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속의 영원한 복음 제4부 죄와 심판 제11장 심판을 가리키는 낱말들
 2) 심판 - ‘딘’(דִּין, Dîn)
 (1) 인간의 활동
 국가의 위정자들은 장애인과 사회의 소외된 계층의 송사를 돌보아야 했다(렘 22:16; 잠 31:5, 8). 그러나 때때로 이 일은 악인들에 의해 무시를 당했다(사 10:2; 렘 5:28; 잠 29:7). 왕은 심판의 보좌에 앉아서 모든 악을 흩어버리는 일을 관장해야 한다(잠 20:8). (189.2)
 (2) 하나님의 활동
 하나님의 ‘심판’(דִּין, Dîn)은 ‘공의’(משְׁפָט, mišPä†)와 짝을 이룬다(시 9:4[5]; 140:12[13]). 따라서 이 땅의 모든 온유한 자는 하나님의 판결 선포를 통해서 구원 얻게 될 것을 인해 하나님을 찬양해야 한다(시 76:8-9[9-10]). (189.3)
 3) 재판장 - ‘다얀’(דַּיָּן, dayyän)
 히브리어로 모두 두 번 나오는 ‘다얀’(דַּיָּן, dayyän) ‘재판장’은 하나님께 적용이 되었다. 다윗은 하나님께서 재판장이 되셔서 사울의 손에서 건져 주시기를 기원했고(삼상 24:15), 하나님이 고아와 과부의 권리를 보호해 주시는 재판장임을 고백하였다(시 68:5). (189.4)
 4) 창세기의 ‘딘’(דִּין, Dîn)
 하나님은 애굽을 ‘징벌하심’으로(דָּן, Dän) 아브람의 후손을 출애굽 시키겠다고 예언하셨다(창 15:14). 세상에 구원을 가져올 한 민족의 탄생은 하나님의 심판을 통해서 탄생한 것이다. (190.1)
 부조시대에 하나님의 심판은 개인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피해자에게 위로를 주는 것으로 이해가 되었다. 라헬은 자기의 여종 빌하를 통해서 야곱에게 아들을 낳게 되었을 때 하나님이 억울함을 풀어주셨다는 의미로 ‘단’(דָּן, Dän, ‘억울함을 푸심’)이라고 이름을 지었다(창 30:6. 비고, 창 30:25; 46:23). 후에 족장 야곱은 언어유희를 사용하여 유언 중에서 단을 축복했다. ‘단은 ∙∙∙ 그 백성을 심판하리로다.’(דָּן יָדִין עַמּוֹ, Dän yädîn `ammô, 창 49:16) 이 축복은 이스라엘 백성의 사사로 삼손이 그 백성을 블레셋의 착취에서 구출했을 때 부분적으로 성취가 되었다(삿 15).30 단 지파의 오홀리압은 브살렐과 함께 하나님의 지혜와 총명으로 출애굽 때 성막과 그 기구를 만드는 일에 헌신했지만(출 31:6; 36:1) 사사 시대 때 단 지파는 집단적으로 우상숭배를 받아들여 배도에 앞장서는 지파가 되었다(삿 18:30-31). 후에 북 왕국의 시조인 여로보암은 벧엘과 단에 금송아지 우상을 두었다(왕상 12:28-29). 요한계시록의 십사만사천을 이루는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에서 단 지파는 제외 되었다(계 7:5-8).31 (190.2)
 ‘디나’(דִּינָה, Dînâ, 정의)는 유일하게 이름이 기록된 야곱의 딸로 레아가 낳았다(창 30:21). 이름에 대한 설명이 없지만, 그녀가 당한 수치에 대해서 오빠인 시므온과 레위는 세겜 족속을 심판의 칼로 응징하였다(창 34). (191.1)
 5) ‘딘’(דִּין, Dîn)이 반영된 이름
