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본체를 붙잡다 제2부 재림교회 선구자들의 그리스도론 제4장 엘리엇 J, 와그너 (1855~1916)
 마지막으로 그리스도께서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오신 이유를 제시하기 위하여 와그너는 로마서 8장 3, 4절고린도후서 5장 21절을 제시 한다. “앞 절은 말하기를 그리스도가 율법의 의가 우리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오신 이유를 설명했다. 뒷 절은 하나님께 서 ‘우리로 하여금 저의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죄를 알지도 못하신 자로 우리를 대신하여 죄를 삼으’셨다고 말한다.”28

 (96.4)
 이 모든 설명 가운데서 와그너는 이것들을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계속 연결시키고 있으며 그리스도께서는 친히 타락한 인성을 취하셨으며 이는 구 속의 목적을 이루시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능력으로 죄와 사망의 권세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려 하심이었다.(롬 8:2) (96.5)
 1892년 와그너는 <현대진리>라는 잡지의 편집인이 되기 위해 영국으로 가라는 초청을 받았다. 그는 거기서 1902년까지 머물렀다. 그동안 그는 1897년 대총회 회기에 참석하라는 초청을 받았고 대총회 참석 시 히브리서의 첫 장들에 기초한 19개 교과를 제시했다. 이것들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관한 가장 명료한 증거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할 때 별로 놀라운 사실은 아니다.29 한 번 더 와그너는 자신의 그리스도론을 전할 기회를 가졌다. 이 그리스도론은 또한 대총회 행정위원들과 교회의 그리스도론과 또한 일치했다. 만일 그렇지 않았다면 그들은 이 특별한 사건을 위해 영국으로부터 와그너를 초청하도록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97.1)
 와그너는 다시 한 번 자신의 이전의 입장을 반복했는데 이는 우리가 이미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이다. 한 관점에서 그가 사도 바울의 구절을 설명하였다. “만일 그분이 육신으로 오신 사실과 우리가 우리 입으로 주 예수를 시인하고 하나님이 그분을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것과 그분이 살아계신 능력이라는 사실을 우리 마음속으로 믿으면 우리는 구원을 얻을 것이다.”30

 (97.2)
 와그너는 그의 회중이 그 견해에 관하여 분명히 이해하도록 확신시키기 위하여 “아담 안에서는 말씀이 완전한 육신으로 들어왔으나 그리스도 안에서는 말씀이 타락한 육신으로 들어왔다. 그리스도께서는 맨 밑바닥까지 내려 오셔서 말씀이 육신 곧 죄 있는 육신이 되었다.”31

 (97.3)
 ‘하나님이 육신으로 나타나심’이란 제목의 <영문시조>의 기사에서 와그너는 우리 죄가 상징적인 방법으로 그리스도 위에 놓여진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분에게 놓여졌다고 주장했다.32 1900년 출판된 갈라디아서의 주석에서 그는 그리스도께서 “친히∙∙∙ 그 몸으로”(벧전 2:24) 우리 죄를 담당하셨다고 강조하여 언급한다. “우리의 죄가 그 위에 겉치례로 놓여지지 않고 ‘그 자신의 몸’에 실제적으로 놓여졌다.”

 (97.4)
 “그는 우리를 위해 ‘저주를 받으시고’ ‘죄가 되시고’ 그 결과로서 죽음을 맛보셨다. ∙∙∙ ‘친히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다고 우리에게 말하는 동일한 성경 구절은 그가 ‘죄가 없으시다’는 사실을 우리로 알도록 주의를 환기시킨다.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당신과 함께 그리고 당신 안에 담당하실 수 있었다는 사실과, 또한 실질적으로 우리를 위해 죄가 되셨으나 어떤 죄도 범치 않았다는 사실은 당신의 영원한 영광이요 죄로부터의 우리의 영원한 구원이 되시는 것이다.”33

