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성소론 입문
서문
— 1
역자의 서문
— 7
재판서문
— 8
제 I 부 “산에서 보인 식양대로”
— 9
제 1 장 성소란 무엇인가?
— 11
제 1 절 성소는 왜 필요했나?
— 11
1. 인간의 범죄는 그의 하나님과의 교통에 어떤 결과를 가져 왔는가?
— 11
2. 하나님께서는 죄가 파괴한 인간과 그의 창조주와의 교통을 회복하시기 위하여 어떤 계획을 고안하셨는가?
— 11
3. 인간은 하나님께서 하늘과의 교통을 회복시키고자 마련하신 제도를 어떻게 받아들였는가?
— 11
제 2 절 지상 성막
— 11
4. 바울은 광야의 성막을 어떻게 묘사하는가?
— 11
5. 지상 성소를 세움에 있어서 인간은 어떤 역할을 해야만 했는가?
— 11
6. 이스라엘 백성들은 성막과 어떤 관계를 지속하였는가?
— 11
제 3 절 성막의 벽과 지붕과 기초
— 11
7.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막을 바라보았을 때, 그들은 그 벽들로부터 무엇을 배워야 했는가?
— 11
8. 성막 자체는 무엇으로 건축되었는가?
— 11
9. 성막이 사막의 모래땅 위에 세워졌을 때, 그것은 어떤 기초 위에 놓여졌는가?
— 11
제 4 절 성막의 뜰과 두 칸
— 11
10. 지상 성막은 세 개의 주요 부분들로 나뉘어 있었다. 그것들은 무엇인가?
— 11
11. 성막의 처음 두 부분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이었는가?
— 11
12. 지성소에서는 어떤 극적인 사건이 해마다 일어났는가?
— 11
제 5 절 새 언약의 성소
— 11
13. 지상 성막은 무엇의 표상이었는가?
— 11
14. 어떤 심오한 진리가 하나님의 성막 건설 계획에 묘사되어 있었는가?
— 11
15. 왜 그리스도인들은 성소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어야 하는가?
— 11
제 2 장 지상 성막
— 25
제 1 절 성막 구조에 사용된 재료들
— 25
1. 동물계에서 얻은 어떤 재료들이 성소 건축에 이용되었는가?
— 25
2. 식물계에서는 어떤 것이 제공되었는가?
— 25
3. 광물계에서 얻은 어떠한 재료들이 성막에 사용되기를 하나님께서는 요구하셨는가?
— 25
제 2 절 성소의 색깔들
— 25
5. 그들이 다른 포장들을 자세히 관찰했을 때, 어떤 다른 색깔들을 볼 수 있었던가?
— 25
6. 색깔은 어떤 기능을 담당하였는가?
— 25
제 3 절 성막과 그 주변에 대한 설계도
— 25
7. 성막은 어떤 근본적인 형태로 설계되고 진열되었는가?
— 25
8. 성막의 부분들은 어떻게 배열되었는가?
— 25
9. 마침내 그 성막을 백성들은 어떻게 하였는가?
— 25
제 4 절 성막에 대한 이 스라엘의 관계
— 25
10. 어떤 순서로 지파들이 성막 주위에 배열되었는가?
— 25
11. 백성들은 성막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에 거해야 하였는가?
— 25
12. 약속된 땅을 향한 이스라엘의 행군 도상에서 성막의 여러 부분들이 각각 어떤 위치에 배치되었는가?
— 25
제 5 절 참 장막의 그림자
— 25
13. 지상 성막은 무엇의 표상이었는가?
— 25
14. 지성소는 어떤 형태이었으며, 하늘에 있는 무엇을 가리켰는가?
— 25
제 3 장 성소에 계시된 하나님의 목적
— 37
제 1 절 당신의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기쁨
— 37
1. 성막을 건립하게 하신 하나님의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 37
2. 어떻게 하나님의 성품이
“더 좋은 장막”
에서 더 명백히 계시되었는가?
— 37
3.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향한 자신의 관심을 묘사하셨는가?
— 37
제 2 절 당신의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자비
— 37
1. 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태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37
2. 주께서는 진정으로 회개하는 자들에 관한 당신의 욕망을 어떻게 과시하셨는가?
— 37
3. 회개한 자를 취급하기 위하여 어떤 설비가 성소에 마련되었는가?
— 37
제 3 절 당신의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인도
— 37
1. 주께서는 어떤 방법으로 당신의 백성과 부단(不斷)한 교통을 유지하시고자 하시는가?
— 37
2.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취급하시는 방법들을 어디에 계시하시는가?
— 37
3. 이스라엘 백성은 무엇을 통하여 하나님의 인도하시는 임재(臨在)를 보았는가?
— 37
제 4 절 당신의 백성과 가지시는 하나님의 교통
— 37
1. 하나님의 백성을 위하여 성막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
— 37
2. 하나님은 어디에서 그의 자녀들과 교통하시는가?
— 37
3. 하나님께서 성소를 통하여 부정한 자들을 위하여 무엇을 이루고자 하시는가?
— 37
제 5 절 당신의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의 묘사
— 37
1. 하나님께서는 어떻게 당신의 신격의 오묘들을 나타내고자 계획하시는가?
— 37
2. 아삽은 어디에서
“대쟁투”
의 절정을 바라보았는가?
— 37
3. 이 마지막 시대에 하나님의 백성들이 즐거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 37
4. 과연 성소는 무엇인가?
— 37
제 II 부 바깥 뜰
— 53
제 1 장 번제단
— 55
제 1 절 재료들과 규격
— 55
1. 번제 단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 55
2. 번제단에 입힌 놋은 어디에서 온 것인가?
— 55
3. 제단의 모양과 뜰에서의 위치는 어떠했는가?
