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alter C. Kaiser,
‘~v’,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TWOT), (Chicago, IL: Moody, 1980), 934.
2.
‘God, Names Of’,
Tyndale Bible Dictionary, ed. Walter A. Elwell et al. (Wheaton, IL: Tyndale House Publishers, 2001), 539.
3. Bietenhard,
‘onoma, onomazw, eponomazw, yeudwnumoj’,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TDNT), ed. Gerhard Kittel (Grand Rapids, MI: Eerdmans, 1964-1976), 5:243.
4. 이종근,
히브리사상 (서울: 삼육대학교출판부, 2007), 40.
5.
‘엘로힘’의 단수형으로
‘엘’과
‘엘로아’ 중 하나일 것으로 보는 견해들이 존재하는데,
‘엘로아’는 구약의 57회 등장하며, 욥기는 이스라엘과의 연관성을 피하고자 41회에 걸쳐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 E. Fretheim,
‘אלהים,’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
NIDOTTE), (Grand Rapids, MI: Zondervan 1997), 405;
‘God, Names Of’, 539.
6. R. Kent Hughes,
Genesis: Beginning and Blessing, Preaching the Word (Wheaton, IL: Crossway Books, 2004), 18.
7.
‘God, Names Of’, 539.
8. G. T.; Bruce Manley, F. F.,
‘God, Names Of’,
New Bible Dictionary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96), 420.
9. Leo G. Perdue,
‘Names of God in the Old Testament,’ Harper’
s Bible Dictionary, ed. Paul J. Achtemeier (San Francisco: Harper & Row, 1985), 686.
10. 나단 J. 스톤,
구약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이름들, 장세학 옮김 (서울: 전도출판사, 1992), 18.
11.
출 15:2; 17:16; 시 68:5, 19; 77:12; 89:9; 94:7; 12; 102:19; 104:35, 등등.
12. Henry O. Thompson,
‘Yahweh (Deity)’,
The Anchor Bible Dictionary (=ABD), (New York: Doubleday, 1992), 6:1012.
13.
창 1-2장에는 창조기사가 2회 등장하는데 문서가설을 주장하는 비평학자들은
창 1:1-2:4 전반부에는
‘엘로힘’이 유일한 신명으로 등장하였기 때문에 이 부분은 주
전 950년경 북 이스라엘에서 편집된
‘엘로힘’문서(E문서)이고,
창 2:4 후반부터
‘야훼’가 등장하기 때문에 다윗-솔로몬시대에 남 유다에서 편집한 야훼 문서(J문서)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한 문장 속에서 각각의 이름이 홀로 사용되는 적도 있지만 허다한 문장들은 같은 문장 속에서
‘야훼 엘로힘’이라는 신명으로 함께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후세의 저자가 동일문장 속에 서로 다른 문서들을 결합했다는 주장은 합리적이지 않다. 그보다는 저자의 신학적 강조점의 차이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신명이 사용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김영진,
구약성서읽기 (서울: 이레서원, 2006), 36; 스톤, 23-24; Umberto Cassuto,
The Documentary Hypothesis and the Composition of the Pentateuch: Eight Lectures, (Jerusalem: Magnes, 1961), 23-25.
14. 구약에서 이스라엘을 초월하는 대상을 주제로 다루고 있는 전도서와 요나서에
‘엘로힘’이 신명으로 사용되었고, 바벨론과 메대파사 배경을 갖고 있는 다니엘서는
‘엘로힘’에 상당하는 아람어
‘엘라흐’를 사용하고, 오직
‘야훼’ 하나님과의 언약을 의지하여 포로된 유다인을 위한 다니엘의 기도가 수록된
단 9장에서만
‘야훼’를 사용했다(
단 9:2, 8, 10, 13, 14, 20). 또한 히브리어 성경에서 선지서로 분류되어 있는 신정 정치적 관점에서 기록된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서인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서, 열왕기서는 주로
‘야훼’를 사용했다. 이는 신학적 관점에 따라 신명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성경적 증거이다.
15. Robert J. Wyatt,
“God, Name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Grand Rapids, MI: Eerdmans, 1982), 2:507.
16. Milton, 22.
17. Nathan J. Stone,
Names of God in the Old Testament (Chicago, IL: Moody Press, 1944), 21.
18. 아담과 하와의 타락,
창 3:8-24; 가인이 아벨을 살해함,
창 4:1-15; 홍수 전시대 사람들에 대한 심판,
창 6-9; 바벨탑,
창 11:1-9; 아브라함의 아내 사래의 일로 바로를 심판,
창 12:17; 사래와 하갈,
창 16:5; 소돔심판,
창 18:16-33; 아브라함의 아내사라의 일로 아비멜렉을 심판함,
창 20:3-7, 17-18.
