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론 입문 제 VI 부 기본적인 제사들 제 2 장 소제와 화목제
 4. 어떤 첨가물이 소제물에 더해졌는가?
 레 2:13. “네 모든 소제물에 소금을 치라. 네 하나님의 언약의 소금을 네 소제에 빼지 못할지니, 네 모든 예물에 소금을 드릴지니라.” (212.2)
 막 9:50. “소금은 좋은 것이로되, 만일 소금이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이를 짜게 하리요? 너희 속에 소금을 두고 서로 화목하라 하시니라.” (212.3)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고루게 함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212.4)
 【참고】 소금은 언약을 굳게하는 표징이다. 민 18:19 참조 :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거제로 드리는 모든 성물은 내가 영영한 음식으로 너와 네 자녀에게 주노니, 이는 여호와 앞에 너와 네 후손에게 변하지 않는 소금 언약이니라.” 대하 13:5 참조 :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께서 소금 언약으로 이스라엘 나라를 영원히 다윗과 그 자손에게 주신 것을 너희가 알 것이 아니냐?” (213.1)
 “예식적인 봉사에서는 매 제물에 소금을 쳤다. 향을 피우는 것과 같이 이것은 그리스도의 의만이 그 제사를 하나님의 가납하시는 바가 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예수께서는 이 관습에 언급하시면서 말씀하시기를, ‘너희 속에 소금을 두고 서로 화목하라’하셨다. 자신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제사로 드리’고자 하는 자들은(롬 12:1) 다 구원하시는 소금인 우리 구주의 의를 받아야 한다. 그 때에야 그들은 ‘세상의 소금’이 되어 소금이 방부하는 역할을 하는 것처럼 사람들 중에서 죄악을 방지한다(마 5:13). 그러나 만약 소금이 그 맛을 잃으면, 만약 그리스도의 사랑이 없이 경건의 공언만 있다면, 거기에는 선을 위한 능력은 없다. 그런 생애는 세상에 구원하는 감화를 끼칠 수 없다.” (213.2)
 “예수께서 말씀하시기를, 나의 나라를 건설함에 있어서 그대의 능력과 효력은 그대가 나의 영을 받는 여하에 달려 있다고 하신다. 생명에서 생명에 이르는 향기가 되기 위하여 그대는 나의 은혜에 참예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시대의 소망, II권, 218, 219). (213.3)
 5. 소제물과 함께 어떤 향기로운 물질이 드려졌는가?
 레 2:16. “제사장은 찧은 곡식 얼마와 기름의 얼마와 모든 유향을 기념물로 불사를지니, 이는 여호와께 드리는 화제니라.” (213.4)
 고후 2:15, 16. “우리는 구원 얻는 자들에게나 망하는 자들에게나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의 향기니, 이 사람에게는 사망으로 좇아 사망에 이르는 냄새요, 저 사람에게는 생명으로 좇아 생명에 이르는 냄새라. 누가 이것을 감당하리요?” (214.1)
 【참고】 “향을 피우는 것은 그리스도의 의만이 그 제사를 하나님의 가납하시는 바가 되게 할 수 있다는것을 의미하였다”(시대의 소망, II권, 218). (214.2)
 6. 소제물과 함께 결코 드려져서는 안되던 것은 무엇인가?
 레 2:11. “무릇 너희가 여호와께 드리는 소제물에는 모두 누룩을 넣지 말지니, 너희가 누룩이나 꿀을 여호와께 화제로 드려 사르지 못할지니라.” (214.3)
 눅 12:1. “예수께서 먼저 제자들에게 말씀하여 가라사대, 바리새인들의 누룩 곧 외식을 주의하라.” (214.4)
 고전 5:6-8. “너희가 자랑하는 것이 옳지 아니하도다. 적은 누룩이 온 덩어리에 퍼지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 너희는 누룩 없는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 묵은 누룩도 말고, 괴악하고 악독한 누룩도 말고, 오직 순전함과 진실함의 누룩 없는 떡으로 하자.” (214.5)
 갈 5:9. “적은 누룩이 온 덩이에 퍼지느니라.” (214.6)
 출 12:18-20. “정월에 그 달 십 사일 저녁부터 이십 일일 저녁까지 너희는 무교병을 먹을 것이요, 칠 일 동안은 누룩을 너희 집에 있지 않게 하라. 무릇 유교물을 먹는 자는 타국인이든지 본국에서 난 자든지 무론하고 이스라엘 회중에서 끊쳐지리니, 너희는 아무 유교물이든지 먹지 말고 너희 모든 유하는 곳에서 무교병을 먹을지니라.” (214.7)
 【참고】 “가루 속에 넣은 누룩은 부지중에 온 가루를 누룩의 성질로 변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와같이 마음 속에 외식을 자리잡도록 허용한다면, 그것은 품성과 생애에 가득 차게 된다”(시대의 소망, II권, 172). (215.1)
 꿀은 인생의 단 맛, 즉 쾌락(快樂)과 육체적 즐거움을 암시한다. (215.2)
 제 3 절 소제의 예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