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돔을 위해 중보할 때 아브라함은
‘야훼’를
‘세상을 심판하시는 이’(הֲשֹׁפֵט כָּל־הָאָרֶץ,
hášöpë† Kol-hä´ärec)라고 불렀다(
창 18:25).
2. 원래 히브리어는 자음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히브리어 어근은 자음 세 글자로 되어 있다. 모음은
‘마소라’(
‘전통’을 의미함) 학자들에 의해 발명이 되어 히브리어 성경에 추가되었다.
3.
‘샤파트’(שׁפט,
šp̄ṭ),
‘딘’(דִּין,
Dîn),
‘립’(רִיב,
rîb)이 심판을 의미하는 전문용어이지만, 심판개념을 확장하여 응보 관련 용어까지 포함할 경우, 심판 어휘는 매우 다양해 진다. 제라파는 응보 사상을 나타내는 구약의 히브리어와 신약의 그리스어를 오십 개 이상 조사하였다. P. Zerafa,
‘La Retribuzione Nella Bibbia’,
Angelicum 74(1997), 145-170.
4.
‘샤파트’(שׁפט,
šp̄ṭ)의 동사형은 구약에서 144회(칼형 126회, 닢알형 17회, 포엘 1회)가 사용되었으며 가장 많이 등장하는 동사 형태는 칼형
‘샤파트’(שָׁפַט,
šäpa†,
‘심판하다’)로 에스겔(23회), 시편(20회), 사사기(14회), 사무엘상(13회), 이사야(8회), 출애굽기(7회)에 사용되었다. 실명사형은
‘미쉬파트’(מִשְׁפָט,
mišPä†,
‘심판, 공의’) 422회,
‘쇼페트’(שֹׁפֵט,
šöpë†,
‘심판자’) 58회,
‘쉬파팀’(שְׁפָטִים,
še.pä†îm,
‘벌’) 16회 (이중에 에스겔 10회),
‘쉬포트’(שְׁפוֹט,
še.pô† ‘견책, 심문’ 2회
겔 23:10, 대하 20:9)가 사용되었다. G. Liedke,
‘שׁפט’,
TLOT 3:1392.
5. 창세기에 있는
‘샤파트’(שׁפט,
šp̄ṭ)의 파생어는 다음과 같다.
‘샤파트’(שָׁפַט,
šäpa†,
‘심판하다’):
창 16:5; 19:9 (2회)
31:53.
‘쇼페트’(שֹׁפֵט,
šöpë†,
‘심판자’):
창 18:25.
‘미쉬파트’(מִשְׁפָט,
mišPä†,
‘공의’):
창 18:19, 25; (
‘관습’)
창 40:13 (כַּמִּשְׁפָּט הָֽרִאשׁוֹן,
KammišPä† häri´šôn,
‘전에 하던 것 같이’, the previous manner, as before). 마지막 것은
‘가데스’의 옛 지명인
‘엔 미스밧’(עֵין מִשְׁפָּט,
`ên mišPä†,
‘심판의 샘,’ 혹은
‘심판의 눈,’ 창 14:7)에 등장한다. Cornwall, 69; B. Johnson,
‘משפט’,
TDOT 9:96.
6. Liedke, 1393.
7.
‘שׁפט’ HALOT. 8. Richard Schultz,
‘שׁפט’,
NIDOTTE 4:214-217.
9.
단 9:12에서
‘쇼프테누 아셰르 쉐파투누’(שֹׁפְטֵינוּ אֲשֶׁר שְׁפָטוּנוּ,
šöp†ênû ´ášer šüpä†ûnû는
‘우리를 재판하던 재판관’(개역),
‘우리를 다스리는 통치자들’(새번역),
‘우리를 다스리는 위정자들’(공동번역 개정판)로 번역되었다.
10.
대상 16:33의
‘리쉬포트 에트-하아레츠’(לִשְׁפּוֹט אֶת־הָאָֽרֶץ,
lišPô† ´et-hä´ärec)는
‘땅을 심판하러’(개역),
‘세상을 다스리러’(공동번역 개정판)로 번역되었고,
시 96:13의
‘리쉬포트 하아레츠 이스포트-테벨’(לִשְׁפֹּט הָאָרֶץ יִשְׁפֹּֽט־תֵּבֵל,
lišPö† hä´ärec yišPö|†-Tëbël)은
‘땅을 심판하러 ∙∙∙ 세계를 심판하시며’(개역),
‘세상을 다스리러 ∙∙∙ 세상을 재판하시며’(공동번역 개정판),
‘세상을 다스리시러 ∙∙∙ 세상을 다스리시리라’(현대어 성경)로 번역되었다.
11.
창 16:6,
‘당신의 눈에 좋을 대로 그에게 행하라’(עֲשִׂי־לָהּ הַטּוֹב בְּעֵינָיִךְ,
`áSî-läh ha††ôb Bü`ênäyik) 는 에덴동산 이야기와의 연관성을 갖고 있다.