— 55
제 2 절 뿔과 그물〔火床〕
— 55
4. 번제단의 네 모퉁이에 무엇이 불거져 나와 있었는가?
— 55
5. 이 뿔들은 무엇하는 데에 사용되었는가?
— 55
6. 그물〔火床〕의 높이는 얼마였으며, 그것은 무엇에 사용되었는가?
— 55
제 3 절 제단의 기구들
— 55
7. 번제단 주위에서 수행되던 봉사에 사용된 다섯 가지의 도구들은 어떤 것들인가?
— 55
8. 그 각 도구는 제단에서 이뤄진 봉사에서 어떤 역할을 감당하였는가?
— 55
9. 구속의 경륜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 제단의 지극한 중요성을 나타내기 위해 어떤 이름들이 제단에 붙여졌는가?
— 55
제 4 절 나무와 불
— 55
10. 어떤 암시적인 나무가 땔감으로 제단에 사용되었는가?
— 55
11. 불은 어디서 나왔는가?
— 55
12. 이 불은 무엇의 상징인가?
— 55
제 5 절 제단 봉사
— 55
13. 희생 제물은 제단 위에서 무엇이 되었는가?
— 55
14. 재는 어떻게 되었는가?
— 55
15. 이러한 의식이 완결되었을 때, 죄는 얼마나 멀리 제거되었는가?
— 55
제 2 장 물두멍과 그 받침
— 65
제 1 절 물두멍의 위치와 재료
— 65
1. 물두멍은 어떤 위치에 놓여 있었는가?
— 65
2. 물두멍을 만든 재료들은 어디서 온 것들인가?
— 65
3. 하나님께서는 성소의 뜰에 정결케 하는 어떤 이중의 방법을 준비하셨는가?
— 65
제 2 절 정결케 하는 물
— 65
4. 물두멍에는 무엇이 항상 있었는가?
— 65
5. 물두멍에 사용되던 물은 어디서 근원되었는가?
— 65
6. 이 물은 또 어떤 다른 것을 상징 하는가?
— 65
제 3 절 물두멍에서 몸을 씻던 사람들
— 65
7. 누구만이 물두멍을 사용하였는가?
— 65
8. 제사장은 신체의 어느 부분을 가장 자주 씻었는가?
— 65
9. 희생 제물이 제단 위에 놓여지기 전에, 특별히 번제를 위한 제물에는 어떤 일이 행해졌는가?
— 65
제 4 절 사용 빈도
— 65
10. 제사장들은 얼마나 자주 자신들을 씻어야 했는가?
— 65
11. 어떤 중요한 봉사에 물두멍이 사용되었는가?
— 65
12. 이러한 계속적인 씻음은 인간 본성에 관해 무엇을 가르쳤는가?
— 65
제 5 절 물두멍의 받침
— 65
13. 물두멍의 어떤 다른 부분이 언급되었는가?
— 65
14. 이것은 무엇에 사용되었는가?
— 65
15. 이것은 그리스도교의 무슨 예식을 예시(豫示)하였는가?
— 65
제 III 부 성소
— 75
제 1 장 일곱 등잔을 가진 등대
— 77
제 1 절 등대의 재료와 중량과 제작 기술
— 77
1. 등대는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가?
— 77
2. 제공된 재료의 정확한 무게는 얼마였는가?
— 77
3. 등대를 만들 때는 어떤 방법으로만 만들었는가?
— 77
제 2 절 형태와 장식
— 77
4. 등대의 일반적인 형태는 어떠했는가?
— 77
5. 매 가지에는 무엇이 붙어 있었으며, 그 세 가지 부분들이 상징하는 바는 무엇이었는가?
— 77
6.
“세상의 빛”
은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가?
— 77
제 3 절 등잔
— 77
7. 매 가지 끝에는 무엇이 있었는가?
— 77
8. 심지는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 77
9. 등잔에 사용된 기름은 어디에서 온 것이었나?
— 77
제 4 절 등대의 도구들
— 77
10. 등대의 불꽃들이 계속해서 잘 타도록 하기 위해 제사장은 어떤 도구들을 사용하였는가?
— 77
11.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등대를 손질했는가?
— 77
12. 심지에 댕겨진 불씨는 어디서 왔는가?
— 77
제 5 절 불의 봉사
— 77
13. 누구만이 등대를 돌볼 수 있었는가?
— 77
14. 요한은 일곱 개의 금 촛대 사이에 거니시는 누구를 보았는가?
— 77
15. 바벨론 역사의 마지막 밤에 촛대의 불빛이 비치는 중에 무엇이 나타났는가?
— 77
제 2 장 진설병 상
— 87
제 1 절 재료와 묘사
— 87
1. 진설병 상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그 규격은 어떠했는가?
— 87
2. 어떤 장식이 부가되었는가?
— 87
3. 이스라엘 백성들이 여행할 때에는 상을 어떻게 옮겼는가?
— 87
제 2 절 진설병
— 87
4. 상 위에는 무엇이 계속해서 있었는가?
— 87
5. 떡덩이들 이외에 상 위에는 무엇이 놓여졌는가?
— 87
6. 왜 떡은 열 두 덩어리가 있었으며, 그의 백성에게 충분한 떡을 공급하시는 분은 누구신가?
— 87
제 3 절 준비와 사용
— 87
7. 누구만이 진설병을 준비할 수 있었는가?
— 87
8. 떡은 얼마나 자주 바뀌었는가?
— 87
9. 매 안식일에 새 떡이 공급되었을 때, 묵은 떡과 향으로 무슨 일이 행해졌는가?
— 87
제 4 절 떡과 포도주를 위한 도구들
— 87
10. 떡을 만드는
“고운 가루”
는 누구를 암시했는가?
