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본체를 붙잡다 제5부 재림교회의 토대와 성서적인 그리스도론 제16장 성서에 근거한 그리스도론 자료
 그리스도론의 필수적인 계시 중 하나는 그리스도께서 친히 육신으로 당신을 나타내시는 동안 “영으로 의롭다 하심을 입”(딤전 3:16)으셨다는 사실에 있다. 죄와 사망에서 승리했다는 이유로 예수는 “성결의 영으로는 ∙∙∙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되셨”(롬 1:4)다. 비록 예수께서 “육신으로는 다윗의 혈통으로 나셨”(롬 1:3)다할지라도 마태는 그분이 성령으로 잉태되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마 1:18, 20). 시편 기자에 의하면, 그는 출생시부터 하나님께 맡긴 바 되셨다(시 22:10). (381.1)
 그 다음 침례 받으실 때 예수는 “하나님의 성령이 비둘기같이 내려 자기 위에 임하심을 보”(마 3:16)셨다. 성령은 그를 광야로 인도하셨는데 이는 “마귀에게 시험을 받으러∙∙∙가”셨기 때문이다(마 4:1). 하나님이 예수께 “성령을 한량없이 주”(요 3:34)셨기 때문에, 바울은 “그 안에는 신성의 모든 충만이 육체로 거하”(골 2:9)신다고 기록하였다. 현실적으로, “이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 계시사 세상을 자기와 화목하게 하”(고후 5:19)셨다. (381.2)
 그리스도의 모든 생애는 세상 사람의 구원을 위한 것이었고 이런 그리스도의 구원사업에는 그분 안에 계셨던 생명의 성령의 인이 쳐져 있었다. “하나님이 나사렛 예수에게 성령과 능력을 기름 붓듯 하셨으매 저가 두루 다니시며 착한 일을 행하시고 마귀에게 눌린 모든 자를 고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함께 하셨음이라”(행 10:38). 영이 없이는 예수께서 당신이 성취하실 사업을 결코 하실 수 없으실 것이었다. “아들이∙∙∙아무것도 스스로 할 수 없나니”(요 5:19, 30).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영이 없이는 그분은 당신 자신의 육신 가운데 있는 죄의 능력을 이길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영으로 말미암아 그분은 스스로를 거룩케 하셨으니(요 17:19), 이는 “이러한 대제사장은∙∙∙ 거룩하고 악이 없고 더러움이 없고 죄인에게서 떠나 계시고 하늘보다 높이 되신 자”(히 7:26)가 되기 위해서이다. (381.3)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승리를 통해 우리를 얼마나 도와주기 원하시는지를 우리로 깨닫도록 하시기 위해, 바울은 두 아담의 표상을 적용한다. 그는 예수를 죄 있는 아담을 대신해 미리 정해둔 새로운 아담으로 제시한다. (381.4)
 그런데 “첫 사람 아담은 산 영이 되었다 함과 같이 마지막 아담은 살려 주는 영이 되었”(고전 15:45)다. 다시 말해 생명을 창조하는 영이 되셨다. 그런고로 인간 결속의 원리에 의해, 첫 아담의 불순종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롬 5:12). 그러나 둘째 아담의 순종함으로 “많은 사람이∙∙∙생명에 이르렀”(롬 5:18)다. 사도는 결론적으로 말한다. “우리가 흙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은 것같이 또한 하늘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으리라”(고전 15:49). 그러나 여기에 한 조건이 있다. 그리스도 안에 거하였던 생명의 영은 우리 안에도 반드시 거하여야 한다. “.. 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영이 없으면 그리스도의 사람이 아니라.”(롬 8:9). (382.1)
 2. 그리스도의 영에 의해 변화
 예수를 죄로부터 승리하도록 허락한 동일한 영이 우리를 하나님의 자녀가 되게 할 권세를 가지고 우리 안에서 활동하셔야만 한다. 예수는 이것을 니고데모에게 제일 먼저 설명하셨다. “사람이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느니라 ∙∙∙ 네게 거듭나야 하”며 바람의 움직임과 같이 “성령으로 난 사람은 다 이러하니라”(요 3:5~8). 그러나 요한은 이에 대해 설명한다. 예수는 당신의 제자들에게 “이는 그를 믿는 자의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요 7:39). 이것이 예수께서 떠나시기 전에 당신의 제자들을 안심시킨 이유이다. “그러하나 내가 너희에게 실상을 말하노니 내가 떠나가는 것이 너희에게 유익이라 내가 떠나가지 아니하면 보혜사가 너희에게로 오시지 아니할 것이요 가면 내가 그를 너희 에게로 보내리니 그가 와서 죄에 대하여, 의에 대하여, 심판에 대하여 세상을 책망하시리라”(요 16:7, 8). 더욱더 “진리의 성령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리니”(요 16:13) (382.2)
 부활하신 후 즉시 예수께서는 그 약속을 새롭게 하셨다. “너희는 몇 날이 못 되어 성령으로 침례를 받으리라”(행 1:5). 그리고 반복해서 말씀 하시기를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행 1:8). (383.1)
