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론 입문 제 VIII 부 “모든 것이 율법을 좇아 정결케 되나니” 제 2 장 참새 두 마리에 관한 율법
 4. 문둥병자로 선고받기 전에 누구만이 행동을 취하였으며, 그는 무엇을 해야 했는가?
 레 13:3, 5, 6. “제사장은 그 피부의 병을 진찰할지니, 환처의 털이 희어졌고 환처가 피부보다 우묵하여졌으면, 이는 문둥병의 환처라. 제사장이 진단하여 그를 부정하다 할 것이요 ∙∙∙ 칠 일만에 제사장이 그를 진찰할지니, 그의 보기에 그 환처가 변하지 아니하고 병색이 피부에 퍼지지 아니하였으면, 제사장이 그를 또 칠 일 동안을 금고할 것이며, 칠 일만에 제사장이 또 진찰할지니, 그 환처가 엷어졌고 병색이 피부에 퍼지지 아니하였으면 피부병이라. 제사장이 그를 정하다 할 것이요, 그는 옷을 빨 것이라. 그리하면 정하리라.” (309.4)
 롬 8:34. “누가 정죄하리요? 죽으실 뿐 아니라 다시 살아나신 이는 그리스도 예수시니, 그는 하나님 우편에 계신 자요.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시는 자시니라.” (309.5)
 민 12:10. “구름이 장막 위에서 떠나갔고, 미리암은 문둥병이 들려 눈과 같더라. 아론이 미리암을 본즉 문둥병이 들었는지라.” (310.1)
 【참고】 “이 병을 가졌다는 혐의를 받은 자는 자신을 제사장에게 내보여야 하며, 제사장은 진단을하여 그의 병증(病症)을 결정하게 되어 있었다”(시대의 소망, I권, 359). (310.2)
 5. 문둥병자로 선고를 받았을 때, 문둥병자는 어떻게 해야했는가?
 레 13:45, 46. “문둥 환자는 옷을 찢고, 머리를 풀며, 윗 입술을 가리우고, 외치기를, 부정하다, 부정하다 할 것이요, 병 있는 날 동안은 늘 부정할 것이라. 그가 부정한즉 혼자 살되, 진 밖에 살지니라.” (310.3)
 【참고】 “의문의 율법에 의하여 문둥이는 부정하다는 선언을 받았다. 이미 죽은 사람처럼 그는 사람이 사는 곳으로부터 격리되었다. 무엇이든지 그가 접촉하는 것은 부정하였다. 공기는 그의 호흡으로 말미 암아 불결하여졌다. 이 병을 가졌다는 혐의를 받은자는 자신을 제사장에게 내보여야 하며, 제사장은 진단을 하여 그의 병증을 결정하게 되어 있었다. 만일 문둥이라는 선언을 받으면 그는 그의 가족에게서 격리되며, 이스라엘 회중으로부터 끊긴 바 되어, 자기와 유사한 병에 걸린 자들과만 사귈 운명에 빠졌다. 그 율법은 이러한 요구에 있어서 요지부동이었다. 비록 왕과 통치자일지라도 면할 수가 없었다. 이 두려운 질병의 공격을 받은 군주는 홀을 버리고, 사회로부터 도피하여야 했다.” (310.4)
 “그의 친구들과 혈족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문둥병자는 자신의 질병의 저주를 견디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는 자기 자신의 재앙을 공표해야 했고, 자기의 옷을 찢으며 경적을 울려서, 모든 사람들이 그의 전염성 있는 접근으로부터 도피하도록 경고를 발해야만했다. 그 고독한 추방자의 입으로부터 애처로운 음조로 흘러 나오는 ‘부정하다! 부정하다!’라는 외침은 공포와 불쾌감과 함께 들려지는 신호였다”(시대의 소망, I권, 359, 360). (311.1)
 6. 문둥병자가 치료된 것이 통지되었을 때, 제사장은 그를 만나기 위해 얼마나 멀리 나가야 했는가?
 레 14:2, 3. “문둥 환자의 정결케 되는 날의 규례는 이러하니, 곧 그 사람을 제사장에게로 데려갈 것이요, 제사장은 진에서 나가서 진찰할지니, 그 환자에게 있던 문둥병 환처가 나았으면.” (311.2)
 히 13:12, 13. “그러므로 자기 피로써 백성을 거룩케 하려고 성문 밖에서 고난을 받으셨느니라. 그런즉 우리는 그 능욕을 지고 영문 밖으로 그에게 나아가자.” (311.3)
 눅 15:20. “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상거가 먼데, 아버지가 저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311.4)
 제 3 절 정결 예식의 수단
 7. 문둥병자는 어떤 특별한 제물을 드려야 했는가?
 레 14:4 상단. “제사장은 그를 위하여 명하여, 정한 산 새 두 마리 ∙∙∙ 를 가져오게 하고.” (311.5)
 마 10:29 상단. “참새 두마리가 한 앗사리온에 팔리는 것이 아니냐?” (312.1)
 8. 율법이 요구한 세 가지의 다른 상징적인 항목들은 무엇이었는가?
 레 14:4 하단. “백향목과 홍색 실과 우슬초를 가져오게 하고” (312.2)
 【참고】 “백향목”은 불후(不朴)의 왕의 위엄을 상징하였다(부조와 선지자, 下권, 69). “우슬초”는 정결을 표상하였다(부조와 선지자, 上권, 358). “홍색 실”은 자주 구원에 대한 신앙의 표시로 사용되었다. 수 2:18 참조 : “우리가 이 땅에 들어 올 때에, 우리를 달아 내리운 창에 이 붉은 줄을 매고, 네 부모와 형제와 네 아비의 가족을 다 네 집에 모으라.” 창 38:30 참조 : “그 형제 곧 손에 홍사 있는 자가 뒤에 나오니, 그 이름을 세라라 불렀더라.” (3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