— 87
11. 무슨 제사를 드릴 때에 포도주가 사용되었는가?
— 87
12. 상과 그 봉사에 관련하여 어떤 네 개의 기구가 언급되었는가?
— 87
13. 그리스도의 봉사 사업 중 어떠한 면이 떡과 포도주에 투영되어 있는가?
— 87
14. 예수께서는 떡과 포도주가 상징하는 축전(祝典)의 개념을 이어 나갈 어떤 예식을 당신의 백성을 위하여 마련하셨는가?
— 87
15.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께서는 결국 언제 참된 떡과 포도주에 참예하실 것인가?
— 87
제 3 장 금 향단
— 93
제 1 절 금 향단의 재료와 형태
— 93
1. 향단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규격은 어떠했는가?
— 93
2. 번제단 및 진설병 상과 비교할 때, 분향단의 높이는 어떠했는가?
— 93
3. 고리와 채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 93
제 2 절 위치
— 93
4. 분향단은 성소에서 어디에 위치하였는가?
— 93
5. 단 가까이에는 무엇이 있었는가?
— 93
6. 대속죄일에 제단의 중보는 어떻게 지성소로 옮겨졌는가?
— 93
제 3 절 제 단 봉사
— 93
7. 향은 얼마나 자주 제단에 드려졌는가?
— 93
8. 불은 원래 어디서 나왔으며, 어떻게 계속 켜져 있었는가?
— 93
9. 성소 안에서 향이 드려지는 동안 백성들은 성전 바깥에서 무슨 일을 행하였는가?
— 93
제 4 절 속죄
— 93
13. 누구만이 성소에서 향을 드릴 수 있었는가?
— 93
14. 금단의 모든 봉사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 93
15. 마지막 시대에 사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그들의 기도 생활에 대하여 가져야 할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가?
— 93
제 IV 부 지성소
— 99
제 1 장 휘장 안
— 101
영광화(榮光化)
— 101
휘장들
— 101
제 1 절 재료와 위치
— 101
1. 휘장은 무엇으로 만들어 졌는가?
— 101
2. 휘장에는 어떤 색깔과 자수가 사용되었는가?
— 101
3. 세 개의 휘장들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어디에 쳐졌던가?
— 101
제 2 절 휘장과 기둥의 목적
— 101
4. 휘장을 친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 101
5. 가장 안쪽 휘장은 무엇에 달려 있었는가?
— 101
6. 그리스도께서 돌아가셨을 때 휘장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 101
제 3 절 하늘 성소의 휘장
— 101
7. 바울은 휘장이 무엇을 상징했다고 말하는가?
— 101
8. 무엇이 휘장 위에 뿌려졌는가?
— 101
9. 지상성소에서 휘장을 새로이 하는 것은 무엇을 나타냈는가?
— 101
제 4 절 셰키나
— 101
10. 하나님께서는 에덴에서 자신을 어떻게 나타내셨는가?
— 101
11. 타락 후에 하나님의 영광은 어디에 나타났는가?
— 101
12. 그리스도께서는 광야에서 당신의 영광을 모세에게 어떻게 나타내셨는가?
— 101
제 5 절 영광의 의미
— 101
13.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영광의 실체가 나타날 것에 관한 어떤 약속을 하셨는가?
— 101
14. 모세는 무엇을 보여 달라고 기도하였으며, 그가 본 하나님의 영광은 무엇을 상징하였는가?
— 101
15. 어디서 우리는 이 영광을 받을 수 있는가? 마침내 그것은 얼마나 널리 퍼질 것인가?
— 101
16. 어떤 자만이 그리스도의 영광의 광채에 거할 수 있는가?
— 101
제 2 장 법궤, 속죄소, 그룹들
— 109
법궤
— 109
제 1 절 법궤의 재료와 위치
— 109
1. 법궤는 무엇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규격은 어떠했는가?
— 109
2. 무슨 목적으로 고리와 채가 법궤에 부착되어 있었으며, 언제 그것들은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는가?
— 109
3. 이스라엘 백성들이 정착할 때와 여행할 때에 법궤는 어떤 위치를 차지하였는가?
— 109
제 2 절 법궤의 목적
— 109
4. 법궤는 무엇을 넣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는가?
— 109
5. 약속된 땅에서
“안식”
을 얻은 후의 법궤의 내용물에 관해서 무엇이라고 말했는가?
— 109
6. 법궤가 움직임에 따라 모세는 어떤 의미심장한 말을 하였는가?
— 109
속죄소
— 109
제 3 절 재료와 기능
— 109
7. 법궤의 뚜껑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 109
8. 속죄소 위에 피를 뿌리는 일이 없이 법궤를 들여다보면 어떤 결과가 생겼는가?
— 109
9. 바울은 속죄소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였는가?
— 109
영광의 그룹들
— 109
제 4 절 위치와 기능
— 109
10. 속죄소의 양쪽 끝에는 무엇이 있었는가?
— 109
11. 그룹의 자세와 태도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 109
12. 누가 자신의 영광을 발하시면서 그룹 사이에 거하셨는가?
— 109
제 5 절 대속죄일
— 109
13. 대제사장이 매년 한 번씩 들어간 곳은 어디였는가?
— 109
14. 제사장은 법궤에다 무슨 일을 행해야 했는가?
— 109
15.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들의 중보자가 여호와의 신성한 임재 안에서 봉사하고 있는 동안, 무엇을 하고 있어야 했는가?
— 109
제 3 장 십계명과 의문의 율법
— 121
십계명
— 121
제 1 절 그 기원
— 121
1. 애굽을 떠난지 제 오십 이일 되는 날, 안식일에 누가 시내산에서 십계명의 열 조항을 말씀하셨는가?
— 121
2. 어떤 수단에 의해 십계명이 들판에 새겨졌는가?