19. 고든 웬함,
모세오경, 성경이해, 3권 (서울: 성서유니온선교회, 2007), 75.
20. Ludwig Köhler and others,
‘עליון,’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HALOT) (Leiden: Brill, 1994-2000).
‘엘룐’은 하나님을 가리키는 다른 용어들과 평행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엘’:
민 24:16; 시 73:11; 107:11;
‘야훼’:
시 18:14; 21:7[H 8];
91:9; 92:2;
‘엘로힘’:
시 46:4[H 5];
50:14;
‘샷다이’:
시 91:1.
21.
‘엘 엘룐’처럼
‘엘룐’이 다른 신명과 직접 연결되어 사용된 경우는 다음과 같다.
‘엘로힘 엘룐’:
시 57:3; 78:56;
‘야훼 엘룐’:
시 7:17[H 18];
47:2[H 3].
22.
‘주재(主宰)’,
국어대사전, 이희승편 (서울: 민중서림, 2003).
23. Terence E. Fretheim,
‘אל,’ NIDOTTE 1:400-401.
24. William David; Fry Reyburn, Euan McG.,
A Handbook on Genesis, UBS Handbook Series (New York: United Bible Societies, 1997), 324.
25.
창 15:2, 8; 18:3, 27, 30, 31, 32; 19:18; 20:4.
26. Stone, 45.
27. Reyburn, 13.
‘아도나이’의 단수형은
‘아돈’이며, 하나님과 인간 모두에게 사용되고 각 존재가 처한 적절한 관계를 가리키는데 사용이 되었다.
28. Ibid., 408.
29. Hughes, 265.
30. Sarna, 142.
31.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ed. R. K. Harrison et al.,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Eerdmans, 1990), 455.
32. Sarna, 121.
33. Lawrence O. Richards,
The Bible Reader’
s Companion (Wheaton, IL: Victor Books, 1991), 36.
34. Robert S. Candlish,
Studies in Genesis (Grand Rapids, MI: Kregel, 1979). 이 책의
창 16:13 부분을 참고할 것.
35.
욥 5:17; 6:4, 14; 8:3, 5; 11:7; 13:3; 15:25; 21:15, 20; 22:3, 17, 23, 25, 26; 23:16; 24:1; 27:2, 10, 11, 13; 29:5; 31:2, 35; 32:8; 33:4; 34:10, 12; 35:13; 37:23; 40:2.
36.
창 49:25는
‘전능자’(שַׁדַּי)가
‘하나님’(אֵל)과 평형을 이루며 사용이 된다.
37. Christopher J. H. Wright,
‘God, Names Of’,
ISBE 2:506.
룻 1:20 이하;
욥 5:17; 6:4; 시 68:14 [MT 15];
사 13:6; 욜 1:15에서는 파괴적인 면이 문맥과 일치한다.
38. Warren W. Wiersbe,
Be Obedient (Wheaton, IL: Victor Books, 1996). 이 책의
창 17:1 부분을 참고할 것.
39. 아브람은
‘존귀하신 아버지’, 아브라함은
‘많은 무리의 아버지’, 사래는
‘나의 여주인’, 사라는
‘여주인’혹은
‘왕비, 수령’(princess, chieftainess)을 의미한다.
40. 웬함, 80.
41. Fretheim,
‘אֵל,’ NIDOTTE 1:401.
42.
창 23장에서 사라가 죽었을 때 아브라함은 가족의 매장지를 헷 사람에게서 은 사백 세겔로 구입하였는데, 마므레(헤브론)의 매장지는 굴과 밭을 포함하였다(
창 23:16-20). 브엘세바는 유대사막 남부의 도시인데 약속의 땅 전체를 가리킬 때 상용어로 사용된
‘단으로부터 브엘세바까지’라는 문구가 보여주는 것처럼 이스라엘 영토에서 최남단에 자리 잡고 있었다(
삿 20:1; 삼상 3:20).
43. 영어성경은
‘야훼’를 표기할 때 대문자로 LORD를 사용한다.
44. 한글판 제임스왕역은
‘주의 산에서 그것을 보리라’고 번역하였다. KJV는 원어의 수동태를 그대로 반영하여
‘it shall be seen’으로 번역했다.
45. Sailhamer,
The Pentateuch as Narrative: A Biblical-Theological Commentary, 88.
46. Stone, 62.
47. Sailhamer,
The Pentateuch as Narrative: A Biblical-Theological Commentary, 178.
48. Charles T. Fritsch,
Genesis, The Layman’s Bible Commentary, vol. 2 (Atlanta, GA: John Knox, 1959), 74-75.
49. Flint, 148.
50. Judson Cornwall, Smith Stelman,
The Exhaustive Dictionary of Bible Names (North Brunswick, NJ: Bridge-Logos, 1998), 178.
(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