 예수께서 열두 제자에게 약속하셨고 오순절에 성취된 것을, 성령의 탄원에 응하는 그 밖의 모든 자들에게 또한 약속하셨다. 왜냐하면,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가 당신에게 주어진 바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스도는 모든 사람들을 당신께로 이끄시기 위해 역사하신다.(요 12:32). 그분 자신이 그렇게 하셨던 것처럼 진리를 그들에게 분명하게 드러내시고 또 성령에 의해 살 수 있도록 하신다. 오순절 이래로 하나님은 당신께 그 영을 요청하는 사람 누구에게나 영을 부어주신다. 그리고 받아들이는 자들을 위하여 성령은 그들 안에 거하시고 당신의 영을 통하여 그리스도께서 그들 안에 거하신다. 예수께서 영으로 말미암아 “육신에 거하는 죄”를 정복하신 것과 똑같이 그분은 당신의 제자들 또한 그 영의 권세로 정복할 수 있도록 하신다. 베드로후서 1장 4절에서는 과연 그들이 “정욕을 인하여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피하여 신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되게 하려 하셨으니”라고 진술한다. (383.2)
 그러므로 당신의 봉사에 의해 예수께서는 성령을 위한 길을 여셨으니 성령에 의해 거듭난 인간들에게 새 삶을 살도록 길을 여셨다. 또한 성령으로 난 모든 자들에게 하나님은 ‘경건치 않은 것과 이 세상 정욕’에 대해 ‘아니요’라고 말할 수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또한 “근신함과 의로움과 경건함으로 이 세상에 살고 복스러운 소망과 우리의 크신 하나님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이 나타나심을 기다리게 하셨”(딛 2:12, 13)다. (383.3)
 엘렌 G. 화잇은 재림신도들이 믿는 자의 삶에 있어서 성령의 역할에 관해 믿는 바가 무엇인지 완벽하게 요약하였다. “세상의 구주께서 이루신 일을 효력 있게 만드시는 분은 성령이시다. 성령은 마음을 순결하게 만드신다. 성령을 통하여 신자는 신의 성품을 나누어 가지는 자가 된다.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유전적이며 배양된 악의 성향들을 이기며 당신 자신의 품성 을 당신의 교회에 새기는 거룩한 능력으로서 당신의 성령을 주셨다.”23 (383.4)
 “그리스도께서는 사람이 죄에 대한 자기의 본성적인 경향들을 극복할 능력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갈바리에서 죽으셨다.”24 (384.1)
 그러므로 그리스도를 시인하는 삶은 죄의 용서에만 국한되거나 “아무런 투쟁도, 극기도, 세속적인 어리석음도 버리는 일을 요구하지 않는 안이한 종교를 믿고자 하는 욕망이 필경 믿음만으로 이루어진 교리, 곧 통속적인 믿음의 교리를 만들었다.”25 반대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은 죄의 노예로부터 그리스도인이 실제적으로 벗어나게 하고 구주의 모본을 따라 승리의 생애를 살 수 있도록 하신다. “남녀들은 그리스도의 능력과 그분의 교훈 아래서 그리스도께서 이 세상에서 사셨던 생애를 살 수 있다. 사단과의 싸움에서 그들은 그분께서 가지셨던 모든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들은 그들을 사랑하시고 그들을 위해 자기 자신을 주신 분을 통하여 정복자 이상이 될 수 있다.”26 (384.2)
 결론
 그리스도의 인성이란 주제에 대해 엘렌 G, 화잇 저서에서 취한 마지막 한 페이지를 인용 소개하겠다. 이 페이지에서 엘렌 G. 화잇은 보다 명료한 방법으로 그리스도의 인성을 소개한다. 첫째로 그녀는 기본적인 성서적인 그리스도론의 기본적 자료들을 소개한다. “그(그리스도)는 천사의 본성을 취하지 아니하시고 인성, 곧 우리 자신의 본성과 완전히 동일시되는 인성을 취하셨다. 곧 죄의 얼룩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우리 자신의 본성과 완전히 동등되는 인성을 취하셨다.” (384.3)
 중요한 그리스도교의 신조들에 총체적으로 반대되는 진리를 이해함에 있어서 얼마만큼의 차이를 인식하면서 엘렌 G, 화잇은 계속해서 언급한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우리의 관념을 상식이나 땅에 속한 것이 되어서는 안 되며, 우리의 왜곡된 사상 가운데서 사단의 유혹에 굴복하기 쉬운 특성이 그의 인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사람과 똑같은 죄 있고 더럽혀진 성향을 소유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384.4)
 “인간과 결합한 신의 성품이 그분을 사단의 유혹에 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스도에 대한 시험은 아담과 하와의 시험보다 훨씬 컸다. 왜냐하면 그리스도는 우리의 본성 곧 타락했으나 더럽혀지지 않은 본성을 취하셨고 만약 그가 하나님의 말씀의 자리에 사단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면 더럽혀지지 않았을 그 인성을 취하셨다. 그분이 사단의 시험에 굴복할 수 없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분을 사람을 위한 완전한 모본이 될 수 없는 입장에 두게 된다.  27 (385.1)
 만일 예수께서 우리의 것과 다른 인성으로 죄 없는 생애를 사셨다면 또한 만일 그가 “범사에 형제들과 같이 되”(히 2:17)지 않으셨다면 시험받는 자들을 도우실 수 없었을 것이다(히 2:18). 이것은 요한이 그의 복음서 서두에 언급한 것이며 또한 성서적 그리스도론의 핵심이 된다. ‘말씀’—그것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던 말씀이∙∙∙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우리가 다 그 충만한데서 받으니 은혜 위에 은혜러라”,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요 1:2, 14, 16, 12). (385.2)
 참고 문헌
 1. See Jean R. Zurcher, The Nature and Destiny of Man (New Yord:Philosophical Library, 1969).

