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총회 성경연구소의 성경 난해 문제 해석 구약의 난해 문제 질문 42 작은 뿔이 나온 곳은 숫염소의 네 뿔 중 하나인가, 아니면 사방[네바람] 중 하나인가?
  • 1
 “숫염소가 스스로 심히 강대하여 가더니 강성할 때에 그 큰 뿔이 꺾이고 그 대신에 현저한 뿔 넷이 하늘 사방을 향하여 났더라 그 중 한[뿔]에서 또 작은 뿔 하나가 나서 남편과 동편과 또 영화로운 땅을 향하여 심히 커지더니”(단 8:8, 9). (205.1)
 다니엘 8장의 이상에서 선지자는 두 뿔 가진 숫양과 두 눈 사이에 현저한 뿔이 있는 숫염소가 사투를 벌이는 것을 보고 있다(3~7절). 20절에서 다니엘은 숫양이 메대 바사를 상징하고 숫염소는 헬라를 상징한다는 말을 듣는다. 천사는 현저한 뿔이 첫 왕 곧 알렉산드로스를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그런 다음 다니엘은 현저한 뿔이 꺾이고 네 뿔이 그 자리를 대신하는 것을 본다 역사를 통해 우리는 알렉산드로스 대제의 사후에 헬라제국이 그의 네 장군(네 뿔)에 의해 네 부분으로 분할된 것을 알고 있다. 네 뿔이 나타난 후 이어서 작은 뿔 하나가 그 장면에서 나온다. 그렇다면 질문은 “이 작은뿔이 어디에서 나왔는가?”이다. (205.2)
 대부분의 다니엘서 주석자들과 마찬가지로, 재림교회의 해석자들도 전통적으로 작은 뿔이 숫염소의 네 뿔 중 하나에서 나왔다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최근 몇 십 년 동안 재림교회 해석자들은 대부분 네바람[하늘 사방]을 작은 뿔의 기원으로 선택하였다. 작은 뿔이 어떤 짐승에게 부속된 것이 아니라면 어떻게 뿔 혼자서 세계 역사의 무대에서 하나의 정치적 세력을 대표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다. 짐승 없이 뿔만 있는 것은 분명 특이해 보이지만 독특한 경우는 아니다. 스가랴 1:18에서도 선지자는 이상 중에 “유다와 이스라엘과 예루살렘을 해친”(19절) 정치적 세력을 대표하는 네 뿔을 보았는데, 어느 곳에도 부속되지 않은 뿔이었다. (205.3)
 그러므로 다니엘 8장의 작은 뿔이 네 바람 중 하나에서 나왔다고 보아도 성경적으로 문제가 없다. (206.1)
 작은 뿔의 기원이 네 바람에 있음
 작은 뿔이 네 바람 중 하나에서 나왔다는 증거는 다음과 같다. (206.2)
 첫째, 다니엘 8:8“하늘의 네바람”(“하늘 사방”)이 9절“그중 하나” (히브리어 본문에는 〈개역한글판〉에 삽입된 “뿔”이 없음)의 가장 근접한 선행사이며, 따라서 이는 작은 뿔이 네 주요 방향을 가리키는 은유(렘 49:36; 슥 2:6)인 하늘의 네바람(사방)에서 나왔음을 나타낸다. (206.3)
 둘째, 다니엘 8장의 이상에 관한 묘사를 구조적으로 배열해 보면, 작은 뿔은 이전 두 짐승과 대등한 수준에 속해 있다 이상은 세 주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숫양(3~4절), 숫염소(5~8절), 작은 뿔(9~11절)에 관한 묘사 각 부분은 동일한 패턴 곧 소개와 활동을 보여 주며, 절대적인 권력과 자만 그리고 쇠망이 차례로 뒤따른다. 시작되는 각각의 진술에서 주역(숫양. 숫염소, 작은 뿔)은 지리적인 위치와 관련하여 소개되며, 첫 행동은 각각 지리적 방향과 관련된 운동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패턴에 비추어 볼 때. “그중 하나”는 하늘의 네바람 중 하나를 가리켜야 한다. (206.4)
 셋째, 다니엘 7장8장의 이상에 나오는 주인공들의 평행적인 순서를 보면, 8:8의 숫염소와 8:9의 작은 뿔은 순서상 연관이 있을 수 없다. 곰 같은 짐승(양편을 들고 입에 갈빗대 셋을 물고 있으며 많은 고기를 먹음; 7:5)과 숫양(두 뿔을 가졌고 세 방향을 향해 받으나 그를 당할 짐승이 없음; 8:3, 4)은 같은 나라 곧 메대 바사를 대표한다. 표범 같은 짐승(네 날개와 네 머리를 가짐; 7:6)과 숫염소(네 뿔을 가졌으며, 땅에 닿지 않고 날아다님; 8:5, 8)는 같은 나라 곧 헬라를 상징한다. 다니엘 7장의 넷째 짐승에 해당하는 짐승이 다니엘 8장에는 나오지 않는다. 다니엘 7장에서 작은 뿔의 기원이 넷째 짐승(로마)이고 넷째 짐승은 다니엘 8장의 숫염소와 같은 세력이 아니므로, 다니엘 8장의 작은 뿔은 숫염소(헬라)의 네 뿔 중 하나에서 나올 수 없다. 그것이 확장을 시작하는 지점은 하늘의 네바람(사방) 중 하나이다. (206.5)
 마지막으로, 다니엘 8:9에 나오는 히브리어 동사 야차(“나오다”)가 일반적으로 군사적인 측면에서 위치와 관련된 활동을 묘사하는데 자주 사용된 단어로, 숫양과 숫염소의 활동을 말하는데 사용된 동사들과 평행을 이룬다. 그러나 얏자는 뿔이 자라나는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진 않고, 그런 움직임은 대개 동사 알라(àlah, “올라오다”; 참조 8:3, 8)로 대표된다. (207.1)
 결론
 다니엘 8, 9장의 문법적 구문, 8장 이상의 구조적 배열, 다니엘서 전체에서 7장8장에 나타난 평행관계 등을 살펴보면, 다니엘 8장의 작은 뿔이 숫염소의 네 뿔 중 하나에서 나왔다는 해석은 성립할 수 없다. 그보다는 작은 뿔이 네 방향 중 하나 곧 서쪽에서 나왔다고 보아야 한다. (207.2)
 〈메시아 예언〉
 베들레헴에서 탄생함(미 5:2; 마 2:1; 눅 2:4~7)