‘선함’(הַטּוֹב,
ha††ôb,
‘좋음’)은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
창 2:17),
‘눈에 좋을 대로’는
‘눈에 보암직도 하고’(
창 3:6, 히브리어 원어성경인 BHS에는
‘눈’이 있음)를 암시한다. Mathews,
Genesis 11:27-50:26, 186.
12. 야곱과 라반이 쌓은 돌무더기는
‘증거의 무더기’라는 의미로
‘여갈사하두타’(יְגַר שָׂהֲדוּתָא,
yügar Sähádûtä´. 아람어, 라반의 호칭)와
‘갈르엣’(גַּלְעֵד,
Gal`ëd. 히브리어, 야곱의 호칭)이라고 칭해졌고,
‘야훼’께서 살피시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망대’를 뜻하는
‘미스바’(מִצְפָה,
micPâ)로도 불렀다(
창 31:47, 49). 그들의 언약 이행의 성실성은 모든 것을 보시는 심판자 하나님에 대한 신앙에 근거한다.
13.
‘창세기 19:9에 šp̄ṭ 를 빈정거리는 투로 한번 사용했다. 소돔성의 사람들은 우거자인 이방인 롯이 저들의 족장인 것처럼 행동하고 있다고 조롱했다.’ Schultz, שׁפט ,215. 롯은 성읍의 지도자인 장로들이 모이는 성문에 앉고 그의 딸들을 소돔 남자들과 결혼까지 시키려고 할 만큼 소돔인들에게 동화되려는 노력을 다했지만(
창 19:1, 14), 소돔인들은 결국 그를 국외자로 여겼다. 참조, Sarna, 136.
14.
시 2:10의
‘쇼프테 아레츠’(שֹׁפְטֵי אָרֶץ,
šöp†ê ´ärec)는
‘세상의 관원들아’(개역),
‘세상의 통치자들아’(공동번역 개정판),
‘세상의 재판관들아’(개역개정)로 번역되었다.
15. 아브라함은 하나님 앞에서 소돔을 위해서 중보할 때 하나님께서 그를
‘공의’(מִשְׁפָט,
mišPä†)를 행하도록 선택하신 것처럼(
창 18:19) 하나님께 의인을 악인과 함께 멸망시키지 말도록
‘공의’(מִשְׁפָט,
mišPä†)를 행하시길 촉구했다.
16. Peter Enns,
‘משׁפט’,
NIDOTTE 2:1142-1144
17.
‘미쉬파트’(מִשְׁפָט,
mišPä†)는 구약에 425회 중 다음과 같이 분포되어 있다. 오경 84회 (신명기 37회), 역사서 74회(열왕기 28회, 역대기 22회), 지혜문학 47회(욥기 23회, 잠언 19회), 선지서 144회(이사야 41회, 예레미야 32회, 에스겔 43회, 소선지서 27회).
18.
출 21-23의 언약서를 도입하는
‘함미쉬파팀’(הַמִּשְׁפָּמִם,
hammišPä†îm)은
‘법규’(개역개정),
‘율례’(개정),
‘법령’(현대어성경)으로 번역되었다(
출 21:1).
출 21-23은 하나님이 모세를 통해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언약서이다(
출 24:7).
19.
사 10:2의
‘워리그졸 미쉬파트’(וְלִגְזֹל מִשְׁפַּט,
wüligzöl mišPa†)는
‘권리를 박탈하며’(개역, 개역개정),
‘공의를 억제하며’(withhold justice, NIV)로 번역이 되었다. 가난한 자, 객, 고아, 과부 등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미쉬파트’(מִשְׁפַּט,
mišPa†)는 저들에게 공의를 베푸는 것 뿐 아니라 저들에게
‘속해 있는’ 어떤 것을 보호하는 행위까지도 포함한다(
출 23:6; 신 10:18; 24:17; 사 10:2; 렘 5:28; 시 140:13; 욥 36:6). 참조, Liedke,
‘שׁפט’,
TLOT 3:1395.
20.
미 7:9의
‘워아사 미쉬파티’(וְעָשָׂה מִשְׁפָּטִי,
wü`äSâ mišPä†î)는
‘나를 위하여 ∙∙∙ 신원 하시기까지는’(개역),
‘나를 위하여 심판을 집행하시며’(킹제임스흠정역),
‘나를 위하여 공의를 집행하시며(executes justice for me, NAS)’로 번역하였다.
21.
시 43:1의
‘쇼프테니 엘로힘’(שָׁפְטֵנִי אֱלֹהִים,
šop†ënî ´élöhîm)은
‘하나님이여 나를 판단하시되’(개역, 개역개정),
‘오, 하나님, 나를 변호하여 주십시오’(vindicate me, O God, ESV, NAS, 새번역)로 번역하였다.
22. Gerhard F. Hasel,
‘Divine Judgment’,
Handbook of Seventh-Day Adventist Theology, ed. Raoul Dederen et al., Commentary Reference Series (Hagerstown, MD: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2000), 816-817.