— 121
3. 무엇 위에 율법이 기록되었는가?
— 121
제 2 절 율법의 본질과 목적
— 121
4. 하나님의 율법의 기초에 무슨 원칙이 나타나 있는가?
— 121
5. 율법의 의미와 적용을 분명히 하기 위해 주님께서는 친절하게도 모세에게 무엇을 할 수 있는 권위를 주셨는가?
— 121
6. 사는 동안과 죽음 이후에 있어서 율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 121
제 3 절 율법의 범위와 시효
— 121
7. 십계명은 그 요구를 누구에게 근거하고 있는가?
— 121
8. 십계명은 얼마나 오랫 동안 지속될 것인가?
— 121
9. 십계명을 통하여 무엇이 드러났는가?
— 121
10. 우리를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몽학 선생은 어느 율법인가?
— 121
의문의 율법
— 121
제 4 절 용어의 정의
— 121
10. 의문의 율법 혹은
“예식법”
은 무엇인가?
— 121
11. 의문의 율법 혹은 예식법은 언제 주어졌는가?
— 121
12. 의문의 율법 또는 예식법은 얼마동안 유효했는가?
— 121
제 5 절 십계명과 의문의 율법이 성소에 대하여 가지는 의미
— 121
13. 십계명의 두 돌판은 어디에 있었으며, 왜 거기 있었는가?
— 121
14. 의문의 율법의 두루마리들은 어디에 있었으며, 왜 거기에 있었는가?
— 121
15. 오늘날 법궤와 그 내용물에 대한 우리들의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가?
— 121
제 4 장 아론의 싹난 지팡이
— 133
제 1 절 반역의 원인들
— 133
1. 고라와 다단과 아비람과 온이 차지하고 있던 지위는 무엇이었으며, 그들은 왜 모세에게 반역했는가?
— 133
2. 어떤 다른 사람들이 이 지도자들과 함께 멸망을 당했는가?
— 133
3. 왜 즉각적인 형벌이 내려졌는가?
— 133
제 2 절 제사장 직분의 소명에 대한 시험
— 133
4. 임명된 제사장을 밝혀주기 위해 하나님께서는 어떤 시험을 하셨는가?
— 133
5. 여호와께서는 무엇을 확증하시기 원하셨는가?
— 133
6. 어떻게 이 이적이 저 크신 대제사장의 권위를 가리키는가?
— 133
제 3 절 하나님의 지팡이
— 133
7. 아론은 누구에게서 이 지팡이를 받았는가?
— 133
8. 전에 그것은 무엇을 이루었는가?
— 133
9. 어떻게 그것이 아론의 권위를 확증하였는가?
— 133
제 4 절 생명의 기적
— 133
10. 지팡이를 잘라낸 나무에서 어떤 교훈을 배울 수 있는가?
— 133
11. 지팡이의 어떤 기적적인 성장이 기록되어 있는가?
— 133
12. 왜 거기엔 잎이 없었는가?
— 133
제 5 절 상징에 대한 설명
— 133
13. 지팡이는 어떻게 되었는가?
— 133
14. 지팡이는 누구의 표상인가?
— 133
15. 크신
“하나님의 지팡이”
는 누구신가?
— 133
제 5 장 만나를 담은 금 항아리
— 145
제 1 절 충성심의 시금석
— 145
1. 창조 때와 홍수 후에 인간은 무엇으로 시험을 받았는가?
— 145
2. 후에 이스라엘은 어떻게 시험을 받았는가?
— 145
3. 그렇게 인간을 다루심으로써 하나님께서 드러내시고자 하신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 145
제 2 절 만나에 대한 묘사
— 145
4.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늘에서 내려온 이 양식을 무엇이라고 불렀는가?
— 145
5. 만나의 색깔, 맛, 모양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 145
6. 햇빛이 만나 위에 쬐었을 때, 어떤 결과가 생겼는가?
— 145
7. 만나를 먹기 전에 어떤 준비가 필요했는가?
— 145
8. 만나의 일일분 배당량에 관하여 주께서는 어떤 방법을 지시하셨는가?
— 145
제 3 절 만나의 의미
— 145
9. 한 사람의 일일분 만나는 어디에 보존 되었으며, 왜 거기에 보존되었는가?
— 145
10. 만나는 누구의 표상인가?
— 145
11. 예수께서는
“감추었던 만나”
에 관해 어떤 약속을 하셨는가?
— 145
제 4 절 만나의 봉사
— 145
12. 언제, 어디에 만나가 내렸는가?
— 145
13. 특별히 만나는 무엇을 지적했으며,
“섞여 사는 무리들”
에게는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 145
14. 어느 때에 이르러서야 인도자와 음식물로서의 만나가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공급되기를 그쳤는가?
— 145
제 V 부 성소의 봉사자들
— 157
제 1 장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
— 159
제 1 절 봉사의 구분
— 159
1. 부조 시대에는 누가 제사장으로서 봉사하였는가?
— 159
2. 어떤 환경에서 제사장 직분은 아론에게, 또 딸린 모든 봉사는 레위 지파에게 위임되게 되었는가?
— 159
3. 성소 봉사는 어떤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었는가?
— 159
제 2 절 레위인들
— 159
4. 레위인들은 몇 살에 봉사를 위한 부름을 받았으며, 그들이 수행해야 할 의무는 무엇이었는가?
— 159
5. 레위 지파는 지파들 가운데 어디에 위치하였는가?
— 159
6. 레위 지파의 거처가 암시하는 교훈은 어떤 것인가?
— 159
제 3 절 제사장들
— 159
7. 누구만이 성물의 주위에서 봉사할 수 있었는가?
— 159
8. 제사장들은 무슨 책임들을 감당하였는가?
