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창세기속의 영원한 복음
서문
— 1
영원한 복음을 펼치면서
— 7
제1부 오경과 창세기의 신학적 구조
— 19
제1장 오경의 신학적 구조
— 21
1. 오경은 무엇인가
— 21
2. 오경 속의 역사 구분과 대주제
— 21
1) 부조전시대
— 21
(1) 축복
— 21
(2) 씨(후손)
— 21
2) 족장시대
— 21
(1) 민족
— 21
(2) 땅(기업)
— 21
(3) 축복의 복음
— 21
3) 모세시대
— 21
(1) 하나님의 임재하심
— 21
(2) 제사장 나라
— 21
(3) 거룩한 백성
— 21
3. 희망의 메시지로서의 오경의 중심 사상
— 21
참고 문헌
— 21
제2장 창세기의 신학적 구조
— 31
1. 시 작
— 31
2.
‘톨레도트’
, 역사 속에서 활동하시는 하나님
— 31
3. 설화 표상학
— 31
4. 주요 신학적 주제들
— 31
5. 해석자의 자세—종교개혁의 오대 원리로 돌아가자
— 31
참고 문헌
— 31
제2부 위대하고 자비로운 하나님
— 45
제3장 하나님의 이름
— 47
1. 신명(神名)의 신학적 의미
— 47
2. 엘로힘
— 47
1)
‘엘로힘’
은 성경에서 맨 처음 만나는 하나님이다
— 47
2)
‘엘로힘’
은 창조주이시다
— 47
3)
‘엘로힘’
은 초월적 권위와 능력을 가지셨다
— 47
4)
‘엘로힘’
은 우주 만물에 대해 절대주권을 갖고 계신 분이다
— 47
5) 하나님은 시간을 창조하셨다
— 47
6) 구원사는
‘엘로힘’
의 역사이다
— 47
7)
‘엘로힘’
은 복수형이지만 언제나 단수 동사나 형용사를 수반한다
— 47
8)
‘엘로힘’
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계시이다
— 47
9)
‘엘로힘’
은 선교적인 하나님이시다
— 47
3. 야훼
— 47
1)
‘야훼’
는 이스라엘과 언약적 관계를 맺으신 살아계신 하나님이다
12
— 47
2)
‘야훼’
는 인간 세계에 깊이 관여하시는 하나님이시다
— 47
3)
‘야훼’
는 의롭고 거룩하신 하나님이다
— 47
4)
‘야훼’
는 생명의 길을 마련하시는 하나님이다
— 47
4. 엘 엘룐
— 47
1) 창세기 14:17-24
— 47
(1) 멜기세덱이 섬긴 하나님
— 47
(2) 최상위의 신
— 47
(3) 천지의 창조주와 소유주
— 47
(4) 축복의 근원이신 하나님
— 47
(5) 능력의 하나님
— 47
(6) 아브라함을 승리하게 하신 하나님
— 47
5. 아도나이
— 47
1) 창세기 15:1-11
— 47
2) 창세기 18:16-33
— 47
3) 창세기 19:1-38
— 47
4) 창세기 20:1-18
— 47
5) 야훼 대신에 사용된 신명
— 47
6. 엘 로이
— 47
1) 창세기 16:13
— 47
7. 엘 샷다이
— 47
1) 창세기 17:1-16
— 47
2) 창세기 28:3
— 47
3) 창세기 35장, 43-49장
— 47
8. 엘 올람
— 47
1) 창세기 21:22-34
— 47
9. 야훼 이레
— 47
1) 창세기 22:1-19
— 47
참고 문헌
— 47
제4장 하나님의 사역
— 80
1. 창조주 하나님
— 80
1)
‘바라’
(ar
‘B’
,
B
ärä´
, 창조하다)
— 80
(1) 창세기 1:1
— 80
(2) 창세기 1:21
— 80
(3) 창세기 1:27
— 80
(4) 창세기 2:1-3
— 80
(5) 창 5:1-2
— 80
(6) 창 6:7
— 80
2)
‘아사’
(עָשָׂה,
`
äSâ
, 만들다, 행하다)
— 80
3)
‘와요메르’
(וַיֹּאמֶר,
wayyö´mer
, 가라사대)
21
— 80
4)
‘야차르’
(יעָר,
y
äcar
, 모양짓다)
— 80
5)
‘바나’
(בָּנָה,
B
änâ
, 건축하다)
— 80
2. 심판주 하나님
— 80
1) 창조주 하나님은 심판주이시다.