 처녀가 그를 잉태함(사 7:14; 마 1:21~23)

 아브라함의 후손(창 12:1~3; 22:18; 마 1:1; 갈 3:16)

 유다 지파에 속함(창 49:10; 눅 3:23, 33; 히 7:14)

 다윗의 혈통에 속함(삼하 7:12~16; 마 1:1)

 애굽으로 피신함(호 11:1; 마 2:14, 15)

 주의 사자가 메시아를 예고함(사 40:3~5; 마 3:1~3)

 성령으로 기름부음 받음(사 11:2; 마 3:16, 17)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함(슥 9:9; 마 21:4~9)

 유대인들이 거절함(시 11:22; 벧전 2:7)

 굴욕적인 죽음(시 22장; 사 53장)

   거절(사 53:3; 요 1:10, 11; 7:5, 48)

   친구에게 배반당함(시 41:9; 눅 22:3, 4; 요 13:18)

   은 30에 팔림(슥 11:12; 마 26:14, 15)

   고소자들 앞에서 침묵함(사 53:7; 마 27:12~14)

   조롱을 딩하(시 22:7, 8; 마 27:31)

   매 맞음(사 52:14; 마 27:26)

   침 뱉음을 당함(사 50:6; 마 27:30)

   그의 손발이 찔림(시 22:16; 마 27:31)

   강도들과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힘(사 53:12; 마 27:38)

   그를 핍박하는 자들를 위해 기도함(사 53:12; 눅 23:34)

   그의 옆구리가 찔림(슥 12:10; 요 19:34)

   쓸개 탄 포도주를 마시게 함(시 69:21; 마 27:34; 눅 23:36)

   뼈가 부러지지 않음(시 34:20; 요 19:32~36)

   부자의 무덤에 장사됨(사 53:9; 마 27:57~60)

   그의 옷을 제비뽑아 나눔(시 22:18; 요 19:23, 24)

 죽은 자 가운데서 일어남(시 16:10; 막 16:6; 행 2:31)

 하늘로 올라감(시 68:18; 행 1:9)

 하나님의 우편에 앉음(시 110:1; 히 1:3). (207.3)
 Martin Probstle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