— 159
9. 어떤 규칙들이 제사장의 생활과 행동을 규제했는가?
— 159
제 4 절 대제사장
— 159
10. 그의 백성의 특별한 대표자로서, 대제사장의 주된 자질은 무엇이었는가?
— 159
11. 그의 백성을 위한 속죄를 이루기 위하여 대제사장만이 들어가야 하던 곳은 어디 였는가?
— 159
12. 자신 안에 제사장 직분의 모든 권위와 기능을 함께 지닌 대제사장은 누구의 표상인가?
— 159
제 5 절 크신 원형 그리스도
— 159
13. 봉사를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가지신 자격은 무엇인가?
— 159
14.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와 그분의 중보에 대한 우리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가?
— 159
제 2 장 제사장 직분을 위한 위임식
— 171
제 1 절 제사장 직분으로의 부르심
— 171
1. 누가 아론을 제사장 직분으로 불렀는가?
— 171
2. 아론과 그의 아들들은 왜 분리되었는가?
— 171
3. 하나님의 대표자로서 모세는 아론의 위임식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 171
제 2 절 위임식을 위한 준비
— 171
4. 하나님의 지시를 이행하면서 모세는 어떤 세 가지 일을 아론에게 행하였는가?
— 171
5. 모세가 그의 형에게 입혀 준 아홉 가지의 품목은 무엇인가?
— 171
6. 누가 아론과 함께 옷을 입었는가?
— 171
제 3 절 봉사를 위한 기름부음
— 171
7. 모세는 어떤 기름으로 제사장들과 성막을 발랐는가?
— 171
8. 관유는 어떤 다섯 가지의 성분으로 혼합되어 있었는가?
— 171
9. 이 관유, 곧 기름은 누구의 표상이었는가?
— 171
제 4 절 피로 봉헌함
— 171
10. 그 다음에 모세는 아론과 그의 아들들에게 어떤 의식을 수행할 것을 요구했는가?
— 171
11. 그의 몸의 어떤 세 부분 위에 두번째 수양의 피가 발라졌는가?
— 171
12. 제물의 나머지는 무엇에 사용되었는가?
— 171
제 5 절 봉사의 완성
— 171
13. 제사장 직분의 위임식의 완성은 어떻게 묘사되었는가?
— 171
14. 우리의 크신 대제사장의 헌신은 어느 정도인가?
— 171
15. 주께서는 오늘날 당신의 자녀들을 위하여 어떤 목적을 가지고 계시는가?
— 171
제 3 장 “그들의 옷은 이러하니”
— 183
제 1 절 예복과 겉옷의 목적
— 183
1. 하나님께서는 아론의 옷을 만드는 일에 있어서 어떤 원칙을 내려 주셨는가?
— 183
2. 제사장은 어떤 옷으로 그의 벌거벗음을 가리웠는가?
— 183
3. 허리띠는 무엇을 암시하는가?
— 183
제 2 절 청색 예복
— 183
4. 세마포로 상징된 내적 순결 그 위에 무슨 옷이 더 입혀 졌는가?
— 183
5. 청색 예복 끝에는 무엇이 덧붙여 있었는가?
— 183
6. 제사장의 어깨 위에 메어진 두 개의 호마노에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이름이 어떤 순서로 새기어졌는가?
— 183
7. 이 띠의 기능은 무엇인가?
— 183
제 3 절 판결 흉패
— 183
8. 에봇 위에는 무엇을 입었으며, 이 예복은 어떻게 그것에 부착되어 있었는가?
— 183
9. 흉패는 봉사의 어떤 국면을 설명하는가?
— 183
10.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보석들을 위해 어떤 계획을 가지고 계시는가?
— 183
제 4 절 우림과 둠밈과 관
— 183
12.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위하여 어떤 인도 방법을 준비하셨는가?
— 183
13. 어떻게 이것은 그리스도의 봉사를 가리키는가?
— 183
14. 대제사장은 그의 머리와 발에 무엇을 둘렀는가?
— 183
제 VI 부 기본적인 제사들
— 197
제 1 장 매일 드리는 제사와 번제
— 199
제 1 절 날마다의 봉사—조석으로 드리는 민족적 헌신
— 199
1. 성소에서 매일 드리는 봉사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었는가?
— 199
2. 조석으로 드리는 희생은 무엇을 상징하였는가?
— 199
3. 어떻게 온 이스라엘이 이 헌신을 함께 하였는가?
— 199
제 2 절 매일 드리는 희생의 의미
— 199
4. 바울은 그리스도교 시대에 있어서 신자들이 그들의 매일 드리는 제사로서 무엇을 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가?
— 199
5. 매일 드리는 봉사로써 무엇이 성취되었으며, 또 그것의 부족한 점은 무엇이었는가?
— 199
6. 누구를 통하여, 그리고 언제, 최후의 정결케 하는 일이 이루어질 것인가? 모든 이스라엘을 위한 그 제도는 얼마나 오래 계속되었는가?
— 199
번제—
“나의 모든 존재는 하나님의 것”
— 199
제 3 절 제물을 드리는 세부적인 방법
— 199
7. 어떤 희생들이 자원해서 드려졌는가?
— 199
8. 제물을 드리는 자가 죄를 고백하고 희생 제물을 죽일 때에, 어떻게 자기 자신과 희생 제물을 동일시하였는가?
— 199
9. 피와 함께,
“머리와 발,”
“내장,”
그리고 살과 가죽은 어떻게 되었는가?
— 199
제 4 절 번제단 위에서
— 199
10. 결국 희생 제물은 어떤 두 가지의 단계로 제단 위에 널려졌는가?
— 199
11. 여호와께서는 당신께서 그 희생을 가납하셨다는 것을 어떻게 나타내셨는가?
