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AMS
Home
Bible 1
Bible
Bible study by topic
Bible Readings (1)
Bible Readings (2)
Bible Readings - Chronological order
Verse Of The Day
Bible 2
Bible Image
Harmony of the Gospels
Audio, Movie (1)
Audio, Movie (2)
Sabbath Lesson (A)
Sabbath Lesson (B)
EGW Books
Book
Index
Devotional
Image
Etc
Speaker
Sabbath, Amen Image
Guide
Abbreviatio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Join
Login
Chinese
English
French
Germ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omanian
Russian
Spanish
X
책
〉
영원한 본체를 붙잡다
서문
— 3
추천의 글
— 5
추천의 글
— 7
추천의 글
— 9
역자의 글
— 12
목차
— 14
책 머리에
— 22
비평에 의한 도전
— 22
대화와 변화
— 22
서론
— 29
초기 이설들에 당면한 사도들
— 29
역사 속에 나타난 그리스도론
— 29
현대 그리스도론
— 29
현대 그리스도론의 선구자들
— 29
재림교회 그리스도론의 역사
— 29
참고 문헌
— 29
제1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 40
제1장 그리스도의 신성
— 40
제임스 화잇(1821~1881)
3
— 40
우라이아 스미스(1832~1909)
9
— 40
죠셉 H. 와그너(1820~1889)
18
— 40
엘리엇 J. 와그너(1855~1916)
20
— 40
엘렌 G. 화잇(1827~1915)
42
— 40
제2장 그리스도의 인성
— 55
성육신은 하나의 신비
— 55
그리스도론의 성서적 기초
— 55
초기 재림교회의 증언
— 55
최초의 공식선언
— 55
타락한 상태의 인성
— 55
제2부 재림교회 선구자들의 그리스도론
— 68
제3장 엘렌 G. 화잇 (1827~1915)의 그리스도론
— 68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
— 68
아담의 타락 전 인성인가, 타락 후 인성인가?
— 68
타락한 상태의 인간의 본성
— 68
“모든 일에 우리와 한결같이 시험을 받은 자로되”
— 68
“∙∙∙ 죄는 없으시니라”
— 68
신성과 인성 모두 지님
— 68
신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
— 68
결론
— 68
제4장 엘리엇 J, 와그너 (1855~1916)
— 88
1884년부터 1888년 사이에 주어진 첫째 진술
— 88
‘육신으로 나타나신 하나님’
— 88
와그너가 자신의 그리스도론을 확증함(1891~1902)
— 88
결론
— 88
참고 문헌
— 88
제5장 알론조 T. 존스 (1850~1923)
1
— 101
존스의 기별은 아직도 신뢰할 만한가?
— 101
존스의 그리스도론
— 101
1. 그리스도의 타락한 인성
— 101
2. 육신 속에서 멸한 바 된 죄
— 101
3. 아담의 본성:타락 전인가, 후인가?
— 101
4.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승리가 가능함
— 101
결론
— 101
참고 문헌
— 101
제6장 윌리암 W. 프레스 (1855~1944)
1
— 119
1888년 기별의 열렬한 지지자
— 119
1. 기본 진리가 되는 성육신
— 119
2.
‘죄 있는 육신’
속에 있는 성육신
— 119
3. 타락 후의 아담의 육신
— 119
4. 우리 안에 계시는 그리스도, 영광의 소망
— 119
엘렌 G. 화잇은 프레스캇의 그리스도론을 인정함
— 119
프레스캇은 자신의 그리스도론을 확증함
— 119
1. 예수님이 인간의 혈육에 참여하심
— 119
2. 인간의 육신과 같은 육신
— 119
3. 육신 속에 있는 죄를 멸하기 위하여 보내심
— 119
4. 당신의 신성에 참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 119
진정한 그리스도 중심의 기별
— 119
결론
— 119
참고 문헌
— 119
제7장 거룩한 육체 운동
1
— 138
해스켈이 엘렌 G. 화잇에게 알림
— 138
엘렌 G. 화잇이 해스켈에게 보낸 답변
— 138
강력한 항의
— 138
와그너가 거룩한 육체 교리를 반박함
— 138
엘렌 G. 화잇이 거룩한 육체 교리를 거절함
— 138
거룩한 육체 교리가 오류로 정죄됨
— 138
결론
— 138
참고 문헌
— 138
제3부 공식적인 교회 출판물에 나타난 인용문(1895~1952)
— 152
제8장 공식적인 교회 출판물에서의 발췌문 (1895~1915)
— 152
교회의 간행물들로부터의 발췌문
— 152
안식일학교 교과에서의 발췌문
— 152
여러 서적들로부터 발췌한 내용
— 152
1. 예수를 바라봄 — 우라이아 스미스 저
— 152
2. 질의와 응답 - 밀튼 C. 윌콕스 저
— 152
3. 가정성서독본
— 152
참고 문헌
— 152
제9장 공식 간행물들로부터의 발췌문 (1916~1952)
— 166
교회 정기 간행물들로부터의 발췌문
— 166
유럽 재림교회 저술 가운데 나타난 그리스도론
