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론 입문 제 III 부 성소 제 3 장 금 향단
 【주요 성경절】 “또 다른 천사가 와서 제단 곁에 서서 금 향로를 가지고 많은 향을 받았으니, 이는 모든 성도의 기도들과 합하여 보좌 앞 금단에 드리고자 함이라”(계 8:3). (93.1)
 【서론적 사상】 “그분의 흠 없는 생애와 그분의 순종으로 ∙∙∙ 용서는 모든 범죄에 미치게 된다”(실물 교훈, 153, 154). (93.2)
 제 1 절 금 향단의 재료와 형태
 1. 향단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규격은 어떠했는가?
 출 30:1-3. “너는 분향할 단을 만들지니, 곧 조각목으로 만들되, 장이 일 규빗, 광이 일 규빗으로 네 모 반듯하게 하고, 고는 이 규빗으로 하며, 그 뿔을 그것과 연하게 하고, 단 상면과 전후 좌우 면과 뿔을 정금으로 싸고, 주위에 금테를 두를지며.” (93.3)
 【참고】 “ ∙∙∙ 순결한 믿음과 사랑인 금 ∙∙∙ ”(3T, 254). (94.1)
 2. 번제단 및 진설병 상과 비교할 때, 분향단의 높이는 어떠했는가?
 출 37:25. “그가 또 조각목으로 분향할 단을 만들었으니, 장이 일 규빗이요, 광이 일 규빗이라. 네 모 반듯하고, 고는 이 규빗이며, 그 뿔들이 단과 연하였으며” (94.2)
 【참고】 영원한 중보의 단의 높이는 성소에서 그 규격이 주어진 어떤 다른 기물들보다 더 높았다. 이 사실은 기도가 번제단으로 암시된 희생과 떡상으로 상징된 교제보다도 영혼을 하나님께로 더 가까이 끌어 올려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94.3)
 3. 고리와 채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출 30:4, 5. “금테 아래 양편에 금고리 둘을 만들되, 곧 그 양편에 만들지니, 이는 단을 메는 채를 꿸 곳이며, 그 채를 조각목으로 만들고 금으로 싸고.” (94.4)
 【참고】 다른 기구들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사람에 의해 조심스럽게 운반되었다. (94.5)
 제 2 절 위치
 4. 분향단은 성소에서 어디에 위치하였는가?
 출 30:6. “그 단을 증거궤 위 속죄소 맞은편, 곧 증거궤 앞에 있는 장 밖에 두라. 그 속죄소는 내가 너와 만날 곳이며.” (94.6)
 【참고】 “성소 내부의 휘장이 건물 꼭대기에까지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속죄소 위에 나타났던 하나님의 영광은 부분적으로 첫째 칸에서도 보이었다. 제사장이 여호와 앞에서 분향할 때에, 그는 법궤 있는 쪽을 바라보았다”(부조와 선지자, 上권, 463, 464). (95.1)
 5. 단 가까이에는 무엇이 있었는가?
 출 40:5. “또 금 향단을 증거궤 앞에 두고, 성막 문에 장을 달고.” (95.2)
 【참고】 “저 표상적 봉사에서 제사장이 그가 볼 수 없었던 속죄소를 믿음으로 본 것처럼, 지금 하나님의 백성들은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하늘 성소에서 저들을 향하여 탄원하시는 대제사장 그리스도께 기도를 올려 보내야 한다” (부조와 선지자, 上권, 464). . (95.3)
 6. 대속죄일에 제단의 중보는 어떻게 지성소로 옮겨졌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