— 199
12. 날마다 우리는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의 가납하심을 얻을 수 있는가?
— 199
제 5 절 그리스도 우리의 구주(희생 제물)
— 199
13. 흘린 피의 의미는 무엇인가?
— 199
14. 우리의 매일의 신앙 생활에 있어서 우리는 어떻게 주님의 요구를 이행할 수 있는가?
— 199
제 2 장 소제와 화목제
— 209
소제—
“나의 모든 소유는 하나님의 것”
— 209
제 1 절 구성 요소와 준비 방법
— 209
1. 매 번제의 희생과 함께 다른 어떤 예물이 더 드려졌는가?
— 209
2. 소재 위에 부어진 기름은 무엇을 나타냈는가?
— 209
3. 소제의 예물을 준비하는 세가지 방법에서 어떤 교훈을 배울 수 있는가?
— 209
제 2 절 첨가물들
— 209
4. 어떤 첨가물이 소제물에 더해졌는가?
— 209
5. 소제물과 함께 어떤 향기로운 물질이 드려졌는가?
— 209
6. 소제물과 함께 결코 드려져서는 안되던 것은 무엇인가?
— 209
제 3 절 소제의 예물들
— 209
7. 하나님께서는이
“지극히 거룩한”
예물들이 나누어져야 할 것에 관해 어떻게 상세히 말씀하셨는가?
— 209
8. 매 소제물에는 항상 무엇이 더해졌는가?
— 209
9. 소제와 전제는 무엇을 가리키는가?
— 209
화목제—
“나의 모든 기쁨은 그리스도의 것”
— 209
제 4 절 하나님의 몫
— 209
10. 화목 제물에 앞서 항상 어떤 제물이 드려졌는가? 레 1-2장 참조.
— 209
11. 화목제와 함께 무엇이 드려졌으며, 제단 위에서의 하나님의 몫은 어떤 것이었는가?
— 209
12. 제사장은 어떤 몫을 받았으며, 왜 그랬는가?
— 209
제 5 절 사람의 몫
— 209
13. 누가 그 잔치를 함께 나누었으며, 어디서 먹었는가?
— 209
14. 화목제는 언제 먹었으며, 삼 일후에 나머지는 어떻게 되었는가?
— 209
15. 화목제는 어떤 결과를 가져 오는가?
— 209
제 3 장 속죄제와 속건제
— 221
속죄제—
“나의 모든 죄악이 제거되었다”
— 221
제 1 절 용어의 정의
— 221
1. 성경이 말하는 죄의 사중(四重) 정의는 무엇인가?
— 221
2. 어떤 죄들이 속죄제로 인하여 사(救)해졌는가?
— 221
3. 어떤 죄들이 속건제로 인하여 사(救)해졌는가?
— 221
제 2 절 죄의 범주
— 221
4. 어떤 네 부류의 사람들이 논의되었으며, 누구의 죄가 가장 큰 죄로 여겨졌는가?
— 221
5. 각기 다른 제물들은 죄의 경중(輕重)을 어떻게 나타내 주는가?
— 221
6. 하나님 보시기에 각 죄인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이었는가?
— 221
제 3 절 제사장과 제물을 통한 하나님의 몫
— 221
7. 제사장은 희생 제물의 피로써 어떤 일을 하였는가?
— 221
8. 어떤 부분이 번제단 위에서 사뤄졌는가?
— 221
9. 어떤 두 가지 방법으로 희생물의 몸이 처분되었는가?
— 221
속건제—
“나의 모든 죄과가 제거되었다”
— 221
제 4 절 용어의 정의
— 221
10. 무슨 필요 때문에 제물들이 제공되었는가?
— 221
11. 특정한 건과(想過)를 저지른 자는 어떤 제물을 가져와야 했는가?
— 221
12. 어떤 기준에 의하여 보응이 사정(査定)되어야만 했는가?
— 221
제 5 절 의미와 중요성
— 221
13. 희생 제물의 죽음으로 무엇이 이뤄졌는가?
— 221
14. 피를 뿌리는 일에서 배워야 할 교훈은 무엇이었나?
— 221
15. 어떻게 그리스도의 죽음이 속죄제와 속건제를 둘 다 포함하는가?
— 221
제 VII 부 절기와 축제
— 233
제 1 장 유월절
— 235
제 1 절 시간과 장소
— 235
1. 유월절은 언제 시작되었으며, 그것은 무엇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나?
— 235
2. 그 예식은 원래 어디에서 거행되었는가?
— 235
3. 양 고기는 왜 서둘러 먹어야만 했던가?
— 235
제 2 절 유월절을 위한 준비
— 235
4. 각가정의 가장은 니산 월(Nisan 月) 십사일에 잡을 유월절 어린양을 언제 구별해서 따로 떼놓아야 했는가?
— 235
5. 그 예식에 참예하는 자들의 가정들은 그 절기를 위하여 어떻게 준비되어 있었는가?
— 235
6. 성소가 예루살렘에 세워졌을 때에는 이스라엘의 모든 지파들이 해마다 어디에 모이도록 되어 있었는가?
— 235
제 3 절 유월절의 봉사
— 235
7. 어린양이 죽임을 당한 후에 그 피는 어떻게 되었는가?
— 235
8. 그 절기를 위해 양의 몸은 어떻게 준비되어야만 했는가?
— 235
9. 이 예식들은 어떤 방법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는가?
— 235
제 4 절 유월절 잔치
— 235
10. 어떤 사람만이 그 잔치에 참예할 수 있었는가?
— 235
11. 어린 양과 함께 무엇을 먹어야 했는가?
— 235
12. 유월절 음식과 함께 어떤 음료를 마셨는가?
— 235
제 5 절 갈바리의 상징
— 235
13. 몇 시에 하나님의 백성들을 위한 구원이 이르렀는가?