— 80
2) 하나님은 선악 간에 심판하신다.
— 80
3) 하나님은 공정하게 심판하신다.
— 80
4) 하나님은 심판을 집행할 능력을 갖고 계신다.
— 80
5) 하나님은 심판 중에 구원의 길을 내신다.
— 80
6) 하나님은 심판 속에서 그분의 백성을 돌보신다.
— 80
3. 구속주 하나님
— 80
4. 절대주권자
— 80
5. 보호자
— 80
참고 문헌
— 80
제5장 하나님의 속성
— 107
1. 영원하심
— 107
2. 전능하심
— 107
3. 전지하심
— 107
4. 무소부재하심
— 107
참고 문헌
— 107
제6장 하나님의 품성
— 112
1. 거룩하심
— 112
1) 하나님의 거룩성을 증거 하는 안식일
— 112
2) 정결과 부정을 구별하시는 하나님
— 112
3) 거룩과 예배
— 112
4) 거룩하신 심판자
— 112
5) 구별하시는 하나님
— 112
6) 거룩은 구속과 전도의 성격을 갖고 있다.
— 112
2. 자비하심
— 112
1) 은혜(חֵן,
Hën
)
— 112
2) 인자와 은총(חֶסֶד,
Hesed
)
— 112
3) 선을 베품(יָטַב,
yä†aB
)
— 112
3. 용서하심
— 112
1) 원복음과 가죽옷
— 112
2) 죄의 고통을 짊어지신 하나님
— 112
3) 관계의 회복
— 112
4) 부조들은 용서 받은 이들임
— 112
4. 신실하심
— 112
1) 자기 백성을 돌보심
— 112
2) 언약을 성취하심
— 112
5. 오래 참으심
— 112
참고 문헌
— 112
제3부 인 간
— 127
제7장 하나님의 형상
— 129
1. 창세기, 인류의 기원과 운명에 관한 책
— 129
2. 하나님의 형상을 언급하는 성경 자료들
— 129
3. 하나님의 피조물
— 129
4. 정신신체적인 통일체
— 129
1) 물리적인 몸을 가진 생물
— 129
2) 정신과 신체를 가진 존재
— 129
3) 하나님과 교제하는 영적인 존재
— 129
4) 성육신과 인간 신체의 고귀함
— 129
5) 전인적 봉사가 필요함
— 129
5. 존재론적 해석과 기능적 해석
— 129
1) 존재론적 해석
— 129
2) 기능적 해석
— 129
(1) 하나님을 대표함
— 129
(2) 왕 같은 제사장
— 129
6. 하나님의 성령의 전
— 129
참고 문헌
— 129
제8장 생령과 육체
— 139
1. 생령
— 139
1) 살아있는 존재로서의 인간
— 139
2) 하나님의 형상
— 139
2. 육체
— 139
1) 신체의 구성요소로서의 살(בָּשָׂר,
BäSär
)
— 139
2) 인간 사회의 근본적 관계를 형성해 주는 요소
— 139
3)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통한 복음의 표상
— 139
4) 사람과 동물의 몸
— 139
5) 연약성을 가진 유한한 인간
— 139
6) 하나님의 언약의 대상
— 139
7) 할례, 몸에 있는 언약의 표징
— 139
참고 문헌
— 139
제9장 하나님의 청지기
— 146
1. 가족의 업무를 주관하는 사람
— 146
2. 창조 속에 나타난 청지기직의 일반적 원칙
— 146
1) 인간의 청지기직은 창조에 기원한다.
— 146
2) 인간의 청지기직은 하나님의 은혜이다.
— 146
3) 인간은 창조주 하나님께 책임을 진다.