23. 여호사밧은
(1) 다윗과 솔로몬 시대의 사관(
삼하 8:16; 20:24; 왕상 4:3; 대상 18:15),
(2) 솔로몬이 임명한 열 두 명의 관리 중 한 사람(
왕상 4:17; 참조,
7절),
(3) 유다의 제 4대 왕 여호사밧(c.
873-849 BC,
대하 17:2; 18:1; 20:32; 왕상 22:42), 그리스어로는 요사밧(VIwsafa.t,
마 1:8),
(4) 이스라엘의 10대 왕 예후의 아버지(
왕하 9:2; 14:20)가 있다.
24. 사밧은
(1)모세가 보낸 열 두 명의 정탐꾼 중 한 사람(
민 13:5),
(2) 엘리사 선지자의 아버지(
왕상 19:16, 19; 왕하 3:11; 6:31),
(3) 유다 지파 다윗의 후손 중 하나로 스마야의 여섯 아들 중 막내(
대상 3:22),
(4) 바산에 거하는 갓 자손의 족장(
대상 5:12),
(5) 아들래의 아들이며 다윗의 소떼를 책임진 사람(
대상 27:29)이 있다.
25. 스바댜는
(1) 다윗이 아비달로부터 얻은 아들(
삼하 3:4; 대상 3:3),
(2) 시글락에서 다윗에게 가담한 베냐민 전사 중 한 사람인 하룹 사람(
대상 12:5),
(3) 다윗의 지도자 중 시므온 지파를 관장한 사람(
대상 27:16),
(4) 유다의 여호사밧 왕의 아들(
대하 21:2),
(5) 시드기야 왕 때 선지자 예레미야를 죽이려고 진창 구덩이에 빠뜨린 맛단의 아들(
렘 38:1),
(6) 바벨론으로부터 스룹바벨과 함께 귀환한 372명(
스 2:4; 느 7:9)과 에스라와 함께 귀환한 81명(
스 8:8)의 조상이 되는 사람,
(7) 바벨론으로부터 스룹바벨과 함께 귀환한 이들의 조상 중 솔로몬의 신하(
스 2:57; 느 7:59),
(8) 포로에서 돌아와 예루살렘에 거주한 베냐민 지파 중 무술람의 조상(
대상 9:8),
(9) 포로에서 돌아와 예루살렘에 거주한 유다 지파 중 베레스의 후손(
느 11:4)이 있다.
참조, T.M. Mauch,
‘Shephatiah’,
The Interpreter’
s Dictionary of the Bible, ed. G. A. Buttrick (New York/ Nashville: Abingdon Press, 1962), 323-324.
26. 아람어 동사
‘심판하다’(דִּין,
Dîn)는 페르시아의 아닥사스다 왕이 내린 조서 속에 1회 나온다(
스 7:25). 아람어 명사형은 총 여섯 번 중에 다섯 번이 단수이고(דִּינָה,
Dînâ,
‘재판’,
스 7:26; דִּין,
Dîn,
‘정의’,
단 4:34; דִּינָא,
dînä´,
‘사법적 모임’,
단 7:10, 22, 26)
스 7:25에 복수형(דַּיָּנִין,
dayyänîn,
‘재판관들’)이 한 번 사용되었다. 참조,
‘דִּין’,
HALOT. 27. V. Hamp and G. J. Botterweck,
‘דּין’,
TDOT 3:188.
28. Richard Schultz,
‘דין’,
NIDOTTE 1:939.
29. Hamp and Botterweck, 191.
30. Sarna, 340.
31.
계 7장은 이스라엘의 열 두 지파에서 단을 제외 시키고, 요셉과 그의 두 아들 중 므낫세는 포함시킨 반면에 에브라임은 제외시켰다. 그러나 회복될 왕국에 대한 에스겔의 이상 속에 단은 포함되어 있다(
겔 48:2).
32. 다니엘은
(1) 다윗의 둘째 아들이며 아비가일의 맏아들(
대상 3:1; 참조,
삼하 3:3 길르압),
(2) 이다말의 후손인 제사장(
스 8:2; 느 10:6),
(3) 다니엘서의 기록자(바벨론 궁전의 유대인 정치가, 선지자,
단 1:6, 21)가 있다.
33.
‘압돈’은 인명으로
(1) 8년간 이스라엘의 사사로 일한 힐렐의 아들(
삿 12:13-15),
(2) 예루살렘에 거주하였던 베냐민 지파의 족장(
대상 8:23, 28),
(3) 기브온에 살았던 베냐민 지파 출신 중 여이엘의 장남(
대상 8:30; 9:36),
(4) 미가의 아들(
대하 34:20)이 있고, 지명으로 가나안 정복 후에 레위 족속에게 주어진 아셀 지파의 네 성읍 중 하나가 있다.
34. 선지서에 등장하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의 송사를
‘예언적 소송’(prophetic lawsuit)이라는 전문술어로 불렀지만 현재는 널리 반박되고 있다. John M. Bracke,
‘ריב’,
NIDOTTE 3:1107.
35. Hasel,
‘Divine Judgment’, 817.
(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