— 235
14. 하나님께서 이루신 구원은 얼마나 완전했는가?
— 235
15.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저들의 죄로부터 해방시키신 일을 우리로 하여금 영원히 기념하게 하기 위하여 어떤 제도를 시작하셨는가?
— 235
제 2 장 무교절, 초실절, 칠칠절
— 247
제 1 절 무교병
— 247
1. 무교절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 247
2. 일 주일간의 절기의 양쪽 끝을 장식하던 특별한 날은 무슨날인가?
— 247
3. 유월절 다음에 오는 칠일 동안의 기쁨과 교제의 기간은 무엇을 암시하였는가?
— 247
제 2 절 흔든 곡식단—요제
— 247
4. 아빕월 십 육일에는 여호와 앞에 무엇이 드려졌는가?
— 247
5. 흔든 곡식단은 누구의 표상인가?
— 247
6.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시던 날에 누가 그분과 함께 일어났는가?
— 247
제 3 절 초실절의 절차
— 247
7. 흔든 곡식단을 드린 다음에 무슨 행사들이 뒤따랐는가?
— 247
8. 칠 일간의 축제 동안 어떤 의식이 있었는가?
— 247
9. 예수께서는 요제의 곡식단으로 표상된 어떤 부활의 약속을 그의 교회에 주셨는가?
— 247
제 4 절 칠칠절 (오순절)
— 247
10. 칠칠절은 무슨 행사로부터 기산(起算)되었으며, 이 절기는 무엇을 기념하는 것이 었는가?
— 247
11.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간직해 두신 축복을 향유하기 위해 무엇을 하여야 하였는가?
— 247
12. 이 축제일에는 어떤 특별한 제물이 드려졌는가?
— 247
제 5 절 오순절의 의미와 절차
— 247
13. 오순절은 무엇이라고도 불리웠는가?
— 247
14. 주께서는 수확물이 익는 것을 돕기 위해 어떤 은혜를 베푸셨는가?
— 247
15. 교회는 어떻게 그 큰 오순절의 축복을 받을 준비를 하여야하는가?
— 247
제 3 장 월삭, 나팔절, 초막절
— 259
월삭 축제
— 259
제 1 절 때
— 259
1. 무엇이 매 달의 시작을 알렸는가?
— 259
2. 월삭을 알리는 수단으로 무엇이 사용되었는가?
— 259
3. 나갈은 무엇으로 만들었으며, 누가 불었는가?
— 259
제 2 절 목 적
— 259
4. 월삭에는 어떤 일이 행해졌는가?
— 259
5. 이 절기를 준수하는데 관한 다른 어떤 규칙과 관습이 있었는가?
— 259
6. 월삭은 무엇의 표상인가?
— 259
나팔절
— 259
제 3 절 때와 목적
— 259
7. 속죄일이 들어 있는 달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 259
8. 어떤 의미에서 나팔절은 원형적인 대속죄일 전에 그것의 성취를 보았는가?
— 259
9. 나팔을 붊으로써 어떤 궁극적인 목적이 이루어지게 될 것인가?
— 259
초막절
— 259
제 4 절 때와 의미
— 259
10. 어떤 엄숙한 사건 뒤에 초막절이 있었는가?
— 259
11. 초막절은 무엇을 기념하는 것이었는가?
— 259
12. 이 절기를 지키는 일주일동안 백성들은 어떤 특별한 거처에 머물렀으며, 이것은 어떤 교훈을 가르치는가?
— 259
제 5 절 목적
— 259
13. 축제 기간 동안 백성들은 무엇을 하여야 했는가?
— 259
14. 초막절의 마지막 날에는 어떤 일이 있었는가?
— 259
15. 초막절은 무슨 영광스러운 해의 서곡이었는가?
— 259
제 4 장 안식일, 안식년, 희년
— 271
안식일
— 271
제 1 절 안식일의 목적
— 271
1. 어떤 의미심장한 역사들에 의하여 안식일이 제정되었는가?
— 271
2. 안식일은 어떤 기본적인 사실들에 대한 기념인가?
— 271
3. 하나님의 백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안식일에 대한 그분의 목적은 무엇인가?
— 271
제 2 절 안식일 — 시간의 피륙을 연결하는 황금 고리
— 271
4. 거룩하게 지정된 축제일들의 달력 가운데서 안식일은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 271
6. 이스라엘이 모든 안식일들을 준수했다면, 어떤 결과가 그들에게 초래될 것이었나?
— 271
안식년
— 271
제 3 절 기원과 규칙들
— 271
7. 어떤 특별한 사건이 안식년의 시작을 알렸는가?
— 271
8. 어떤 방법으로 안식년은 백성들에게 유익을 주었는가?
— 271
9. 안식일 규칙들이 재산에 끼친 결과들은 무엇이었는가?
— 271
제 4 절 축복을 위한 은혜스런 제도
— 271
10. 만인이 안식년을 지키도록 고무하시기 위하여 주께서는 무슨 약속을 백성들에게 주셨는가?
— 271
11. 안식년은 어떻게 보내야만 했는가?
— 271
12. 희년이 되기까지는 얼마나 많은 안식년이 지나갔는가?
— 271
희년
— 271
제 5 절 연(年)의 칠칠절—제오십년
— 271
13. 어떤 중요한 사건이 희년의 시작을 알렸는가?
— 271
14. 희년이 그와 같이 기쁨의 때가 된 것은 무엇 때문이었는가?
— 271
15. 그리스도의 봉사 가운데 어떤 국면이 희년의 규칙들을 묘사하는가?
— 271
제 VIII 부 “모든 것이 율법을 좇아 정결케 되나니”
— 289
제 1 장 붉은 암송아지
— 291
제 1 절 부정
— 291
1. 시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부정으로부터 정결케 하기 위하여 주께서는 어떤 특별한 희생제물을 드리게 하셨는가?