— 146
4) 인간은 청지기직을 통해서 하나님의 뜻을 피조세계에 구현해야 한다.
— 146
5) 인간은 생태계에 대해 책임을 진다.
— 146
6) 인간은 인류 공동체에 대해 책임을 진다.
— 146
7) 인간은 훌륭한 청지기가 될 수 있도록 적절한 지식과 능력과 감화력을 계발해야 한다.
— 146
3. 대홍수 속에 나타난 청지기직의 종말론적 의미
— 146
4. 족장들의 십일조 속에 나타난 청지기직
— 146
(1)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에게 드린 십일조(창 14:20)
— 146
1) 십일조는 높은 권세에 대한 인정이다
— 146
2) 십일조는 하나님의 축복에 대한 찬송의 반응이다
— 146
3) 십일조를 드림으로 전쟁을 하나님께 속한 전쟁으로 성별하였다
— 146
4) 십일조를 드림으로 아브람은 오직 하나님의 은총으로 가나안 땅과 후손을 소유하게 될 것을 고백하였다
— 146
5) 십일조는 주시는 하나님께 인간이 드리는 반응이다
— 146
6) 십일조는 생명을 주신 하나님께 자신의 삶을 헌신하는 것이다
— 146
7) 십일조는 겸손의 표현이다
— 146
8) 아브라함은 십일조제도의 모본을 세웠다
— 146
(2) 야곱이 벧엘에서 하나님께 서원한 십일조(창 28:22)
— 146
1) 십일조는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감사의 표시이다
— 146
2) 십일조는 하나님이 삶의 모든 필요를 채워주시겠다고 하신 약속에 대한 믿음의 표시이다
— 146
3) 야곱의 십일조는 이스라엘의 십일조제도의 모본이 되었다
— 146
참고 문헌
— 146
제4부 죄와 심판
— 164
제10장 죄를 가리키는 낱말들과 아담의 타락
— 165
1. 죄를 가리키는 전문용어들
— 165
1)
‘핫타트’
(חַטָּאת,
Ha††ä´t
, 죄)
— 165
2)
‘아온’
(עָוֹן,
äwön
, 죄악, 죄책)
— 165
3)
‘페샤’
(פֶשַׂע,
Pe
ša`
, 죄과, 반역)
— 165
2. 아담의 타락
— 165
1) 역사적 사건
— 165
(1) 톨레도트
— 165
(2) 연대기적 족보
— 165
(3) 역사적 범죄와 역사적 구원.
— 165
2) 선악의 대쟁투
— 165
3) 하나님과의 분리
— 165
4) 영적 죽음
— 165
5) 책임져야 할 행위
— 165
(1) 아담과 하와는 저들의 범죄행위에 대해서 책임을 졌다
— 165
(2) 아담은 하나님께로부터 직접명령을 받았다
— 165
(3) 아담부부는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를 통해 이미 미혹이 있을 것을 알고 있었다
— 165
(4) 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아담의 범죄는 고의적인 선택에 의해 이루어졌다
— 165
6) 온 인류의 타락
— 165
참고 문헌
— 165
제11장 심판을 가리키는 낱말들
— 181
1. 히브리어 어근
‘샤파트’
(שׁפט,
šp̄ṭ
)와 파생어들
— 181
1) 어근
‘샤파트’
(שׁפט,
šp̄ṭ
,)
— 181
(1) 인간의
‘샤파트’
(שָׁפַט,
šā·p̄ǎṭ
) 활동
— 181
(2) 하나님의
‘샤파트’
활동
— 181
(3) 창세기의
‘샤파트’
(שׁפט,
šp̄ṭ
)
— 181
2) 재판장 혹은 통치자—
‘쇼페트’
(שֹּׁפֵט,
šöpë†
)
— 181
3) 재판 혹은 공의—
‘미쉬파트’
(מִשְׁפָּט,
mi
šPä†)
16