— 166
안식일학교 교과에서의 발췌문
— 166
여러 책들로부터의 발췌문
— 166
그리스도의 교리-W. W. 프레스콧 저
— 166
승리의 생애 미드 맥기어 저
— 166
믿음의 실체들 — 크리스챤 에드워드손 저
— 166
로마 바벨론의 포도주—메리 E. 월쉬 저
— 166
반대에 대한 답변-F, D. 니콜 저
49
— 166
<속죄>와 <시대의 드라마> - W. H. 브랜슨 저
— 166
결론
— 166
참고 문헌
— 166
제4부 재림교회 중심부의 그리스도론 논쟁
— 194
제10장 재림교회의 새 지계표
— 194
급진적 변화의 첫 이정표
— 194
과거의 잘못된 견해에 대한 반박
— 194
신신학의 출현
— 194
재림교회의 새 이정표
— 194
교리에 대한 질의
— 194
윌리암 베이커에게 보낸 엘렌 G. 화잇의 편지
— 194
참고 문헌
— 194
제11장 ‘교리에 대한 질의’ 그에 대한 첫 번째 반격
— 213
재림교 성경주석이 확인해 준 전통적 그리스도론
— 213
엘렌 G. 화잇 유산관리위원회가 <가려 뽑은 기별>을 출판
— 213
M. L. 앤드리어슨과 교회에 보낸 그의 서신
— 213
‘교리에 대한 질의’
개정제안들
— 213
밝혀진 여론조사
— 213
SDA 성경주석 7권-A의 출판
— 213
신인(神人), 그분의 본성과 사역 - 로이 A 앤더슨 저
— 213
L. E. 프룸(LeRoy E. Froom)이 신신학을 확증함
— 213
참고 문헌
— 213
제12장 신 그리스도론에 대한 반격(1970~1979)
— 236
<리뷰 앤드 헤랄드>지의 반격
— 236
성서연구위원회의 반박
— 236
허버트 E. 더글러스가 안식일학교 교과에서 반박
— 236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의 교리 위원회’
의 그리스도론
— 236
팜데일 협의회 시 포드의 보고내용
— 236
허버트 E. 더글러스가 전통적 그리스도론을 재확인
— 236
케네드 우드 전통적 그리스도론을 고수
— 236
에드워드 헤펜스톨의 그리스도론
— 236
미니스트리 편집장 시 J. R. 스팽글러의 그리스도론
— 236
토마스 A. 데이비스:예수님은 실제로 우리와 같으셨는가?
— 236
윌리암 G. 존슨의 견해
— 236
에드워드 W. H. 빅, <인간, 예수>
— 236
참고 문헌
— 236
제13장 논쟁의 절정
— 271
전통적 그리스도론의 열렬한 방어자
— 271
안식일학교 교과들에 나타난 새로운 그리스도론
— 271
현대진리의 외침
— 271
재림교회 그리스도론의 역류
— 271
두 그리스도론의 대면
— 271
1. 갈리:타락 전 인성
— 271
2. 더글러스:타락 후 인성
— 271
정립(定立)과 대립(對立)의 상호 조율
— 271
미니스트리지의 독자들로부터 받은 질문
— 271
토마스 A. 데이비스의 변경된 견해
— 271
참고 문헌
— 271
제14장 역사적인 진리에 대한 탐구
— 304
재림교회 그리스도론의 한 세기
— 304
엘렌 G. 화잇 유산관리위원회의 입장을 요청받음
— 304
로버트 올슨의 견해
— 304
그리스도론이 엘렌 G. 화잇 유산관리위원회에서 거론됨
— 304
팀 포이리어와 엘렌 G. 화잇의 그리스도론
— 304
D. A. 델라드가 엘렌 G. 화잇의 그리스도론을 확증함
— 304
조지 R. 나이트가 선구자들의 그리스도론을 확증함
— 304
기본 교리에 대한 성서적 해석
— 304
로이 아담스가 논쟁을 재개
— 304
유럽의 상황
— 304
조지 스티븐:선구자들의 깨우침을 수용
— 304
윌리암 G. 존슨이 조화를 모색함
— 304
잭 쉐케라와 죄의 문제
— 304
엘렌 G. 화잇의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최후의 진술
— 304
참고 문헌
— 304
제5부 재림교회의 토대와 성서적인 그리스도론
— 334
제15장 평가와 비평
— 334
그것이 정말 핵심인가?
— 334
오늘날 통용되는 3대 해석 요약
— 334
1. 전통적, 혹은 역사적 그리스도론
— 334
2. 신신학 - 타락 전 입장
— 334
3. 대안적 그리스도론
— 334
평가의 잘못
— 334
교회에서 정죄 받은 교리
— 334
특정한 의도를 가진 절차
— 334
거짓된 논증, 그릇된 길로 이끄는 표현
— 334
대안적 그리스도론의 강점과 약점
— 334
참고 자료
— 334
제16장 성서에 근거한 그리스도론 자료
— 364
신약성서의 증거
— 364
죄에 대한 성서적 개념
— 364
1. 능력으로서의 죄와 행함으로서의 죄
— 364
2. 오직 죄를 범한 자들만이
— 364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 364
성육신한 이유
— 364
1. 속죄물이 되기 위해
— 364
2. 육신 속에 있는 죄를 멸하기 위해
— 364
3. 죄와 사망의 법으로부터 자유케 하기 위해
— 364
4. 율법의 의로운 요구가 우리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 36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을 통한 승리
— 364
1. 그리스도:
‘영으로 새롭다 하심을 입으심’
— 364
2. 그리스도의 영에 의해 변화
— 364
결론
— 364
참고 문헌
— 364
저자 후기
— 387
참고 문헌
— 387
Copy (B)
Copy (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