짐승을 부정한 짐승과 구분 짓는 것처럼 보이는 첫 번째 용례는 의미 있다.
4. 참조〈70인역〉의
잠 1:14;마케베오 하 4:5; 9:21;
행 2:44;
유 3절.
5. 일반적인 음식과 관련된 정결 문제가 후대에 도입된 것이었다는 주장은 랍비들의 문헌뿐 아니라 신약 자체(참조
눅 11:38)에서 찾을 수 있는 중요한 증거를 도외시한다. 오경은 정결한 짐승이라도 부적절하게 죽인 짐승에서 나온 고기는 부정하며(
레 11:40:17:15), 그것을 먹는 사람도 부정하게 한다고 규정한다. 쿰란 공동체에서 살았던 유대인들은 훨씬 더 엄격한 관습을 따랐다(참조 IQS V13-14:VIII.16~18). 그러므로 바리새인들 가운데 보급된 관습은 덜 엄격했다고 생각하기는 어렵지 않다.
6. 부정한 음식을 가리킬 때는 일반적으로 수식어가 붙여졌다. 예를 들어,
“이상한 음식”(요세푸스,
유대 고대사, 4.139),
“율법 상 우리에게 금해진 모든 종류의 음식”(마카베오 4서 1:34) 등이다.
7. 이 규정에서 벗어난 예외가
사도행전 15:20; 고린도전서 10:28에 상세히 언급돼 있다(
단 1:8~16에도 이미 암시됨).
8. 부정한 음식의 주제에 관한 기독교 사상을 대략 살펴보면. 이 문제가 3세기 중반까지 해결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유익한 연구로. Jiří Moskala,
The Laws of Clean and Unclean Animals of Leviticus 11:Their Nature, Theology, and Rationale, Adventist Theological Society Dissertation Series, vol. 4 (Berrien Springs, MI:Adventist Theological Scciety Publications, 2000), 31~52을 참조하라.
(2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