— 181
4)
‘샤파트’
(שׁפט,
šp̄ṭ
)가 반영된 이름
— 181
2. 히브리어 어근
‘딘’
(דין,
D
în
)과 파생어들
— 181
1) 어근
‘딘’
(דין,
D
în
)
— 181
(1) 인간의 심판활동
— 181
(2) 하나님의 심판활동
— 181
2) 심판 -
‘딘’
(דִּין,
Dîn
)
— 181
(1) 인간의 활동
— 181
(2) 하나님의 활동
— 181
3) 재판장 -
‘다얀’
(דַּיָּן,
dayyän
)
— 181
4) 창세기의
‘딘’
(דִּין,
Dîn
)
— 181
5)
‘딘’
(דִּין,
Dîn
)이 반영된 이름
— 181
3. 히브리어 어근
‘립’
(רִיב,
r
îb
)과 파생어들
— 181
1)
‘립’
(רִיב,
r
îb
)의 기본적 의미
— 181
2) 창세기의
‘립’
(רִיב,
r
îb
)
— 181
3)
‘립’
(רִיב,
r
îb
)이 반영된 이름
— 181
참고 문헌
— 181
제12장 창세기속의 심판사건들과 심판절차
— 194
1. 공통적인 심판절차
— 194
2. 인류의 타락
— 194
1) 은혜의 기간
— 194
2) 범죄
— 194
3) 조사
— 194
4) 선고
— 194
5) 집행과 완화조치
— 194
3. 가인과 아벨
— 194
1) 은혜의 기간
— 194
2) 범죄
— 194
3) 조사
— 194
4) 선고
— 194
5) 집행
— 194
6) 완화조치
— 194
4. 홍수
— 194
1) 은혜의 기간
— 194
2) 범죄
— 194
3) 조사
— 194
4) 선고
— 194
5) 집행
— 194
6) 완화조치
— 194
5. 바벨
— 194
1) 은혜의 기간
— 194
2) 범죄
— 194
3) 조사
— 194
4) 선고
— 194
5) 집행
— 194
6) 완화조치
— 194
6. 소돔과 고모라
— 194
1) 은혜의 기간
— 194
2) 범죄
— 194
3) 조사
— 194
4) 선고
— 194
5) 집행
— 194
6) 완화조치
— 194
참고 문헌
— 194
제5부 은혜와 구원
— 228
제13장 구원
— 229
1. 은혜로 말미암는 구원
— 229
1) 아담
— 229
2) 에녹
— 229
3) 노아
— 229
4) 아브라함
— 229
5) 야곱
— 229
6) 요셉
— 229
2. 믿음으로 말미암는 구원
— 229
1) 아담
— 229
2) 아벨
— 229
3) 에녹
— 229
4) 노아
— 229
5) 아브라함
— 229
참고 문헌
— 229
제14장 언약
— 245
1.
‘브리트’
의 어원과 의미
— 245
2. 창조언약
— 245
1) 창조언약이 존재한다고 증거하는 성경의 증언들
— 245
(1) 창세기 6:18
— 245
(2) 호세아 6:7
— 245
(3) 예레미야 33:20-21
— 245
2) 창조언약의 두 대상
— 245
3) 하나님의 형상
— 245
4) 안식일
— 245
5)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 245
6) 축복을 베푸시는 하나님
— 245
3. 아담언약
— 245
1) 여자의 후손
— 245
2) 아담언약의 계승
— 245
3) 메시아에 대한 소망 표현
— 245
4. 노아언약
— 245
1) 창조언약의 갱신
— 245
2) 기억하시는 하나님
— 245
5. 아브라함언약
— 245
1) 창세기 12장
— 245
2) 창세기 15장
— 245
3) 창세기 17장
— 245
4) 창세기 22장
— 245
6. 언약에 대한 부조들의 믿음
— 245
참고 문헌
— 245
제15장 율법과 안식일
— 266
1.
