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론 입문 제 VII 부 절기와 축제 제 3 장 월삭, 나팔절, 초막절
 【주요 성경절】 “나팔 소리가 나매, 죽은 자들이 썩지 아니할 것으로 다시 살고, 우리도 변화하리라”(고전 15:52). (259.1)
 【서론적 사상】 “유대 민족의 축제의 노래인 ‘호산나! 복되도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는 바르고도 적합한 축가였다. 유대인들이 천연계의 보화를 거둬 들인 다음, 감사의 제사를 드렸을 때, 그들은 하나님께 희생 제물을 바쳤다. 희생의 예물들이 거국적인 환희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었다는 사실이 우리에게는 이상하게 보일지 모른다. 그리고 겉으로 보기에는 짐승의 희생을 기쁨의 표현과 혼합시키는 것이 이상스러운 결합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참된 기초 위에 세워진 것이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 자신께서 이 의식적인 봉사들의 대상이셨기 때문이다. 이러한 축제의 집회들에서 피가 흘려지고, 또 제물들이 하나님께 드려졌을 때, 백성들은 그분의 현재의 자비에 대하여 그분께 감사하는 것이 아니라, 구세주의 허락에 대하여 그분께 감사하고 있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님의 아들의 피를 흘림이 없이는 죄의 용서가 있을 수 없다는 진리를 표현하고 있었다. 이 경축 행사들은 하나님의 보시기에 바르고도 받으심직하였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모든 축복들이 그로부터 흘러 나오는 근원으로여겨지시고 인정되셔야 한다”(R&H, Nov. 24, 1896). (259.2)
 월삭 축제
 제 1 절 때
 1. 무엇이 매 달의 시작을 알렸는가?
 창 1:14. “하나님이 가라사대, 하늘의 궁창에 광명이 있어 주야를 나뉘게 하라. 또 그 광명으로 하여 징조와 사시와 일자와 연한이 이루라.” (260.1)
 【참고】 “다른 어떤 축제일도 ‘월삭’만큼 그토록 지속적인 감명을 이스라엘의 종교적 생활에 끼칠 수가 없었다. 매 달 초에 되풀이되면서 새 달의 시작을 ‘알리던 그 날의 엄숙한 선포-거룩하게 되었다’(‘It is sanctified’)라고 외침으로써-는 매 달에게 신성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었다”(Alfred Edersheim, The Temple, 288). (260.2)
 2. 월삭을 알리는 수단으로 무엇이 사용되었는가?
 시 81:3. “월삭과 월망과 우리의 절일에 나팔을 불지어다.” (260.3)
 3. 나갈은 무엇으로 만들었으며, 누가 불었는가?
 민 10:8. “그 나팔은 아론의 자손인 제사장들이 불지니, 이는 너희 대대에 영원한 율례니라.” (261.1)
 【참고】 “은나팔을 든 제사장들은 ∙∙∙ ”(부조와 선지 자,上권, 497). “첫 날 동이 틀 무렵, 제사장들이 은나팔을 길고 드높게 불면 ∙∙∙ ”(시대의 소망, II권, 227). (261.2)
 제 2 절 목 적
 4. 월삭에는 어떤 일이 행해졌는가?
 대상 23:31. “또 안식일과 초하루와 절기에 모든 번제를 여호와께 드리되, 그 명하신 규례의 정한 수효대로 항상 여호와 앞에 드리며.” (261.3)
 겔 46:6-8. “월삭에는 흠 없는 수송아지 하나와 어린 양 여섯과 수양 하나를 드리되, 모두 흠 없는 것으로 할 것이며, 또 소제를 갖추되, 수송아지에는 밀가루 한 에바요 ∙∙∙ .” (261.4)
 스 3:5. “그 후에는 항상 드리는 번제와 초하루와 여호와의 모든 거룩한 절기의 번제와 사람이 여호와께 즐거이 드리는 예물을 드리되.” (261.5)
 5. 이 절기를 준수하는데 관한 다른 어떤 규칙과 관습이 있었는가?
 삼상 20:5, 24. “다윗이 요나단에게 이르되, 내일은 월삭인 즉, 내가 마땅히 왕을 모시고 앉아 식사를 하여야 할 것이나, 나를 보내어 제삼일 저녁까지 들에 숨게 하고, ∙∙∙ 다윗이 들에 숨으니라. 월삭이 되매, 왕이 앉아 음식을 먹을 때에.” (261.6)
 왕하 4:23. “그 남편이 가로되, 초하루도 아니요 안식일도 아니어늘, 그대가 오늘날 어찌하여 저〔엘리사〕에게 나아가고자 하느뇨? 여인이 가로되, 평안이니이다.” (2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