— 291
2. 시체에 접촉함으로서 우리는 어떻게 부정하게 되며, 이 감염의 결과는 얼마나 멀리 미치는 것인가?
— 291
3. 이 부정을 통하여 성소에는 어떤 결과가 이르러 왔는가?
— 291
제 2 절 제물
— 291
4. 암송아지는 왜 붉은색이어야만 했으며, 그것이 갖춰야만 했던 다른 구비 조건들은 무엇인가?
— 291
5. 멍에가 상징하는바는 무엇인가?
— 291
6. 누가 그 붉은 암송아지를 제사장에게 가져와야 했으며, 그것은 어디서, 어떻게 죽임을 당했는가?
— 291
제 3 절 정결케 하는 수단
— 291
7. 이 속죄 제물의 피로써 무엇을 행했는가?
— 291
8. 세 가지의 상징적인 물품의 도움을 받으면서, 다른 어떤 의식이 진행되었는가?
— 291
9. 이 암송아지 제물은 그 예식을 집전하던 제사장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 291
제 4 절 정결케 하는 방법
— 291
10. 그 붉은 암송아지의 재는 어디에 갖다 두었으며, 왜 그렇게 하였는가?
— 291
11. 그 재들은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 291
12. 물은 무엇을 상징하는가?
— 291
제 5 절 결과
— 291
13. 이 정결 예식을 거절한 자들의 말로는 어떻게 되었는가?
— 291
14. 어떤 사람들만이
“끊쳐질”
것이었나?
— 291
15. 이 정결 예식은 무엇을 예표하였는가?
— 291
제 2 장 참새 두 마리에 관한 율법
— 305
제 1 절 살아 있는 죽음
— 305
1. 문둥병은 무엇의 표상인가?
— 305
2. 왜 모세, 미리암, 게하시, 그리고 웃시야는 문둥병으로 침을 당했는가?
— 305
3. 문둥병의 발생 과정에 대하여 율법이 말하는 세 가지의 양상은 어떤 것들인가?
— 305
제 2 절 선고 (정죄)
— 305
4. 문둥병자로 선고받기 전에 누구만이 행동을 취하였으며, 그는 무엇을 해야 했는가?
— 305
5. 문둥병자로 선고를 받았을 때, 문둥병자는 어떻게 해야했는가?
— 305
6. 문둥병자가 치료된 것이 통지되었을 때, 제사장은 그를 만나기 위해 얼마나 멀리 나가야 했는가?
— 305
제 3 절 정결 예식의 수단
— 305
7. 문둥병자는 어떤 특별한 제물을 드려야 했는가?
— 305
8. 율법이 요구한 세 가지의 다른 상징적인 항목들은 무엇이었는가?
— 305
9. 질그릇과 흐르는 물은 무엇을 표상하는가?
— 305
제 4 절 정결 예식의 방법
— 305
10. 의식이 시작되었을 때, 참새 한 마리로 어떤 일을 하였는가?
— 305
11. 살아 있는 참새로 어떤 의미심장한 일이 수행되었는가?
— 305
12. 제사장에 의해서 이 의식이 거행된 뒤, 문둥병자는 무엇을 더 해야 했는가?
— 305
제 5 절 성별 (聖別) 예식 방법
— 305
13. 제사장이 피와 기름으로 바른 문둥병자의 신체의 부분들은 무엇을 암시하는가?
— 305
14. 문둥병자가 너무 가난할 경우, 그는 어떤 다른 제물을 가져올 수 있었는가?
— 305
15. 이와같은 정결 예식들은 무슨
“더 좋은 제물”
을 가리켰는가?
— 305
제 3 장 염소 두 마리를 통한 정결 예식
— 317
제 1 절 죄의 기록
— 317
1. 자백한 죄들은 매일 드리는 제물들의 피를 통하여 어디에 기록되었는가?
— 317
2. 어떻게 함으로서 제사장들은 그 자신들과 죄를 동일시하고, 그리하여 죄에 참예한 자들이 되었는가?
— 317
3. 하늘 성소에서는 죄가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가?
— 317
제 2 절 정결 예식의 때
— 317
4. 주께서는 정결 예식의 날로서 어떤 특별한 날을 정하셨는가?
— 317
5. 이 일은 언제 있었는가?
— 317
6. 이 일이 실체적 또는 원형적으로 하늘 성소에서 일어난 것은 언제인가?
— 317
제 3 절 그 엄숙한 날을 위한 준비
— 317
7. 대제사장은 대속죄일의 봉사를 위하여 어떻게 준비해야 하였는가?
— 317
8. 대제사장이 백성을 위한 중보를 시작하기 전에, 그는 먼저 무엇을 가지고 지성소 안에 들어 갔는가?
— 317
9. 대제사장이 돌아오는 소리를 들었을 때, 백성들은 무엇을 해야 했는가?
— 317
제 4 절 정결예식의 방법
— 317
10. 그 다음에 대제사장은 여호와를 위한 염소로써 무엇을 하였는가?
— 317
11. 성소와 제단에 피를 뿌린 후에, 대제사장은 무엇을 가지게 되었는가?
— 317
12. 어떤 예식이 죄가 대제사장에게서 아사셀에게로 옮겨진 것을 나타내었는가?
— 317
제 5 절 화해의 기쁨
— 317
13. 대제사장이 이행해야 할 어떤 의무들이 아직도 남아 있는가?
— 317
14. 이스라엘은 이 날 동안에 무엇을 해야 했는가?
— 317
15. 대속죄일의 모든 봉사가 완료되었을 때, 대제사장이 마지막으로 행한 것은 무엇인가?
— 317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