 2. Ellen G. White, in Review and Herald, Apr. 16, 1901.

 3. See our chapter 7, and Emil Brunner, Dogmatics, vol. 2, p. 103.

 4. E. G. White, in Review and Herald, Mar. 27, 1888.

 5. ____, Testimonies for the Church, vol 5, p. 177.

 6. ____, Selected Messages, book 1, p. 95.

 7. ____, The Ministry of Healings, p. 71.

 8. ————, In Heavenly Places, p. 155.

 9. ____, The Desire of Ages, p. 49.

 10. ____, Patriarchs and Prophets (Mountain View, Calif.:Pacific Press Pub. Assn., 1890), p. 306. (Italics supplied.).

 11. Counsels to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Mountain View, Calif.:Pacific Press Pub. Assn., 1913), p. 20; Christ’s Object Lessons (Washington, D.C.:Review and Herald Pub. Assn., 1941), p. 330.

 12. ____, In Heavenly Places, p. 155. (Italics supplied.)

 13. The Ministry of Healings, p. 71. Ellen G. White letter 8, 1895, in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Ellen G. White Comments, vol. 5 p. 1129. (Italics supplied.)

 14. Ellen G. White letter 8, 1895, in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Ellen G. White Comments, vol. 5, p. 1128, 1129. (Italics supplied.)

 15. Ibid.

 16. Ibid.

 17. Ibid.

 18. Tbid.

 19. Ibid.

 20. Ibid.

 21. Ibid.

 22. Ibid.

 23. E. G. White, The Desire of Ages, p. 671.

 24. ————, Review and Herald, Feb, 2, 1992.

 25. ____, The Great Controversy, p. 472.

 26. ____, Testimonies for the Church, vol. 9, p. 22.

 27. Ellen G. White manuscript 111, 1890. Extract from Journal 14, pp. 272~285, 25.