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 5:5. “이 중 하나에 허물이 있을 때에는 아무 일에 범과하였노라 자복하고.”(229.4)
레 6:1-3, 5.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누구든지 여호와께 신실치 못하여 범죄하되, 곧 남의 물건을 맡거나 전당 잡거나 강도질하거나 늑봉하고도 사실을 부인하거나 남의 잃은 물건을 얻고도 사실을 부인하여 거짓 맹세하는 등 사람이 이 모든 일 중에 하나라도 행하여 범죄하면 ∙∙∙ .무릇 그 거짓 맹세한 물건을 돌려 보내되, 곧 그 본물에 오분 일을 더하여 돌려 보낼 것이니, 그 죄가 드러나는 날에 그 임자에게 줄 것이요.”(230.1)
레 14:11, 12. “정결케 하는 제사장은 정결함을 받을 자와 그 물건들을 회막 문 여호와 앞에 두고 어린 수양 하나를 취하여 기름 한록과 아울러 속건제로 드리되, 여호와 앞에 흔들어 요제를 삼고.”(230.2)
민 6:2, 12.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그들에게 이르라. 남자나 여자가 특별한 서원, 곧 나실인의 서원을 하고 자기 몸을 구별하여 여호와께 드리거든 ∙∙∙ .자기 몸을 구별하여 여호와께 드릴 날을 새로 정하고, 일 년 된 수양을 가져 다가 속건제로 드릴지니라. 자기 몸을 구별한 때에 그 몸을 더렵혔은즉 지나간 날은 무효니라.”(230.3)
11. 특정한 건과(想過)를 저지른 자는 어떤 제물을 가져와야 했는가?
레 5:15. “누구든지 여호와의 성물에 대하여 그릇 범과하였거든 여호와께 속건제를 드리되, 너의 지정한 가치를 따라 성소의 세겔로 몇 세겔 은에 상당한 흠 없는 수양을 떼 중에서 끌어다가 속건제로 드려서.”(230.4)
12. 어떤 기준에 의하여 보응이 사정(査定)되어야만 했는가?
레 27:25. “너의 모든 정가를 성소의 세겔대로 하되, 이십 게라를 한 세겔로 할지니라.”(231.1)
【참고】 하나님께서는 하나의 기준 또는 표준을 제시해 주셨다. 그렇지 않았다면, “자기 허물을 능히 깨달을자 누구리요?”(시 19:12). (231.2)
제 5 절 의미와 중요성
13. 희생 제물의 죽음으로 무엇이 이뤄졌는가?
레 6:7. “제사장은 여호와 앞에서 그를 위하여 속죄한즉, 그는 무슨 허물이든지 사함을 얻으리라.”(231.3)
14. 피를 뿌리는 일에서 배워야 할 교훈은 무엇이었나?
레 17:11.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 내가 이 피를 너희에게 주어 단에 뿌려, 너희의 생명을 위하여 속하게 하였나니, 생명이 피에 있으므로 피가 죄를 속하느니라.”(231.4)
【참고】 “반복해서 뿌린 것은 회개하는 죄인을 위하여 성취되어야만 하는 사업의 철저성을 예증한다”(4T, 122). (231.5)
15. 어떻게 그리스도의 죽음이 속죄제와 속건제를 둘 다 포함하는가?
사 53:10-12. “여호와께서 그로 상함을 받게 하시기를 원하사 질고를 당케 하셨은즉, 그 영혼을 속건 제물로 드리기에 이르면, 그가 그 씨를 보게 되며, 그 날은 길 것이요, 또 그의 손으로 여호와의 뜻을 성취하리로다. 가라사대, 그가 자기 영혼의 수고한 것을 보고 만족히 여길 것이라. 나의 의로운 종이 자기 지식으로 많은 사람을 의롭게 하며, 또 그들의 죄악을 친히 담당하리라. 이러므로 내가 그로 존귀한 자와 함께 분깃을 얻게 하며, 강한 자와 함께 탈취한 것을 나누게 하리니, 이는 그가 자기 영혼을 버려 사망에 이르게 하며, 범죄자 중 하나로 헤아림을 입었음이라. 그러나 실상은 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지며, 범죄자를 위하여 기도하였느니라 하시니라.”(2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