 히브리인들의 이름 속에 ‘심판’(דִּין, Dîn)이 반영되어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다니엘’(דָּנִיֵּאל, Däniyyë´l, ‘하나님은 나의 재판장이시다’, ‘나의 재판장은 하나님이시다’)32, ‘다냐안’(דָּנָה יַעַן, Dänâ yya`an, ‘숲의 재판장’, 지명, 삼하 24:6), ‘단’(דָּן, Dän, ‘심판’, ‘심판하시는 분’, 창 30:1-6), ‘단지파’(הַדָּנִי, haDDänî, ‘심판함’, ‘심판자’, 삿 13:2; 18:1, 11; 대상 12:35), ‘단나’(דַּנָּה, dannâ, ‘네가 심판했다’, ‘심판’, 지명, 수 15:49), ‘디나’(דִּינָה, Dînâ, ‘심판받은’, ‘변호받은’, ‘정의’, 창 30:21; 34:1, 3; 46:15), ‘밋딘’(מִדִּין, miDDîn, ‘심판으로부터’, ‘심판함’, 지명, 수 15:61), ‘미디안’(מִדְיָן, midyän, ‘다툼’, ‘다투는 자’, 창 25:2; 대상 1:32), ‘아비단’(אֲבִידָן, ´ábîdän, ‘아버지가 재판하신다’, ‘나의 아버지는 재판하신다’, 민 1:11; 2:22; 7:60-65) ‘압돈’(עַבְדּוֹן,  `abDôn, ‘고된 노예생활’, ‘심판자’, ‘심판의 봉사’ 혹은 ‘충성된 종’, ‘봉사’)33, ‘야돈’(יָדוֹן yädôn, ‘하나님이 심판하실 자’, ‘통치하는 자’, ‘머무는 자’, ‘그가 싸울 것(심판할 것)이다’, 느 3:7), ‘하스밧다나’(חַשְׁבַדָּנָה, HašBaDDänâ, ‘이유’, ‘심판 중의 생각’, ‘현명한 재판관’, ‘생각’, 느 8:4). (191.2)
 3. 히브리어 어근 ‘립’(רִיב, rîb)과 파생어들
 1) ‘립’(רִיב, rîb)의 기본적 의미
 ‘립’(רִיב, rîb)의 기본적 의미는 ‘다투다, 분쟁하다’(창 26:20-22; 민 20:3; 신 33:7, 8) 혹은 ‘사법적 소송에 관련되다’(사 3:13 렘 2:9; 호 4:4; 시 74:22)이다. 파생어로 ‘립’(רִיב, rîb, 다툼, 논쟁, 소송, 창 13:7; 출 17:7; 23:3, 6; 신 1:12), ‘야립’(יָרִיב, yärîb, 다투는 자, 시 35:1; 사 49:25; 렘 18:19), ‘므리바’(מְרִיבָה, mürîbâ, 다툼, 창 13:8; 민 20:13, 24; 시 81:8)가 있다. (192.1)
 주로 인간 사이의 다툼과 소송과 관련이 있지만, 선지서에서 하나님은 그분의 백성인 이스라엘과 재판에서 변론하시며 결과적으로 심판을 선고하신다(렘 2:5-9; 호 2:4-25; 4:1-3; 미 6:1-8).34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심판하시지만 용서와 치유와 자비를 베푸시는 분이시다(시 103:9; 사 57:16). 하나님은 그분의 백성의 ‘송사’(רִיב, rîb)를 옹호하시는 분이기 때문에 이스라엘은 약자의 송사를 옹호해야 할 의무를 지니며,(출 23:6; 사 1:17, 23; 잠 23:1) 이스라엘은 하나님께 소망을 두고 구원을 간청할 수 있다(사 49:25; 미 7:9; 시 35:1; 43:1; 119:154). ‘야훼는 재판장과 피고측 변호인이 되시며, 검사와 변호인의 역할을 동시에 맡고 계신다.’35 (192.2)
 2) 창세기의 ‘립’(רִיב, rîb)
 유목민적 배경 속에서 창세기 기사들은 이 용어로 분쟁 기사들을 다룬다. 아브람과 롯의 목자들 사이에 목초지를 두고 ‘다툼’(רִיב, rîb, 창 13:7; מְרִיבָה, mürîbâ, 창 13:8)이 발생했고, 이 상황을 아브람은 롯에게 우선권을 주어 갈 곳을 정하도록 함으로 해결하였다. 이삭은 가나안 부족들과의 다툼을 중심으로 그가 판 우물들의 이름을 에섹, 싯나, 르호봇이라고 불렀다(창 26:20, 21, 22). 야곱은 자기를 추격한 라반에 대해 분노하며 ‘책망하였다.’(וַיָּרֶב, wayyäreb 창 31:36). 그는 자기가 지난 이십년 동안 외삼촌 라반의 집에서 성실히 봉사했음을 주장하고 라반이 임금을 열 번이나 바꾼 부당한 행동을 제시하여 정의로우신 재판장이신 하나님의 개입을 옹호하였다(창 31:38-42). (192.3)
 3) ‘립’(רִיב, rîb)이 반영된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