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본체를 붙잡다 제4부 재림교회 중심부의 그리스도론 논쟁 제11장 ‘교리에 대한 질의’ 그에 대한 첫 번째 반격
 “결과적으로” 프룸은 “재림교도들은 이런 그릇된 소수 그룹의 입장을 관대히 받아들임으로 우리의 믿음을 소유하지 않은 신학자들에 의해 오래도록 비난을 받아왔다”73고 주장했다. (228.4)
 프룸의 주요 목적은 “재림교회를 약화시키는 이미지를 바꾸는 데” 있었다. (228.5)
 첫째로 복음주의 대표자들과 토론을 하는 수단에 의해, 그리고 <교리에 대한 질의(Questions on Doctrine)>를 출판함으로75 말미암아서이다. 프룸은 결론짓기를 <교리에 대한 질의(Questions on Doctrine)>에서 무엇보다도 그리스도의 영원 전부터 계신 선재성과 완전한 신성, 그리스도의 성육 신, 그분의 죄 없는 본성(His sinless nature)76과 생애, 그리고 십자가 위에서 완성된 속죄의 초월적 행위 등 분명한 선언은 많은 비재림교 학자가 우리가 진실한 그리스도교도들임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솔직히 말하게 하는 결정적 요인이라고 결론지었다. (228.6)
 엘렌 G. 화잇에 의해 주어진 진술로부터 취한 대표적인 표현들을 근거로, 프룸은 자신이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놀라운 발현’77을 들어내는 위치에 있었다고 간주하였다. (228.7)
 논증은 열 가지로 만들어졌는데 다음과 같은 부제를 포함한 것이다. 그리스도는 “타락 전 아담의 죄 없는 본성을 취하셨다.”, ‘인간 본성’‘책임’을 떠맡으셨고”, “모든 점 혹은 원칙에 따라 시험을 받으셨으며”으며, “세상의 죄와 형벌을 짊어지셨으며” “타락한 본성의 정욕을 지니지 않은”78 인성을 취하셨다. (229.1)
 사실은 프룸이 1956년 9월호 <미니스트리> 그리고 <교리에 대한 질의(Questions on Doctrine)>에 내포되어 있는 개념들을 단지 반복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그의 주요 목적은 자신이 재림교회의 ‘그릇된’ 이미지라고 간주했던 것을 자신이 고치도록 허용된 상황을 상기시킴으로 그것들은 역사적인 배경 안에 놓으려는 데 있었다. 그 책은 중요한 신학적 논쟁이 담긴 것이었다. <운명의 운동(Movement of Destiny)>을 공개하면서 그의 비평에서 이렇게 기록한다. “독자는 프룸이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있는지 아니면 중요한 면이 부정적이거나 혹은 그릇되게 표현되었는지 스스로 물어보면서 프룸의 저서를 공부할 때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80 (229.2)
 이것은 가혹한 판단이지만, 프룸이 성육신 교리의 역사를 취급한 방법에 있어서는 사실이다. 예수께서 타락한 아담의 본성과 비슷한 죄 없는 본성을 취하셨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목적을 갖고 그는 자기의 이론에 반대되는 모든 것을 생략하였다. 참고들은 언제든지 문맥을 벗어나거나 아니면 그 저자에 의해 취해진 진술의 의미를 반박하는 주제 아래 제시되 었다. (229.3)
 우리는 <운명의 운동(Movement of Destiny)>에 포함된 모든 문제를 시험해 볼 필요가 있다. 많은 세세한 부분이 만족되어야 한다. 첫째로 왜 프룸은 조직적으로 죄 없는 인간본성을 그리스도께서 취하셨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서 명백한 진술들을 조직적으로 모르는 체 하였는가? 역사가들의 사명은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사실들을 보고하는 것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면 그는 왜 엘렌 G, 화잇에 의해 진술된 명백하게 드러난 ‘죄 있는 본성’에 대한 모든 것을 생략해 버렸는가? 그 밖의 생략들은 그것을 주장했던 선구자들의 문맥에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와 같은 결정적인 교리의 발전을 더듬어 본다고 주장하는 한 역사가의 역할을 볼 때 진실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229.4)
 프룸은 A. T. 존스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A. T. 존스는 이 교리의 대표적 인물이었는데 그가 최종적으로 배도한 사실을 상기한 것 외에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거룩한 육체’ 운동에 대해서는 완전한 침묵 가운데 있다. 이는 곧 그럴듯한 의도를 가지고 침묵하고 있는데, 왜냐하면 그 지지자들이 그리스도께서 거룩한 육체를 가지셨고 그래서 이것이 엘렌 G. 화잇과 1901년 대총회 대표자들에 의해 정죄 받도록 이끈 것으로 인도되었기 때문이다. (230.1)
 예수의 인격과 사역에 대해 과거에 기록했던 모든 사람 외에 프레스캇은 프룸에 의하면 괄목할 만한 공헌을 끼친 유일한 사람이다.81 그의 책 <그리스도의 교리(The Doctrine of Christ)>는 1920년에 출판되었는데 프룸은 이에 대해 “복음의 핵심으로서 모든 ‘충만’ 가운데 거하시는 그리스도의 중심을 나타내고 인간의 유일한 소망으로서 그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82를 제시한 첫째 되는 책이라고 하였다. (230.2)
 프룸은 그 책이 그토록 중요하기 때문에 그 기본적인 장(章)들을 요약했다고 생각했다. 비록 프레스캇이 성육신의 교리에서 세 가지 과업에 공헌했다 해도 프룸은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프레스캇의 가르침에 관한 한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것이 프룸 자신의 가르침과 반대되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이 프룸은 프레스캇의 설교 곧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행한 ‘말씀이 육신이 됨’을 묵과해 버렸다. 이것은 교회의 공식적인 정기 간행물로 출판된 것이었고83 엘렌 G. 화잇도 프레스캇의 설명에 대해 강조 해서 시인했던 것이다.84 (230.3)
 몇 가지 요점에서 프룸은 와그너와 엘렌 G. 화잇에 의해 주어진 자신의 이론을 반대하는 분명한 진술들을 더 이상 묵인할 수 없게 되자 그는 그것들을 ‘대신하여’85로 번역해 놓았다. 프룸은 비록 그것이 와그너 자신의 펜에서 비롯되었던 것으로 ‘대리해서’란 말을 근본적으로 소개했다. (230.4)
 “와그너는 고린도후서 5장 21절‘죄를 알지도 못하신’을 인용하면서, 결론 짓기를 죄는 없으셨으나 죄인으로 간주되시고 실제적으로 죄 있는 본성을 취하셨다.”86 프룸은 그 진술을 반복하여 기록하였다. “무엇보다 그는 ‘우리를 위해 죄’가 실제적으로 되시고—대리해서—되셨으니 이는 우리로 저희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 (고후 5:21)”87 (231.1)
 많은 과오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괄목할 만한 영향을 끼쳤다. 프룸은 어떤 교회의 지도자들, 곧 교회의 전통적 가르침에 대해 깨닫지 못했던 지도자들 중에서 높은 권위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다.88 아무튼 <운명의 운동(Movement of Destiny)>은 여러 교회의 공식적인 기관들과 그들의 능력이 의심을 받지 않았던 개인들 사이에서 일깨우고 새로운 반응을 일으키도록 촉구하였다. (231.2)
 참고 문헌
 1. The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vol. 1, p. 1085. (Review and Herald, Feb. 24, 1874).