 (98.1)
 결론
 이것이 와그너의 그리스도론에 대한 요지이다. 만일 그의 입장이 교회의 신조와 일치되지 않았다면 대총회 위원회는 그리스도께서 타락하기 전의 아담의 인성을 취했다는 것에 근거한 거룩한 육체 운동의 ‘이상한 교리’를 배격하기 위하여 열린 1901년 대총회에 그를 초청하지 않았을 것이다.34

 (98.2)
 와그너의 가르침에서 반복되는 주제가 있다면 그것은 그리스도론임에 틀림없다. 1916년 사망 바로 직전에 그가 쓴 신앙 고백에서 이에 대한 가장 훌륭한 증거를 남기고 있다. 거기에서 그는 ‘죄 있는 사람’의 본성을 취하신 반면 ‘완전한 생애’ 곧 죄에서 벗어난 생애, 사망을 이긴 승리의 생애인 그리스도의 패러독스를 거듭 표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죄 있는 사람들을 위하여 그리고 죄 있는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통하여 당신의 생명을 주셨다. 이것이 와그너에 의한 복음의 본질이다.”35

 (98.3)
 참고 문헌

 1. Ellet J. Waggoner, in Signs of the Times, July 3, 1884.

 2. Ibid., July 17, 1884.

 3. Ibid., Sept. 18, 1884. See Eric Claude Webster, Crosscurrents in Adventist Christology, pp. 168-171.

 99

 4. Ellet J. Waggoner, The Gospel in the Book of Galatians (Payson, Ariz.:Leaves of Autumn Books, 1970), p. 60. Waggoner wrote this 71-page pamphlet in answer to an 85-page pamphlet put out by G. I, Butler entitled The Law in the Book of Galatians.

 5. Ibid., p. 61.

 6. Ibid., p. 62.

 7. Ibid., p. 63.

 8. Seven articles were published in Signs of the Times, The first one was on the human nature of Christ (Jan. 21, 1889); the next four were on the divinity of Christ (March 1, 8, 15, and 22, 1889); the last two were entitled “Christ, the Legislator” and “Christ, the Redemptor.”

 9. This book was likewise reprinted in Australia and in England, 1892; and in Hamburg and Basel. See Froom, Movement of Destiny, p. 373. In 1989 it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France.

 10. Waggoner, Christ and His Righteousness, p. 24.

 11, Ibid., p. 25.

 12. Ibid., p. 26, 27.

 13, Ibid., p. 27.

 14. Ibid., p. 27, 28.

 15, Ibid., p. 28.

 16. Ibid.

 17, Ibid., p. 29.

 18. Ibid.

 19. Ibid., p. 30.

 20. Ibid., pp. 30, 31.

 21. Ibid., p. 59.

 22. Ibid., p. 66.

 23. ___, The Everlasting Covenant, p. 366. Arthur G. Daniells recommended Waggoner’s Everlasting Covenant to W. C. White in a letter dated May 12, 1902:”I am deeply convinced that something ought to be done to place a flood of light in the homes of our people. I know of no better book to do this, outside of the Bible, than Brother Waggoner’s” (quoted in A. V. Olson, Through Crisis to Victory, p. 231).

 100

 24. Billet, J. Waggoner, in General Conference Bulletin, 1891; Signs of the Times, October 1895 and September 1896; Waggoner on Romans, the Gospel in Paul’s Great Letter (Paris:Glad Tidings Publishers, n.d.).

 25. ———, Waggoner on Romans, p. 12.

 26. Ibid., p. 128.

 27, Ibid.

 28. Ibid.

 29. These studies are published in the General Conference Bulletin, 1897, under the title “Studies in the Book of Hebrews.”

 30. General Conference Bulletin, 1897, vol. II, P. 12.

 31. Ibid., vol. 1, p. 57.

 32. Ellet. J. Waggoner, in Signs of the Times, Jan. 21, 1889.

 33. ——, The Glad Tidings, p. 62.

 34. This event will be considered in chapter 7.

 35. Confession of Faith, pp. 8, 10. See Webster, Crosscurrents in Adventist Christology, pp. 222,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