‘토라’
의 의미와 기능
— 266
2. 창세기에 나타난 율법
— 266
1) 창조 속의 율법
— 266
2) 창세기에 나타난 십계명
— 266
3. 창세기의 안식일
— 266
1) 창조와 안식일(창 2:1-3)
— 266
(1) 안식일은 창조질서에 속한다
— 266
(2) 안식일은 신적 질서에 속한다
— 266
(3) 하나님께서 안식일에 쉬셨다
— 266
(4) 안식일은 창조의 기념일이다
— 266
(5) 안식일은 인류에게 주셨다
— 266
(6) 안식일은 거룩한 날이다
— 266
(7) 안식일은 인간이 하나님의 거룩을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이다
— 266
(8) 안식일은 결코 폐지되거나 파괴될 수 없는 영원한 것이다
— 266
(9) 안식일은 전도적 특성을 가졌다
— 266
(10) 안식일은 인간에게 하나님의 자녀라는 소속감을 준다
— 266
(11) 안식일은 우상 숭배의 범죄로부터 해방시킨다
— 266
(12) 안식일은 신자로 하여금 청지기 의식을 고취시킨다
— 266
2) 가인(창 4:3, 15)
— 266
3) 가인의 후손 라멕(창 4:24)
— 266
4) 노아의 아버지 라멕(창 5:29, 31)
— 266
5) 노아(창 7-8)
— 266
6) 아브라함(창 21:23, 28-31)
— 266
7) 야곱(창 29:18, 20, 27, 30; 33:3; 46:27; 50:3, 10)
— 266
8) 요셉(창 41; 46)
— 266
참고 문헌
— 266
제16장 제사와 제단
— 283
1. 원복음
— 283
2. 가인과 아벨의 제사
— 283
3. 노아의 번제
— 283
4. 아브라함
— 283
5. 이삭
— 283
6. 야곱
— 283
참고 문헌
— 283
제17장 남은 자
— 291
1. 창세기 7:23
— 291
2. 심판의 측면에서 본 남은 자의 특징
— 291
3. 기타 남은 자들
— 291
4. 여자의 남은 자손
— 291
참고 문헌
— 291
제18장 계시
— 300
1. 계시를 가리키는 낱말들
— 300
2. 창조에 근거함
— 300
3. 하나님께서 주도권을 가지심
— 300
4. 인류의 역사 속으로 하나님께서 들어오심
— 300
5. 화해와 회복을 목적으로 함
— 300
6. 공동체적 중요성을 지닌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만남
— 300
7. 인류의 결정적 행동을 요구함
— 300
8. 신앙 공동체를 창조함
— 300
참고 문헌
— 300
제6부 기원과 종말
— 312
제19장 창조
— 313
1. 창조를 연구하는 이유
— 313
2. 무로부터의 창조
— 313
3. 자연계의 모든 것을 창조하심
— 313
4. 하나님의 창조 세계는 선함
— 313
5. 유일하신 하나님
— 313
6. 창조의 최고 관심사는 인간임
— 313
7. 창조의 목적 하나님의 영광
— 313
8. 다른 교리들의 기초
— 313
9. 부조들의 창조주 하나님께 대한 신앙
— 313
참고 문헌
— 313
제20장 창조와 심판
— 319
1. 언어적 상관성
— 319
1) 창조를 가리키는 지시어들
— 319
2) 전세계적 범위를 가리키는 용어들
— 319
3) 심판 집행에 사용된 수단
— 319
4) 칠일간의 창조주일을 반영하는 재창조 순서
— 319
5) 원창조의 아담과 재창조의 노아 사이의 비교
— 319
2. 신학적 상관성
— 319
1) 절대주권을 가지신 통치자
— 319
2) 전능하신 집행자
— 319
3) 회복자
— 319
참고 문헌
— 319
제21장 종말론
— 328
1. 개인의 운명
— 328
2. 역사의 운명
— 328
3. 기원론과 종말론의 상관관계
— 328
1) 창세기 1-3장과 창세기 6-9장의 관계
— 328
2) 창세기 1-7장과 창세기 8-12장의 관계
— 328
4. 종말론적 기간들
— 328
5. 종말론적 기간으로 본 이스라엘 말기 역사
— 328
6. 종말론적 기간으로 구성된 요한계시록
— 328
참고 문헌
— 328
부 록
— 337
참고문헌
— 338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