 2. Ibid., vol 4, p. 1147 (Youth Instructor, Dec. 20, 1900).

 3. Ibid., vol 5, p, 1079 (Review and Herald, Aug. 4, 1974).

 4. Ibid., p. 1081 (Review and Herald, July 28, 1874).

 5. Ibid., p. 1124 (Ellen G. White letter 106, 1896).

 6. Ibid., p. 1128 ( Ellen G. White letter 8, 1895).

 7. Ibid., vol. 6, p. 1074 (Ellen G. White manuscript 76, 1903).

 8. Ibid., p. 562 (the comment by A. G. Maxwell, not Ellen G. White),

 9. Ibid., vol. 7, p. 904 (Ellen G. White manuscript 67, 1898).

 10. Ibid., p. 926 (Ellen G. White manuscript 141, 1901).

 11. Ibid., p. 929 (Ellen G. White manuscript 1, 1892).

 12. Ibid., p. 930 (Review and Herald, April 1, 1875).

 13. Ibid., p. 930 (Ellen G. White manuscript 1, 1892).

 14. Ibid., p. 426.

 15. Bruno W. Steinweg has reported the same quotations in his 1986 paper, “The Doctrine of the Human Nature of Christ Among Adventists Since 1950,” pp. 5~7.

 16. E. G. White, Selected Messages, book 1, pp. 285~339. See our chapter 2, “The First Adventist Testimonies.”

 17. Ibid., p. 256.

 18. Ibid., p. 247.

 19. Ibid., book 2. pp. 31–39. See our chapter 7, “The Holy Flesh Movement.”

 20. S. N. Haskell letter to Ellen G. White, September 1900. Quoted in William H. Grotheer, An Interpretive History of the Doctrine of the Incarnation, p. 50.

 21. Ellen G. White letter 132, 1900 (Selected Messages, book 2, p.37)

 22. See Seventh-day Adventist Encyclopedia, p. 43. Among M. L. Andreasen’s books we would mention in particular:The Sanctuary Service; The Book of Hebrews; A Faith to live By; What Can a Man Believe; Saints and Sinners.

 23. Milian L. Andreasen, The Book of Hebrews (Washington D.C. : Review and Herald Pub. Assn., 1948).

 24. Ibid., pp. 79~109.

 25. The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vol. 7, pp. 387-494.

 26. Milian L. Andreasen, Letters to the Churches (Conway, Mo. : Gems of Truth, n.d.).

 27. —————, Letters aux eglises (Roiffieux, Ardeche, France : Association Culturelle Laique Adventiste, n.d.).

 28. —————, Letters to Churches, p. 4.

 29. Ibid., pp. 1~3.

 30. Ibid., pp. 3, 4.

 31. Ibid.

 32. Ibid., p. 4.

 33. Ibid., p. 5. E. G. White, in Youth’s Instructor, Apr. 25, 1901).

 34. Andreasen, Lettes to the Churches, p. 5. White, Review and

 Herald, Feb. 18, 1890.

 35. Andreasen, Letters to Churches, pp. 5, 6.

 36. Ibid. 37. Ibid., p. 8.

 38. Ibid., p. 13.

 39. Ibid., p. 53.

 40. Ibid.

 41, Ibid.

 42. Ibid., p. 56.

 43. E. G. White, Testimonies for the Church, vol. 2, pp. 202, 509.

 44. Andreasen, Letters to the Churches, pp. 53, 54.

 45. Ibid., p. 54.

 46. Ibid., p. 55.

 47, Ibid., pp. 55, 56.

 48. A. L. Husdson refers to E. G. White manuscript 21, 1895; manuscript 141, 1901; letters 121, 1897; manuscript 1, 1892.

 49. E. G. White, Selected Messages, book 1, pp. 267, 268.

 50. This letter of A. L. Hudson’s reported by Sternweg, pp. 7, 8.

 51. Details reported by William H. Grotheer.

 52. Ibid., p. 81.

 53. Robert Lee Hancock, “The Humanity of Christ” term paper presented to the Department of Church History, Andrews University, Jul 1962). See Grotheer, pp. 81, 82. 54, Hancock, pp. 26, 27. See Grotheer, p. 82.

 55, Hancock, p. 27. 1

 56. Washington, D.C.:Review and Herald Pub. Assn., 1970.

 57. The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vol. 7-A, p. 157 (Youth’s Instructor, Dec. 20, 1900).

 58. Ibid., p. 370 (Ellen G. White manuscript 141, 1901).

 59. Ibid., p. 446, subtitle III.

 60. See our chapter 12.

 61. Roy Allan Anderson, The God-Man, His Nature and Word (Washington, D. C.:Review and Herald Pub. Assn. 1970).

 62, Ibid., p. 3.

 63, Ibid., p. 10.

 64. Ibid., p. 14.

 65. Ibid., p. 35.

 66. Ibid., pp. 32~48.

 67. Ibid., p. 40.

 68. Ibid., p, 53.

 69. Ibid.

 70. Roy Allan Anderson’s book The God-Man, His Nature and Work, was derived from a series of his public meetings.

 71. See Seventh-day Adventist Encyclopedia, p. 484.

 72. LeRoy Edwin Froom to William H. Grotheer, Apr. 17, 1971. See Grotheer, p. 83.

 73. Froom, Movement of Destiny, P. 428. (Italics supplied).

 74. Ibid., pp. 465~475.

 75. Ibid., pp. 476~492.

 76. Ibid., p. 492. (Italics supplied).

 77. Ibid., p. 495.

 78. Ibid., pp. 495~499.

 79. Ibid., pp. 485, 486.

 80. Ingemar Linden, “Apologetics as History,” Spectrum Autumn 1971.

 81. Froom, p. 380.

 82. Ibid., pp. 380, 381.

 83. See our chapter 6, devoted to Prescott’s Christology.

 84. Ibid.

 85. Ellet J. Waggoner, Christ and His Righteousness, pp. 27, 28.

 86. Ibid.

 87. Froom, p. 197.

 88. It was my pleasure to retrace the history of Adventist Christology in the setting of Consultation IV of the Ellen G. White Estate, at Washington in January 1987. It is obvious that some in the distinguished audience were not aware of the teaching of the pioneers. One of them remarked at the close of the presentation:”If this is so, we must change our position on this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